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형구-한산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번째 줄: 13번째 줄:
  
 
=='''정의'''==
 
=='''정의'''==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 수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형구]]의 민족기록화.
+
[[조선 선조]] 25년(1592)에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 수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형구]]의 민족기록화.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한산대첩]]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전라우수사 [[이억기]]의 전선 48척과 경상우수사 [[원균]]의 전선 7척이 연합하여 왜장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73척의 왜 수군 주력대를 무찌른 해전이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76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2월 29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right|450px]]
 +
[[한산대첩]](閑山大捷)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1561~1597)의 전선 48척과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1540~1597)의 전선 7척이 연합하여 왜장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73척의 왜 수군 주력 함대를 무찌른 해전이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76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2월 29일.</ref>
  
 
===작품 구도===
 
===작품 구도===
적진 깊숙이 돌진해 들어간 [[거북선]] 3척이 화면 중앙에 그려져 있고, 바다 곳곳에 왜군들의 시신과 침몰한 왜선의 잔해가 떠있다. 왼편의 왜군의 아타케부네(安宅船)를 향해 거북선이 돌격해 가고 있고 반대편의 판옥선에는 조선군의 지휘관이 방패로 앞을 가리고 전투를 지휘하고 있다. 조선 수군은 활과 긴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거리 포격이 아닌 지근 거리에서 화포를 수평으로 사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
적진 깊숙이 돌진해 들어간 '''①②⑤[[거북선]] 3척'''이 화면 중앙에 그려져 있고, 바다 곳곳에 ''①②④⑤왜군들의 시신과 침몰한 왜선의 잔해'''가 떠있다. 왼편에 있는 왜군의 '''④아타케부네(安宅船)'''를 향해 '''⑤거북선이 돌격'''해 가고 있고 반대편의 판옥선(板屋船)에에는 '''⑥조선군의 지휘관'''이 방패로 앞을 가리고 전투를 지휘하고 있다. 조선 수군은 활과 긴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거리 포격이 아닌 지근 거리에서 '''⑤화포를 수평으로 사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림 읽기===
 
===그림 읽기===
37번째 줄: 38번째 줄: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3/C033_self.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3/C03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101번째 줄: 102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5년 || [[김형구]]가 {{PAGENAME}}을 제작하였다
+
| 1975년 || [[김형구]]가 [[김형구-한산대첩]]을 제작하였다
 
|-
 
|-
| 1979년 || [[국회사무처]]가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1979년 || [[국회사무처]]가 [[김형구-한산대첩]]을 대여하였다.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112번째 줄: 113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 34.794387 || 128.471667 || [[이순신]]은 [[한산도 제승당]]에 배향되었다
 
| 34.794387 || 128.471667 || [[이순신]]은 [[한산도 제승당]]에 배향되었다
155번째 줄: 156번째 줄: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웹자원
 
#웹자원
#* 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76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2월 29일
+
#* 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76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388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388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단행본
 
#* 김탁환, 『불멸의 이순신』, 민음사, 2014.
 
#* 김탁환, 『불멸의 이순신』, 민음사, 2014.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분류:민족/교열완료]]

2017년 10월 15일 (일) 22:25 판


김형구-한산대첩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작가 김형구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조선 선조 25년(1592)에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 수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형구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한산대첩(閑山大捷)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1561~1597)의 전선 48척과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1540~1597)의 전선 7척이 연합하여 왜장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73척의 왜 수군 주력 함대를 무찌른 해전이다.[1]

작품 구도

적진 깊숙이 돌진해 들어간 ①②⑤거북선 3척'이 화면 중앙에 그려져 있고, 바다 곳곳에 ①②④⑤왜군들의 시신과 침몰한 왜선의 잔해가 떠있다. 왼편에 있는 왜군의 ④아타케부네(安宅船)를 향해 ⑤거북선이 돌격해 가고 있고 반대편의 판옥선(板屋船)에에는 ⑥조선군의 지휘관이 방패로 앞을 가리고 전투를 지휘하고 있다. 조선 수군은 활과 긴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거리 포격이 아닌 지근 거리에서 ⑤화포를 수평으로 사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림 읽기

거북선김태 「한산대첩」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형구-한산대첩 김형구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형구-한산대첩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이순신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원균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와키자카 야스하루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거북선 한산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학익진 한산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임진왜란 3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첩 진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순신 명량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원균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와키자카 야스하루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순신 여수 충민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이억기 여수 충민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이순신 권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원균 권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권율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시민 진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난중일기 한산대첩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난중일기 이순신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형구김형구-한산대첩을 제작하였다
1979년 국회사무처김형구-한산대첩을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34.794387 128.471667 이순신한산도 제승당에 배향되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한산대첩 재현장면[3]

주석

  1. 조성도, "한산도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2월 29일.
  2.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인터넷 통영방송, Youtube, 작성일: 2014년 08월 17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2. 웹자원
    • 조성도, "한산도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산도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김탁환, 『불멸의 이순신』, 민음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