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무공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4번째 줄: | 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이인좌의 난|무신난]]은 [[노론]]이 지지하는 [[조선 영조|영조]]의 즉위로 위협을 느낀 [[소론]]의 과격파와 [[남인]]이 밀풍군 탄을 추대하기 위해 일으킨 난이다. 충청도의 [[이인좌]]는 경상도의 [[정희량]], 전라도의 [[박필현]], 경기도의 [[권서봉]]과 모의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이인좌]]의 반란군은 1728년 3월 15일 [[청주성]]을 함락하고 서울로 북상하다가, 24일에 안성과 죽산에서 [[오명항]]이 이끄는 관군에 패퇴하고, 다른 세력도 진압되었다. 1등에 [[오명항]], 2등에 [[박찬신]] 등 7인, 3등에 [[이수량]] 등 7인을 녹훈하였다. 분무공신은 [[조선 영조|영조]]가 [[탕평책]]을 실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분무공신을 끝으로 더 | [[이인좌의 난|무신난]]은 [[노론]]이 지지하는 [[조선 영조|영조]]의 즉위로 위협을 느낀 [[소론]]의 과격파와 [[남인]]이 밀풍군 탄을 추대하기 위해 일으킨 난이다. 충청도의 [[이인좌]]는 경상도의 [[정희량]], 전라도의 [[박필현]], 경기도의 [[권서봉]]과 모의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이인좌]]의 반란군은 1728년 3월 15일 [[청주성]]을 함락하고 서울로 북상하다가, 24일에 안성과 죽산에서 [[오명항]]이 이끄는 관군에 패퇴하고, 다른 세력도 진압되었다. 1등에 [[오명항]], 2등에 [[박찬신]] 등 7인, 3등에 [[이수량]] 등 7인을 녹훈하였다. 분무공신은 [[조선 영조|영조]]가 [[탕평책]]을 실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분무공신을 끝으로 더 | ||
− | + | 이상 조선왕조에서 공신의 녹훈은 없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188쪽.</ref> | |
2017년 10월 3일 (화) 22:52 판
정의
1728년(영조4) 이인좌, 정희량 등이 주도하여 일으킨 무신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15인의 신하들에게 내린 공신호.
내용
무신난은 노론이 지지하는 영조의 즉위로 위협을 느낀 소론의 과격파와 남인이 밀풍군 탄을 추대하기 위해 일으킨 난이다. 충청도의 이인좌는 경상도의 정희량, 전라도의 박필현, 경기도의 권서봉과 모의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이인좌의 반란군은 1728년 3월 15일 청주성을 함락하고 서울로 북상하다가, 24일에 안성과 죽산에서 오명항이 이끄는 관군에 패퇴하고, 다른 세력도 진압되었다. 1등에 오명항, 2등에 박찬신 등 7인, 3등에 이수량 등 7인을 녹훈하였다. 분무공신은 영조가 탕평책을 실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분무공신을 끝으로 더 이상 조선왕조에서 공신의 녹훈은 없었다.[1]
- 특별전 도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