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마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관련유물유적=[[입암고택]][[충효당]] [[작천고택]] [[하동고택]] | |관련유물유적=[[입암고택]][[충효당]] [[작천고택]] [[하동고택]] | ||
}} | }} | ||
− | + | <!-- | |
=='''정의'''== | =='''정의'''== | ||
[[안동 하회마을]]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 [[안동 하회마을]]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 ||
=='''내용'''== | =='''내용'''== | ||
− | ===[[안동 하회마을 | + | ===[[안동 하회마을 역사와 특징=== |
[[풍산 류씨]] 집안의 발상지이며 그들의 자손들이 여기에 머물러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서애 [[류성룡]]과 겸암 [[류운룡]]이 이 곳에서 태어났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강거의 제일은 평양이요, 계승의 제일은 하회'라고 극찬하였다. [[풍산 류씨]]는 이곳에 600년이라는 시간 동안 터줏대감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이 마을 주민의 70%가 [[풍산 류씨]]이다. [[풍산 류씨|류씨]]가 터를 잡기 전에는 [[안동 허씨|허씨]]와 [[안동 안씨|안씨]]가 먼저 살고 있었는데, 하회탈의 제작자가 [[허도령]]이라는 말이 구전되고 있으며, 강건너 광덕동의 건짓골에는 [[허정승]]의 묘가 있어 지금도 해마다 [[풍산 류씨|류씨]]들이 벌초를 하고 있다고 한다. 1642년의 [[동원록|동원록(洞員錄)]]에는 [[풍원 류씨|류씨]] 이외에도 극히 적은 가구의 [[안동 허씨|허씨]]와 [[안동 안씨|안씨]]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풍산 류씨]] 집안의 발상지이며 그들의 자손들이 여기에 머물러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서애 [[류성룡]]과 겸암 [[류운룡]]이 이 곳에서 태어났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강거의 제일은 평양이요, 계승의 제일은 하회'라고 극찬하였다. [[풍산 류씨]]는 이곳에 600년이라는 시간 동안 터줏대감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이 마을 주민의 70%가 [[풍산 류씨]]이다. [[풍산 류씨|류씨]]가 터를 잡기 전에는 [[안동 허씨|허씨]]와 [[안동 안씨|안씨]]가 먼저 살고 있었는데, 하회탈의 제작자가 [[허도령]]이라는 말이 구전되고 있으며, 강건너 광덕동의 건짓골에는 [[허정승]]의 묘가 있어 지금도 해마다 [[풍산 류씨|류씨]]들이 벌초를 하고 있다고 한다. 1642년의 [[동원록|동원록(洞員錄)]]에는 [[풍원 류씨|류씨]] 이외에도 극히 적은 가구의 [[안동 허씨|허씨]]와 [[안동 안씨|안씨]]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안동 하회마을]]의 유형문화재=== | ===[[안동 하회마을]]의 유형문화재=== | ||
+ | ====국보==== | ||
+ | *[[징비록]] | ||
+ | [[징비록]]은 국보132호로 서애 [[류성룡]]이 [[임진왜란]]을 기록한 기록물이다. 필사본 [[징비록]]은 경상도 관찰사 [[조수익]]이 [[류성룡|서애]] 손자의 요청으로 1647년(인조 25)에 16권 7책으로 간행하였으며, 1695년(숙종 21)에는 교토 야마토야에서도 간행되었고, 1712년 조정에서는 [[징비록]]의 일본 유출을 금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하회탈]] | ||
+ | [[하회탈]]은 국보 제121호로 우리 나라에서 현존하는 탈 중 가장 오래된 탈이다. 지금은 각시, 중, 양반, 선비, 초랭이, 이매, 부네, 백정, 할미 9개의 탈만 전해지며, 이 중 3개의 탈은 분실되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고택==== | ||
+ | *[[입암고택]] | ||
+ | 보물 제306호인 [[입암고택]]은 입암(立巖) [[류중영]]의 호를 따서 [[입암고택|입암고택(立巖古宅)]] 또는 [[양진당|양진당(養眞堂)]]이라고 부른다. 현재 풍산 류씨 겸암파의 대종택으로 보물 제306호이다. 사랑채는 고려시대의 건축양식을 가지며, 안채는 조선의 건축양식을 가지고 있는 고려와 조선의 건축양식이 공존하는 고택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충효당]] | ||
+ | 보물 제414호인 [[충효당]]은 [[류성룡|서애]]의 문하생과 삼림들이 장손 [[류원지]]를 도와서 지었고, 증손자 [[류의하]]에 의해 확장된 조선시대 사대부 양식의 고택이다. [[충효당]] 내에는 [[영모각]]이 별도로 건립되어 [[류성룡|서애 선생]]의 저서와 유품이 전시되고 있으며, 바깥마당에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방문기념식수가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작천고택]] | ||
+ | 국가민속문화재 제87호로 작천고택 또는 [[류시주]] 가옥이라고 부른다. 원래 작천 [[류도관]]의 호를 따서 [[작천고택]]이라고 불렀는데, 현재의 집주인인 [[류시주]]의 이름을 따서 부르기도 한다. 조선중기의 건축양식을 다랐으며, 1934년 대홍수로 1채가 유실되고 현재는 일자형의 안채만 남아있다. 사랑방에서 안방으로 이어지는 앞마당에는 작은 토담을 쌓아 사랑방 손님과 안채의 부녀자가 마주치는 일이 없도록 만든 것이 재미있는 특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 | |||
