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97번째 줄: | 97번째 줄: | ||
* 정숭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명성황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월 22일. | * 정숭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명성황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월 22일. | ||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29 명성왕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29 명성왕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460000,31 명성황후생가]",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460000,31 명성황후생가]",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김정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4876 명성황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작성일: 2011년 3월 7일. | * 김정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4876 명성황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작성일: 2011년 3월 7일.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
2017년 10월 9일 (월) 20:06 판
명성황후(明成皇后) | |
대표명칭 | 명성황후 |
---|---|
한자표기 | 明成皇后 |
생몰년 | 1851년-1895년 8월 20일(음) |
이칭 | 명성왕후(明成王后), 민비(閔妃)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여주목 근동면 섬락리 사저 |
사망지 | 경복궁 곤녕합 옥호루 |
시대 | 조선 |
대표직함 | 왕비, 추존 황후 |
배우자 | 조선의 제26대 왕 고종(高宗) |
부 |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민치록(閔致祿) |
모 | 한창부부인 이씨(韓昌府夫人) 한산이씨(韓山李氏) 이규년(李圭秊)의 딸 |
자녀 | 4남 1녀, 순종(純宗) |
전임자 | 철인왕후 김씨(哲仁王后 金氏) |
후임자 |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
능묘 |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 홍릉(洪陵) 37.631906, 127.211094 |
성격 | 인물 |
유형 | 황후 |
목차
정의
고종의 비로, 순종의 어머니이다. 생전에 왕비였는데, 일본에게 살해당한 뒤 고종이 황제가 될 때 황후로 추존되었다.
내용
생애
명성황후는 여주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내다가 아버지가 죽은 뒤에는 서울 감고당(感古堂)에서 왕비가 될 때까지 살았으므로, 유년기에는 도시와 농촌을 고루 체험하였다.[1] 1866년(고종 3) 창덕궁 인정전에서 왕비에 책봉되었다.[2] 고종이 친정을 하고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의 관계가 틀어졌다. 명성황후의 오빠인 민승호(閔升鎬)의 집에서 폭약이 터져 어머니 및 아들과 함께 죽었는데 이 배후에 흥선대원군이 있다는 의심이 있었다. 이후에는 친척인 민겸호(閔謙鎬), 민규호(閔圭鎬) 등을 가까이 하여 민씨척족 세도의 원인이 되었다.[3] 명성황후는 개항으로부터 임오군란(壬午軍亂), 서구 열강과의 조약, 갑신정변(甲申政變), 동학운동 등 한국근대사의 중요한 순간에 주역 또는 조역처럼 언급되었다.[4] 따라서 임오군란 등의 사건에서 공격의 표적이 되어, 죽은 것으로 처리되는 일도 있었다.[5] 일본과의 갈등 속에서 1895년 일본 낭인들에게 살해당하였는데,[6] 이때 폐서인이 되었다가[7] 다시 위호(位號)가 회복되는 과정이 있었다.[8]
사후
명성황후가 살해당한 뒤 고종은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하였는데, 이것이 아관파천(俄館播遷)이다.[9] 고종이 황제가 될 때 황후에 책봉되었다.[10]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에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이인 홍릉(洪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유릉(裕陵)과 함께 사적 제 204호로 지정되었다.[11]
거행 의례
지식 관계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종 | 명성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명성황후 | 왕비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명성황후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66년 3월 20일 | 명성황후의 왕비는 책례를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9466 | 126.991026 | 명성황후의 왕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13]
영상
주석
-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22~23쪽.
- ↑ 『高宗實錄』 3년(1866) 3월 己卯: 「二十日詣仁政殿行冊妃禮」
-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29쪽.
- ↑ 이민원, 「근대의 궁중 여성 – 명성황후의 권력과 희생 -」, 『史學硏究』 77, 한국사학회, 2005, 85쪽.
- ↑ 『高宗實錄』 19년(1882) 6월 甲子: 「敎曰」
- ↑ 『高宗實錄』 32년(1895) 8월 戊子: 「二十日卯時王后崩逝于坤寧閤」
- ↑ 『高宗實錄』 32년(1895) 8월 庚寅: 「二十二日詔曰」
- ↑ 『高宗實錄』 32년(1895) 10월 丁丑: 「初十日詔曰」
- ↑ 『高宗實錄』 33년(1896) 2월 11일(양력): 「十一日上與王太子移蹕駐御于大貞洞俄國公使館」
- ↑ 『高宗實錄』 34년(1897) 10월 12일(양력): 「十二日行告天地祭」
- ↑ "남양주 홍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홍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종실록』
- 『매천야록』
- 강상규, 「명성왕후와 대원군의 정치적 관계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0-2, 한국정치학회, 2006.
- 김영수, 「을미사변, 그 하루의 기록 -대원군의 침묵과 명성황후암살의 배후」, 『梨花史學硏究』 39,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2009.
-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민덕식,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어필(御筆)」, 『忠北史學』 25, 충북대학교 사학회, 2010.
- 박계리, 「「명성황후 발인반차도」와 발인 행렬」, 『美術史學報』 47, 미술사학연구회, 2016.
- 서영희, 「명성왕후 재평가」, 『역사비평』 60, 역사문제연구소, 2002.
- 이민원, 「근대의 궁중 여성 - 명성황후의 권력과 희생 -」, 『史學硏究』 77, 한국사학회, 2005.
- 이배용, 「개화기 명성황후 민비의 정치적 역할」, 『국사관논총』66, 1995
- 張暎淑, 「서양인의 견문기를 통해 본 명성황후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한국 근현대사 연구』 35, 한국군현대사학회, 2005.
- 지두환, 『고종황제와 친인척』, 역사문화, 2009.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