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일전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청일전쟁]]의 배경=== | ||
+ | *1894년 봄 전라도에서 제1차 동학농민군(東學農民軍)이 봉기하자 조선 정부는 양력 5월 7일 [[홍계훈|홍계훈(洪啓薰)]]을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로 임명, 진압하도록 명하였다. 그러나 장성에서 정부군을 격파한 농민군은 31일 전주까지 함락시켰다. 6월 2일 전주가 함락되었다는 보고를 받은 정부는 자력으로는 농민군을 진압할 수 없다고 판단, [[임오군란]] 진압시의 전례에 따라 청국의 주차조선총리교섭통상사의(駐箚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 [[위안스카이|위안스카이(袁世凱)]]에게 원병을 요청하였다. [[위안스카이]]를 통해 파병 요청을 받은 청국의 직례총독 겸 북양대신(直隷總督兼北洋大臣) [[이홍장|이홍장(李鴻章)]]은 6월 6일, [[톈진조약|톈진조약(天津條約)]]에 의거하여 일본에 파병 사실을 통고하는 한편, 직례제독 [[예즈차오|예즈차오(葉志超)]]와 [[딩루창|딩루창(丁汝昌)]] 휘하의 군사 2,800명을 충청도 [[아산]]에 급파하였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일본 정부는 6월 2일 서울주재 임시대리공사 [[스기무라|스기무라(杉村濬)]]로부터 조선이 청국에 파병을 요청하였다는 보고를 받았다. 때마침 중의원(衆議院)에서 내각탄핵상주안이 가결되어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려 있던 내각총리대신 [[이토|이토(伊藤博文)]]는 이 보고를 받은 즉시 각의를 열어 중의원을 해산하였다. 그리고 ‘일본공사관 및 거류민을 보호한다.’라는 구실로 제5사단 [[오시마|오시마(大島義昌)]] 소장 휘하의 혼성여단을 조선에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6월 5일 참모본부 내에 대본영(大本營)이 설치되고, 동시에 [[오시마]]가 거느린 혼성여단 선발대가 요코스카(橫須賀) 항을 출발, 9일인천에 상륙하여 곧바로 서울로 진군하였다. 그 뒤 6월 하순까지 8,000여 명의 일본군이 경인(京仁)간에 집결하였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조선 정부는, 일본이 독단으로 대규모 군인을 파병한 데 당황하고 이에 항의, 즉시 철병할 것을 요청하였다. 더욱이, 6월 11일 정부군과 동학농민군 사이에 [[전주화약|전주화약(全州和約)]]이 성립되었기 때문에 외국군이 간섭할 구실이 없어진 상황이었다. 따라서 육전대(陸戰隊)와 함께 서울에 귀임한 오토리(大鳥圭介) 일본공사는, 위안스카이와 3차례에 걸친 회담 끝에 양국군의 공동 철수에 합의하기에 이르렀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일본 정부는 국내에서의 정치적 혼란을 청국과의 전쟁으로 해결하고자 전쟁을 일으킬 명분을 찾으려 급급하였다. 그리하여 개전 구실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철병안 대신 조선의 내정을 공동으로 개혁하자는 안을 청국에 내놓았다. 일본의 예상대로 청국측이 이 제안을 거절하자 일본은 청국에 ‘제1차 절교서(絶交書)’를 보냄과 동시에 단독으로 조선의 ‘내정개혁’을 강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사이에 [[이홍장]]의 조정 의뢰에 따라 러시아와 미국이 일본군의 철수를 요구하였지만, 7월 중순 일본 정부는 청국에 ‘제2차 절교서’를 보내는 한편, 영국과 [[영일신조약|영일신조약(英日新條約)]]을 체결, 영국의 간접적인 지원을 얻어 개전을 서둘렀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청일전쟁]] 일어나다=== | ||