+ | <!-- | ||
+ | *[[하동고택]]{{유물유적정보 | ||
+ | |사진=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1_안동_하회마을_전경.jpg | ||
+ | |사진출처="[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 | ||
+ | |대표명칭=안동 하회마을 | ||
+ | |한자표기=安東河回里 | ||
+ | |영문명칭=Historic Villages of Korea(Hahoe and Yangdong) | ||
+ | |이칭= | ||
+ | |유형=유적 | ||
+ | |시대=조선시대 | ||
+ | |지정번호=유네스코 세계유산 문화유산 1324호 | ||
+ | |지정일=2010년 | ||
+ | |소장처=경상북도 안동시 종가길 풍천면 하회 안동 하회마을 | ||
+ | |경도=128.517983 | ||
+ | |위도=36.539055 | ||
+ | |수량= | ||
+ | |관련인물=[[류성룡]] | ||
+ | |관련단체=[[풍산 류씨]]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징비록]] [[하회탈]] | ||
+ | |관련유물유적=[[입암고택]][[충효당]] [[작천고택]] [[하동고택]] | ||
+ | }} | ||
+ | --> | ||
+ | =='''정의'''== | ||
+ | [[안동 하회마을]]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 ||
+ | |||
+ | =='''내용'''== | ||
+ | ===[[안동 하회마을]] 역사와 특징=== | ||
+ | [[풍산 류씨]] 집안의 발상지이며 그들의 자손들이 여기에 머물러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서애 [[류성룡]]과 겸암 [[류운룡]]이 이 곳에서 태어났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강거의 제일은 평양이요, 계승의 제일은 하회'라고 극찬하였다. [[풍산 류씨]]는 이곳에 600년이라는 시간 동안 터줏대감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이 마을 주민의 70%가 [[풍산 류씨]]이다. [[풍산 류씨|류씨]]가 터를 잡기 전에는 [[안동 허씨|허씨]]와 [[안동 안씨|안씨]]가 먼저 살고 있었는데, 하회탈의 제작자가 [[허도령]]이라는 말이 구전되고 있으며, 강건너 광덕동의 건짓골에는 [[허정승]]의 묘가 있어 지금도 해마다 [[풍산 류씨|류씨]]들이 벌초를 하고 있다고 한다. 1642년의 [[동원록|동원록(洞員錄)]]에는 [[풍원 류씨|류씨]] 이외에도 극히 적은 가구의 [[안동 허씨|허씨]]와 [[안동 안씨|안씨]]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안동 하회마을]]의 무영문화재=== | ||
+ | [[안동 하회마을]]은 [[하회탈춤]]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선유 줄불놀이|선유 불꽃놀이]]와 [[하회별신굿탈놀이|별신굿 탈놀이]]가 있다. [[선유 줄불놀이|선유 불꽃놀이]]는 선비들의 놀이이고, [[하회별신굿탈놀이|별신굿 탈놀이]]는 서민들의 놀이이다. <ref>" | ||
+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 | ====[[하회별신굿탈놀이]]==== | ||
+ |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약 500년 전부터 10년에 한번 정월 보름날 또는 특별한 일이 있을 때에 서낭신에게 별신굿을 해 왔는데, 굿과 아울러 서낭신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행하여 지던 탈놀이였다. 우리 나라의 탈춤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탈을 쓴 광대가 양반을 향해 온갖 쓴 소리를 내 뱉는다. 이는 서민의 유일한 언로였다. 1928년 이후로 단절되다가 [[류한상]] 전 안동문화원장이 화회탈과 함께 발굴하여 재생을 하였고, 서울대학교 [[이두현]] 교수에 의해 대사관을 통해 홍보되었다. 놀이마당은 무동마당, 주지마당, 백정마당, 할미마당, 파계승마당, 양반과 선비마당, 혼례마당, 신방마당의 여덟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선유 줄불놀이]]==== | ||
+ | 한여름 무더위가 계속되는 매년 음력 7월 16일, 안동의 선비들이 부용대 단애 밑을 흐르는 강 위에서 선유시회를 겸한 불꽃놀이 축제를 벌였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선유 줄불놀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 | ===[[안동 하회마을]]의 유형문화재=== | ||
+ | *국보로는 [[류성룡]]이 저술한 [[징비록]]과 우리 나라에서 현존하는 탈 중에서 가장 오래된 [[하회탈]]이 있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마을 안에 있는 고택은 [[입암고택]], [[충효당]], [[작천고택]], [[하동고택]], [[귀촌고택]], [[북촌댁]], [[남촌댁]], [[주일재]], [[지산서루]], [[하정재]], [[담연재]]가 있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서원으로는 [[류성룡]]이 세운 [[병산서원]]이 있다. 그리고 겸암 [[류운룡]]을 배향한 [[화천서원]]이 있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정사(精舍)는 [[원지정사|원지정사(遠志精舍)]]가 있다. 그리고 [[류성룡]]의 형인 [[류운룡]]이 서재로 사용했던 [[빈연정사|빈연정사(賓淵精舍)]]와 [[류성룡]]이 1586년에 건설한 [[옥연정사]]가 있다. 