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좌참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헌종무신진찬의궤]] 진찬당상,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278&hl=content@%E5%BE%90%E6%86%99%E6%B7%B3%5E%EC%84%9C%ED%9D%AC%EC%88%9C$tablename@_%5E_CONTENT%5E_HAEJE%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haeje$level2_content@%E5%BE%90%E6%86%99%E6%B7%B3$level2_title@%E5%BE%90%E6%86%99%E6%B7%B3 | + |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좌참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헌종무신진찬의궤]] 진찬당상,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278&hl=content@%E5%BE%90%E6%86%99%E6%B7%B3%5E%EC%84%9C%ED%9D%AC%EC%88%9C$tablename@_%5E_CONTENT%5E_HAEJE%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haeje$level2_content@%E5%BE%90%E6%86%99%E6%B7%B3$level2_title@%E5%BE%90%E6%86%99%E6%B7%B3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헌종국장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295&hl=content@%E5%BE%90%E6%86%99%E6%B7%B3%5E%EC%84%9C%ED%9D%AC%EC%88%9C$tablename@_%5E_CONTENT%5E_HAEJE%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haeje$level2_content@%E5%BE%90%E6%86%99%E6%B7%B3$level2_title@%E5%BE%90%E6%86%99%E6%B7%B3 헌종국장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에 관여하였고, [[헌종빈전혼전도감의궤]] 제조<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290&hl=content@%E5%BE%90%E6%86%99%E6%B7%B3%5E%EC%84%9C%ED%9D%AC%EC%88%9C$tablename@_%5E_CONTENT%5E_HAEJE%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haeje$level2_content@%E5%BE%90%E6%86%99%E6%B7%B3$level2_title@%E5%BE%90%E6%86%99%E6%B7%B3 헌종빈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를 역임하였다. |
=='''내용'''== | =='''내용'''== | ||
===관직=== | ===관직=== | ||
− | 1816년(순조 16)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다음해 한림권점(翰林圈點)<ref> | + | 1816년(순조 16)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다음해 한림권점(翰林圈點)<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7405&cid=41826&categoryId=41826 한림권점]",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3점을 받았다.<ref>『순조실록』 권20, 순조 17년(1817) 10월 28일(무술), [http://sillok.history.go.kr/search/inspectionDayList.do 한림권점을 행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ref> 1825년(순조 25)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되었고,<ref>『순조실록』 권27, 순조 25년 8월 5일(기미), [http://sillok.history.go.kr/id/kwa_12508005_002 송면재ㆍ서희순ㆍ김이재ㆍ유상량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 국사편찬위원회.</ref> 다음해에 이조참의가 되었다.<ref>『순조실록』 권27, 순조 25년(1825) 8월 5일(기미), [http://sillok.history.go.kr/id/kwa_12508005_002 송면재ㆍ서희순ㆍ김이재ㆍ유상량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1833년(순조 33)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할 때 '대동목(大同木)'을 돈으로 거둘 것을 상소하여 허락받았다.<ref>『순조실록』 권33, 순조 33년(1833) 12월 9일(을사), [http://sillok.history.go.kr/id/kwa_13312009_001 경상 감사 서희순이 각 고을의 대동목을 돈으로 대신 바치게 할 것을 상소로 청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1836년(헌종 3) 형조판서가 되었고,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1847년(헌종 13) 이조판서가 되었다.<ref>『헌종실록』 권14, 헌종 13년(1847) 12월 28일(계유), [http://sillok.history.go.kr/id/kxa_11312028_001 서희순을 이조 판서로 삼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조선 헌종|헌종]]이 죽은 뒤에 [[헌종실록|『헌종실록』]]의 총재관(總裁官)을 맡았다.<ref>『철종실록』 권1, 철종 즉위년 11월 15일(1849), [http://sillok.history.go.kr/id/kya_10011015_007 이우ㆍ김병기ㆍ김경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1857년(철종 8)에 사망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4665&cid=46622&categoryId=46622 서희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사후=== | ===사후=== | ||
− | 1875년(고종 12) ‘숙헌(肅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ref>『고종실록』 12권, 고종 12년 12월 16일 기묘 | + | 1875년(고종 12) ‘숙헌(肅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ref>『고종실록』 12권, 고종 12년(1875) 12월 16일(기묘), [http://sillok.history.go.kr/id/kza_11212016_003 고 이조 판서 김로 등에게 시호를 추증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서희순 || [[헌종무신진찬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서신수]] || 서희순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 | ||