+ | *본국 정부의 개전 결의를 전달받은 [[오토리]] 공사는, 조선 정부에 청국의 대조선종주권 주장에 대한 확답을 요구하는 시한부 최후통첩을 발한 뒤 23일 [[경복궁]]을 불법 점령, 쿠데타를 통해 [[흥선대원군|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 [[김홍집|김홍집(金弘集)]] 등을 앞세운 [[친일정권]]을 수립하였다. [[청일전쟁]]은 7월 23일 일본군이 [[경복궁]]을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어 일본군은 서울의 조선군대를 무장시킨 다음 [[아산]] 근처에 집결한 청군을 공격할 태세를 갖추었다. 청일간의 본격적인 전투는 7월 25일 일본 해군이 [[풍도|풍도(豊島)]] 앞바다에서 청국함대를 기습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해전에서 청국군함과 청국 증원군을 태운 영국수송선 가오슝호(高陞號)가 일본 해군의 기습공격으로 격침되었다.이어 29일에 벌어진 [[성환전투]]에서 일본 육군은 [[아산]]에 상륙했던 청국군을 쉽게 격파해 버렸다. 일본 정부는 이처럼 육·해상의 초전에서 승리를 거둔 다음, 8월 1일에야 비로소 청국에 정식으로 선전포고를 했으며, 청국도 이에 응해 대일선전포고를 하였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일본 정부는 열강의 간섭을 피해 가능한 한 빨리 승리를 거두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일본 육군이 9월 15∼17일 평양에 집결한 청국군 1만 4000명을 격파하고, 17일 해군이 [[황해전투]]에서 청국함대를 격침시켜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이렇게 [[평양]]과 황해에서 대승을 거둔 일본군은 곧이어 중국 본토에 대한 공략을 서둘렀다. 10월 하순 조선에 진주했던 일본의 제1군은 압록강을 건너 남만주로 진격하고, 제2군은 랴오둥반도(遼東半島)에 상륙하여 11월 하순 여순(旅順)·다롄(大連)을 점령하였다. 그런 다음 1895년 2월 2일 산둥반도(山東半島)의 웨이하이웨이(威海衛)에 있던 청국의 북양함대기지를 공략하였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사태가 여기에까지 이르자 청국은 전쟁을 마무리짓기 위한 강화회담을 서둘러, [[장인환|장인환(張蔭桓)]]을 전권대신으로 임명하여 일본에 파견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월 초 두 차례 열린 [[히로시마회담|히로시마회담(廣島會談)]]에서 일본측은 자국에 더욱 유리한 강화조건을 확보할 목적으로 청국 전권대신의 위임장이 불완전하다며 그와의 교섭을 거부하고 전투를 재개하였다. 그 결과 3월 중순까지 일본 육군은 랴오둥반도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 청국은 그제야 [[이홍장]]을 전권대신으로 교체하고 강화회담 재개를 서둘렀다. 3월 20일부터 [[시모노세키|시모노세키(下關: 馬關)]]에서 [[이토]]와 [[이홍장]]이 양국을 대표해 강화회의를 하였다. 그리고 [[청일전쟁]] 이후 부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영국·러시아·프랑스·독일·미국 등 열강의 간섭을 우려한 일본은 결국 4월 17일 청일강화조약, 즉 [[시모노세키조약|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을 성립시켰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청일 간에 조인된 [[시모노세키조약]]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국은 조선국이 완전 무결한 독립자주국임을 확인한다. 따라서 이 독립자주를 손상시키는 조선국의 청국에 대한 공헌(貢獻)·전례(典禮) 등은 장래 완전히 이를 폐지한다.’ 이로써 중국이 전통적으로 조선에 대해 행사해 왔던 종주권은 부정되었다 동시에 일본은 [[강화도조약]]·[[제물포조약]]·[[톈진조약]] 등으로써 일관되게 추진해 온 조선에 대한 우월한 정치·군사·경제적 지배권을 확고하게 장악하였다. 둘째, 청국은 랴오둥반도·대만·펑후(澎湖)열도 등을 일본에 할양한다. 셋째, 청국은 전비배상금으로 고평은(庫平銀) 2억 냥(약 3억 엔)을 일본에 지불한다. 넷째, 청국은 일본에게 구미 열강이 청국에서 누리는 것과 동등한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함을 승인한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시모노세키조약]]이 체결된 지 6일 후인 1895년 4월 23일 러시아를 중심으로 프랑스와 독일 등이 일본 정부에 대해 랴오둥반도를 청국에 반환하라는 요구, 즉 [[삼국간섭(三國干涉]])을 하였다. 