이 정사는 그가 저술한 [[징비록]]이 저술된 곳이기도 하다. 그 외에 [[겸암정사]]가 있는데 이 정사는 [[류운룡]]이 학문 연구와 후진양성을 위해 건립한 곳이다. 이 정사의 현판은 스승인 [[이황]]의 글씨이다. 마지막으로 [[상봉정]]이 있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주변 경관으론 마을 중앙에 수령 600년 이상이 되는 [[삼신당 느티나무|느티나무]]가 있으며 이 나무는 [[풍산 류씨]] 입향 시조인 [[류종혜|전서공]]이 심었다고 한다. 연좌루 서쪽 건너편에 수백년된 [[화수당 노송|노송]]이 있다. 그리고 [[류운룡]]이 직접 심었다는 소나무 숲인 [[만송정]]과 [[안동 하회마을|하회마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80미터 높이 절벽인 [[부용대]]가 있다. 전세계 및 한국의 탈을 모아놓은 [[탈박물관]]이 있으며 국보 제15호로 지정된 [[봉정사]]가 있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 | ||
====국보==== | ====국보==== | ||
*[[징비록]] | *[[징비록]] | ||
122번째 줄: | 192번째 줄: | ||
====[[봉정사]]==== | ====[[봉정사]]==== | ||
[[봉정사|봉정사(鳳停寺)]]는 672년(신라 문무왕 12)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 스님]]이 천등산에 창건한 사찰이다. 그 후 6차례에 걸쳐 중수를 하였으며, [[극락전]]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며 국보 제15호에 지정되어 있고, [[대웅전]]은 보물 제 55호, [[화엄강당]]은 보물 448호, [[고금당]]은 보물 제 449호에 지정되어 있다. [[고려 태조]]와 [[공민왕]]도 이곳을 찾은 유명 사찰이며,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봉정사|봉정사(鳳停寺)]]는 672년(신라 문무왕 12)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 스님]]이 천등산에 창건한 사찰이다. 그 후 6차례에 걸쳐 중수를 하였으며, [[극락전]]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며 국보 제15호에 지정되어 있고, [[대웅전]]은 보물 제 55호, [[화엄강당]]은 보물 448호, [[고금당]]은 보물 제 449호에 지정되어 있다. [[고려 태조]]와 [[공민왕]]도 이곳을 찾은 유명 사찰이며,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128번째 줄: | 198번째 줄: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풍산 류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풍산 류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안동 허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있었다|| | + | |[[안동 허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있었다||A?ekc:formerLocation?B |
|- | |- | ||
− | |[[안동 안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있었다|| | + | |[[안동 안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있었다||A?ekc:formerLocation?B |
|- | |- | ||
− | |[[안동 하회마을]]||[[선유 줄불놀이]]||A는 B와 관련이있다|| | + | |[[안동 하회마을]]||[[선유 줄불놀이]]||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하회탈춤]]||[[하회별신굿탈놀이]]||A는 B를 포함한다|| | + | |[[하회탈춤]]||[[하회별신굿탈놀이]]||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하회탈춤]]||[[안동 하회마을]]||A는 B와 관련이있다|| | + | |[[하회탈춤]]||[[안동 하회마을]]||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풍산 류씨]]||[[류성룡]]||A는 B를 포함한다|| | + | |[[풍산 류씨]]||[[류성룡]]||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풍산 류씨]]||[[류운룡]]||A는 B를 포함한다|| | + | |[[풍산 류씨]]||[[류운룡]]||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안동 허씨]]||[[허정승]]||A는 B를 포함한다|| | + | |[[안동 허씨]]||[[허정승]]||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징비록]]||[[류성룡]]||A는 B에의해 저술되었다|| | + | |[[징비록]]||[[류성룡]]||A는 B에의해 저술되었다||A?dcterms:creator?B |
|- | |- | ||
