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환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이환추(李桓樞)는 | + | ===개요=== |
+ | 이환추(李桓樞)는 당대의 명필로, 그에 대한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다만 벼슬이 병부대감(兵部大監) 상주국(上柱國)에 이르고 단금어대(丹金魚袋)를 하사받은 것이 확인된다.<ref>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7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7#none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 ||
+ | |||
+ | ===비문의 서자=== | ||
+ | 937년([[고려 태조|태조]] 20)에는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廣照寺眞澈大師寶月乘空塔碑)]]를, 939년에는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菩提寺大鏡大師玄機塔碑, 보물 제361호)]]와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비로암진공대사보법탑비(毘盧庵眞空大師普法塔碑,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4호)]]의 비문을 썼다. 이 세 비 모두 [[최언위|최언위(崔彦撝)]]가 찬하였는데, [[최언위]]가 당시 글과 글씨로 이름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환추 또한 당대 명필로서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ref>이완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623 이환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10월 8일 (일) 17:40 판
이환추(李桓樞) | |
대표명칭 | 이환추 |
---|---|
한자표기 | 李桓樞 |
영문명칭 | Yi Hwan-chu |
생몰년 | ?-? |
이칭 | 이환상(李奐相) |
성격 | 서예가 |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서예가.
내용
개요
이환추(李桓樞)는 당대의 명필로, 그에 대한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다만 벼슬이 병부대감(兵部大監) 상주국(上柱國)에 이르고 단금어대(丹金魚袋)를 하사받은 것이 확인된다.[1]
비문의 서자
937년(태조 20)에는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廣照寺眞澈大師寶月乘空塔碑)를, 939년에는 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菩提寺大鏡大師玄機塔碑, 보물 제361호)와 비로암진공대사보법탑비(毘盧庵眞空大師普法塔碑,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4호)의 비문을 썼다. 이 세 비 모두 최언위(崔彦撝)가 찬하였는데, 최언위가 당시 글과 글씨로 이름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환추 또한 당대 명필로서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2]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여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진공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이완우, "이환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동국, "서예가 열전(3) 고려초 삼필 -이환추·구족달·장단열", 『경향신문』, 작성일: 2006년 8월 4일.
- 이완우, "이환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