프랑스는 러불동맹(露佛同盟)의 동반자 입장에서, 독일은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야망을 아시아 쪽으로 돌리게 만들어 중국분할경쟁에서 유리한 지위를 확보할 목적으로 각각 러시아의 [[삼국간섭]]에 동조하였다. 결국, 5월 10일 삼국의 군사력에 대한 열세를 인정한 일본 정부는 간섭에 굴복, 랴오둥반도 영유권을 포기하고, 대신 청국으로부터 배상금 3000만 냥을 받기로 하였다. [[삼국간섭]]을 계기로 일본은 러시아를 장래의 가상 적국으로 인식, 러일전쟁에 대비한 군비확장에 착수하였다. 삼국 간섭 이후 러시아는 랴오둥반도 남부를, 영국은 웨이하이웨이와 그 주변 지역을, 독일은 자오저우만(膠州灣) 주변 지역을 각각 조차(租借)하게 되었다.<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청일전쟁]]의 의의=== | ||
+ |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중국 중심 세계질서(Sino-centric world order)’에 종지부를 찍고 신흥 일본을 이 지역의 패자로 등장시킨 동양 사상 획기적인 전쟁이었다. 또한 당시 아시아에서 대립하던 영국과 러시아 등 제국주의 열강들간의 영토분할경쟁을 촉발시킨 계기로 세계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뿌리깊은 청국의 종주권에서는 벗어났으나, 동시에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대상으로 바뀌어 인적·물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혹독한 수난을 당하였다. <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청일전쟁]]의 배경=== | ===[[청일전쟁]]의 배경=== | ||
====[[동학농민 운동]]발발과 조선 정부가 청나라 군대를 요청하다.==== | ====[[동학농민 운동]]발발과 조선 정부가 청나라 군대를 요청하다.==== | ||
66번째 줄: | 90번째 줄: | ||
===[[청일전쟁]]의 의의=== | ===[[청일전쟁]]의 의의=== | ||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중국 중심 세계질서(Sino-centric world order)’에 종지부를 찍고 신흥 일본을 이 지역의 패자로 등장시킨 동양 사상 획기적인 전쟁이었다. 또한 당시 아시아에서 대립하던 영국과 러시아 등 제국주의 열강들간의 영토분할경쟁을 촉발시킨 계기로 세계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뿌리깊은 청국의 종주권에서는 벗어났으나, 동시에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대상으로 바뀌어 인적·물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혹독한 수난을 당하였다. <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중국 중심 세계질서(Sino-centric world order)’에 종지부를 찍고 신흥 일본을 이 지역의 패자로 등장시킨 동양 사상 획기적인 전쟁이었다. 또한 당시 아시아에서 대립하던 영국과 러시아 등 제국주의 열강들간의 영토분할경쟁을 촉발시킨 계기로 세계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뿌리깊은 청국의 종주권에서는 벗어났으나, 동시에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대상으로 바뀌어 인적·물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혹독한 수난을 당하였다. <ref>유영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10 [[청일전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2017년 10월 2일 (월) 21:58 판
청일전쟁(淸日戰爭) | |
대표명칭 | 청일전쟁 |
---|---|
한자표기 | 淸日戰爭 |
유형 | 사건 |
시대 | 조선시대 |
날짜 | 1894년-1895년 |
목차
정의
1894~1895년 조선의 지배를 둘러싸고 중국(청)과 일본 간에 벌어진 전쟁.