− | | [[ | + | | [[서유녕]] || 서희순 || A는 B의 조부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 | ||
− | | [[ | + | | [[서응보]] || 서희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 [[김현주]] || 서희순 || A는 B의 외조부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 | ||
− | | [[ | + | | [[경주 김씨]] || 서희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 [[심능식]] || 서희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청송 심씨]] || 서희순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서상필]]|| | + | | 서희순 || [[서상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1848년 || 서희순은 [[헌종무신진찬의궤]]를 담당하였다 |
|} |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86번째 줄: | 90번째 줄: | ||
* 『고종실록』 | * 『고종실록』 | ||
* 『한국계행보』 | * 『한국계행보』 | ||
− | |||
−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
2017년 10월 8일 (일) 23:45 판
서희순(徐憙淳) | |
대표명칭 | 서희순 |
---|---|
한자표기 | 徐憙淳 |
생몰년 | 1793년-1857년 |
본관 | 달성(達城) |
시호 | 숙헌(肅獻) |
호 | 우란(友蘭) |
자 | 치회(穉晦) |
시대 | 조선 |
대표직함 | 좌참찬, 이조판서 |
배우자 | 심능식(沈能植)의 딸 청송 심씨 |
부 | 서응보(徐應輔) |
모 | 김현주(金顯柱)의 딸 경주 김씨 |
자녀 | 진사 서상필(徐相弼) |
성격 | 인물 |
유형 | 백관 |
목차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좌참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헌종무신진찬의궤 진찬당상,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1], 헌종국장도감의궤[2]에 관여하였고, 헌종빈전혼전도감의궤 제조[3]를 역임하였다.
내용
관직
1816년(순조 16)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다음해 한림권점(翰林圈點)[4] 3점을 받았다.[5] 1825년(순조 25)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되었고,[6] 다음해에 이조참의가 되었다.[7] 1833년(순조 33)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할 때 '대동목(大同木)'을 돈으로 거둘 것을 상소하여 허락받았다.[8] 1836년(헌종 3) 형조판서가 되었고,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1847년(헌종 13) 이조판서가 되었다.[9] 헌종이 죽은 뒤에 『헌종실록』의 총재관(總裁官)을 맡았다.[10] 1857년(철종 8)에 사망했다.[11]
사후
1875년(고종 12) ‘숙헌(肅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서희순 | 헌종무신진찬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서신수 | 서희순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서유녕 | 서희순 | A는 B의 조부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서응보 | 서희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김현주 | 서희순 | A는 B의 외조부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경주 김씨 | 서희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심능식 | 서희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청송 심씨 | 서희순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서희순 | 서상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48년 | 서희순은 헌종무신진찬의궤를 담당하였다 |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헌종국장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헌종빈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한림권점",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순조실록』 권20, 순조 17년(1817) 10월 28일(무술), 한림권점을 행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 - ↑ 『순조실록』 권27, 순조 25년 8월 5일(기미), 송면재ㆍ서희순ㆍ김이재ㆍ유상량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순조실록』 권27, 순조 25년(1825) 8월 5일(기미), 송면재ㆍ서희순ㆍ김이재ㆍ유상량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순조실록』 권33, 순조 33년(1833) 12월 9일(을사), 경상 감사 서희순이 각 고을의 대동목을 돈으로 대신 바치게 할 것을 상소로 청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헌종실록』 권14, 헌종 13년(1847) 12월 28일(계유), 서희순을 이조 판서로 삼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철종실록』 권1, 철종 즉위년 11월 15일(1849), 이우ㆍ김병기ㆍ김경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서희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고종실록』 12권, 고종 12년(1875) 12월 16일(기묘), 고 이조 판서 김로 등에게 시호를 추증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순조실록』
- 『헌종실록』
- 『철종실록』
- 『고종실록』
- 『한국계행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