내용
청일전쟁의 배경
- 1894년 봄 전라도에서 제1차 동학농민군(東學農民軍)이 봉기하자 조선 정부는 양력 5월 7일 홍계훈(洪啓薰)을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로 임명, 진압하도록 명하였다. 그러나 장성에서 정부군을 격파한 농민군은 31일 전주까지 함락시켰다. 6월 2일 전주가 함락되었다는 보고를 받은 정부는 자력으로는 농민군을 진압할 수 없다고 판단, 임오군란 진압시의 전례에 따라 청국의 주차조선총리교섭통상사의(駐箚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 위안스카이(袁世凱)에게 원병을 요청하였다. 위안스카이를 통해 파병 요청을 받은 청국의 직례총독 겸 북양대신(直隷總督兼北洋大臣) 이홍장(李鴻章)은 6월 6일, 톈진조약(天津條約)에 의거하여 일본에 파병 사실을 통고하는 한편, 직례제독 예즈차오(葉志超)와 딩루창(丁汝昌) 휘하의 군사 2,800명을 충청도 아산에 급파하였다.[1]
- 일본 정부는 6월 2일 서울주재 임시대리공사 스기무라(杉村濬)로부터 조선이 청국에 파병을 요청하였다는 보고를 받았다. 때마침 중의원(衆議院)에서 내각탄핵상주안이 가결되어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려 있던 내각총리대신 이토(伊藤博文)는 이 보고를 받은 즉시 각의를 열어 중의원을 해산하였다. 그리고 ‘일본공사관 및 거류민을 보호한다.’라는 구실로 제5사단 오시마(大島義昌) 소장 휘하의 혼성여단을 조선에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6월 5일 참모본부 내에 대본영(大本營)이 설치되고, 동시에 오시마가 거느린 혼성여단 선발대가 요코스카(橫須賀) 항을 출발, 9일인천에 상륙하여 곧바로 서울로 진군하였다. 그 뒤 6월 하순까지 8,000여 명의 일본군이 경인(京仁)간에 집결하였다.[2]
- 조선 정부는, 일본이 독단으로 대규모 군인을 파병한 데 당황하고 이에 항의, 즉시 철병할 것을 요청하였다. 더욱이, 6월 11일 정부군과 동학농민군 사이에 전주화약(全州和約)이 성립되었기 때문에 외국군이 간섭할 구실이 없어진 상황이었다. 따라서 육전대(陸戰隊)와 함께 서울에 귀임한 오토리(大鳥圭介) 일본공사는, 위안스카이와 3차례에 걸친 회담 끝에 양국군의 공동 철수에 합의하기에 이르렀다.[3]
- 일본 정부는 국내에서의 정치적 혼란을 청국과의 전쟁으로 해결하고자 전쟁을 일으킬 명분을 찾으려 급급하였다. 그리하여 개전 구실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철병안 대신 조선의 내정을 공동으로 개혁하자는 안을 청국에 내놓았다. 일본의 예상대로 청국측이 이 제안을 거절하자 일본은 청국에 ‘제1차 절교서(絶交書)’를 보냄과 동시에 단독으로 조선의 ‘내정개혁’을 강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사이에 이홍장의 조정 의뢰에 따라 러시아와 미국이 일본군의 철수를 요구하였지만, 7월 중순 일본 정부는 청국에 ‘제2차 절교서’를 보내는 한편, 영국과 영일신조약(英日新條約)을 체결, 영국의 간접적인 지원을 얻어 개전을 서둘렀다.[4]
청일전쟁 일어나다
- 본국 정부의 개전 결의를 전달받은 오토리 공사는, 조선 정부에 청국의 대조선종주권 주장에 대한 확답을 요구하는 시한부 최후통첩을 발한 뒤 23일 경복궁을 불법 점령, 쿠데타를 통해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 김홍집(金弘集) 등을 앞세운 친일정권을 수립하였다. 청일전쟁은 7월 23일 일본군이 경복궁을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어 일본군은 서울의 조선군대를 무장시킨 다음 아산 근처에 집결한 청군을 공격할 태세를 갖추었다. 청일간의 본격적인 전투는 7월 25일 일본 해군이 풍도(豊島) 앞바다에서 청국함대를 기습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해전에서 청국군함과 청국 증원군을 태운 영국수송선 가오슝호(高陞號)가 일본 해군의 기습공격으로 격침되었다.이어 29일에 벌어진 성환전투에서 일본 육군은 아산에 상륙했던 청국군을 쉽게 격파해 버렸다. 일본 정부는 이처럼 육·해상의 초전에서 승리를 거둔 다음, 8월 1일에야 비로소 청국에 정식으로 선전포고를 했으며, 청국도 이에 응해 대일선전포고를 하였다.[5]
- 일본 정부는 열강의 간섭을 피해 가능한 한 빨리 승리를 거두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일본 육군이 9월 15∼17일 평양에 집결한 청국군 1만 4000명을 격파하고, 17일 해군이 황해전투에서 청국함대를 격침시켜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이렇게 평양과 황해에서 대승을 거둔 일본군은 곧이어 중국 본토에 대한 공략을 서둘렀다. 10월 하순 조선에 진주했던 일본의 제1군은 압록강을 건너 남만주로 진격하고, 제2군은 랴오둥반도(遼東半島)에 상륙하여 11월 하순 여순(旅順)·다롄(大連)을 점령하였다. 그런 다음 1895년 2월 2일 산둥반도(山東半島)의 웨이하이웨이(威海衛)에 있던 청국의 북양함대기지를 공략하였다.[6]
- 사태가 여기에까지 이르자 청국은 전쟁을 마무리짓기 위한 강화회담을 서둘러, 장인환(張蔭桓)을 전권대신으로 임명하여 일본에 파견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월 초 두 차례 열린 히로시마회담(廣島會談)에서 일본측은 자국에 더욱 유리한 강화조건을 확보할 목적으로 청국 전권대신의 위임장이 불완전하다며 그와의 교섭을 거부하고 전투를 재개하였다. 그 결과 3월 중순까지 일본 육군은 랴오둥반도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 청국은 그제야 이홍장을 전권대신으로 교체하고 강화회담 재개를 서둘렀다. 3월 20일부터 시모노세키(下關: 馬關)에서 이토와 이홍장이 양국을 대표해 강화회의를 하였다. 그리고 청일전쟁 이후 부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영국·러시아·프랑스·독일·미국 등 열강의 간섭을 우려한 일본은 결국 4월 17일 청일강화조약, 즉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을 성립시켰다.[7]
- 청일 간에 조인된 시모노세키조약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국은 조선국이 완전 무결한 독립자주국임을 확인한다. 따라서 이 독립자주를 손상시키는 조선국의 청국에 대한 공헌(貢獻)·전례(典禮) 등은 장래 완전히 이를 폐지한다.’ 이로써 중국이 전통적으로 조선에 대해 행사해 왔던 종주권은 부정되었다 동시에 일본은 강화도조약·제물포조약·톈진조약 등으로써 일관되게 추진해 온 조선에 대한 우월한 정치·군사·경제적 지배권을 확고하게 장악하였다. 둘째, 청국은 랴오둥반도·대만·펑후(澎湖)열도 등을 일본에 할양한다. 셋째, 청국은 전비배상금으로 고평은(庫平銀) 2억 냥(약 3억 엔)을 일본에 지불한다. 넷째, 청국은 일본에게 구미 열강이 청국에서 누리는 것과 동등한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함을 승인한다.[8]
- 시모노세키조약이 체결된 지 6일 후인 1895년 4월 23일 러시아를 중심으로 프랑스와 독일 등이 일본 정부에 대해 랴오둥반도를 청국에 반환하라는 요구, 즉 삼국간섭(三國干涉)을 하였다. 프랑스는 러불동맹(露佛同盟)의 동반자 입장에서, 독일은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야망을 아시아 쪽으로 돌리게 만들어 중국분할경쟁에서 유리한 지위를 확보할 목적으로 각각 러시아의 삼국간섭에 동조하였다. 결국, 5월 10일 삼국의 군사력에 대한 열세를 인정한 일본 정부는 간섭에 굴복, 랴오둥반도 영유권을 포기하고, 대신 청국으로부터 배상금 3000만 냥을 받기로 하였다. 삼국간섭을 계기로 일본은 러시아를 장래의 가상 적국으로 인식, 러일전쟁에 대비한 군비확장에 착수하였다. 삼국 간섭 이후 러시아는 랴오둥반도 남부를, 영국은 웨이하이웨이와 그 주변 지역을, 독일은 자오저우만(膠州灣) 주변 지역을 각각 조차(租借)하게 되었다.[9]
청일전쟁의 의의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중국 중심 세계질서(Sino-centric world order)’에 종지부를 찍고 신흥 일본을 이 지역의 패자로 등장시킨 동양 사상 획기적인 전쟁이었다. 또한 당시 아시아에서 대립하던 영국과 러시아 등 제국주의 열강들간의 영토분할경쟁을 촉발시킨 계기로 세계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뿌리깊은 청국의 종주권에서는 벗어났으나, 동시에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대상으로 바뀌어 인적·물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혹독한 수난을 당하였다. [10]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임오군란 | 동학농민 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영일신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갑오개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청일전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을미사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시모노세키 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삼국간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아관파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임오군란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동학농민 운동 | 전봉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동학농민 운동 | 영일신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전주화약 | 명성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전주화약 |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전주화약 | 흥선대원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전주화약 | 이노우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갑오개혁 | 이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갑오개혁 | 이홍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영일신조약 | 위안스카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친일정권 | 김홍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친일정권 | 흥선대원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을미사변 | 오토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을미사변 | 친일정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을미사변 | 김홍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을미사변 | 박영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동학농민 운동 | 이노우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갑오개화파 | 김홍집 | A는 B를 포함한다 | |
갑오개화파 | 유길준 | A는 B를 포함한다 | |
친일정권 | 이노우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친일정권 |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친일정권 | 박영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시모노세키 조약 | 이노우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시모노세키 조약 | 미우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삼국간섭 | 미우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삼국간섭 | 스기무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삼국간섭 | 흥선대원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삼국간섭 |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아관파천 |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아관파천 | 김홍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82년 | 임오군란이 일어났다 |
1894년 | 동학농민 운동이 일어났다 |
1894년 | 조선 정부군과 동학농민군은 전주화약을 맺었다 |
1894년 | 영국과 일본은 영일신조약을 맺었다 |
1894년-1895년 | 청일전쟁이 일어났다 |
1894년-1896년 | 갑오개혁이 일어났다 |
1895년 10월 8일 | 을미사변이 일어났다 |
1895년 4월 17일 | 청나라와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었다 |
1895년 4월 23일 | 러시아 프랑스 독일 3국이 일본에 간섭한 삼국간섭이 일어났다 |
1909년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가 일어났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 문희수, 「國際關係에 있어서 淸日戰爭(1894~1895)에 關한 史料와 연구(淸日戰爭 110 週年을 맞이하여)」,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 28, 2006, 87-129쪽.
- 최규진, 「청일전쟁기 지식인의 국제정세 인식과 세계관」, 『아시아문화연구』, Vol 26, 2012, 155-189쪽.
- 강효숙, 「일본의 전쟁 인식화(동학농민전쟁·청일전쟁 시기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연구』, Vol 29, 2015, 39-70쪽.
유용한 정보
- 유영익, "청일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