− | |[[안동 하회마을]]||[[하회탈]]||A는 B와 관련이있다|| | + | |[[안동 하회마을]]||[[하회탈]]||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임암고택]]||[[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임암고택]]||[[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충효당]]||[[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충효당]]||[[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작천고택]]||[[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작천고택]]||[[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북촌댁]]||[[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북촌댁]]||[[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남촌댁]]||[[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남촌댁]]||[[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지산서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지산서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병산서원]]||[[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병산서원]]||[[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화천서원]]||[[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화천서원]]||[[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빈연정사]]||[[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빈연정사]]||[[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옥연정사]]||[[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옥연정사]]||[[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만송정]]||[[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만송정]]||[[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부용대]]||[[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부용대]]||[[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탈박물관]]||[[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 | + | |[[탈박물관]]||[[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병산서원]]||[[류성룡]]||A는 B와 관련이있다|| | + | |[[병산서원]]||[[류성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화천서원]]||[[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 | + | |[[화천서원]]||[[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옥연정사]]||[[류성룡]]||A는 B와 관련이있다|| | + | |[[옥연정사]]||[[류성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빈연정사]]||[[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 | + | |[[빈연정사]]||[[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만송정]]||[[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 | + | |[[만송정]]||[[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부용대]]||[[선유 줄불놀이]]||A는 B와 관련이있다|| | + | |[[부용대]]||[[선유 줄불놀이]]||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234번째 줄: | 304번째 줄: | ||
**임재해, 「세계문화유산으로서 하회마을 민속의 문화적 가치」, 『국학연구』, Vol-13, 2008, 273-311쪽. | **임재해, 「세계문화유산으로서 하회마을 민속의 문화적 가치」, 『국학연구』, Vol-13, 2008, 273-311쪽. | ||
**조정현,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비교민속학』, Vol-41, 2010, 168-187쪽. | **조정현,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비교민속학』, Vol-41, 2010, 168-187쪽. | ||
+ | <!--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 | ||
+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 문화유산]] | ||
+ | [[분류:이창섭]] | ||
+ | |||
+ | 국가민속문화재 제177호로 [[안동 하회마을]] 동쪽에 있다고 하여 [[하동고택]]이라고 불린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귀촌고택]] | ||
+ | 풍산 류씨 귀촌파(龜村派)의 종가집이며, 사당에는 귀촌 [[류경심]] 공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그의 어머니 [[영양남씨]]와 며느리 [[문소김씨]]는 모두 열녀로 정려비가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북촌댁]] | ||
+ | 국가민속문화재 제84호로 [[북촌댁]]은 1797년(정조 21)에 지중추부사 [[류사춘]]에 의해 처음 건물이 세워졌고, 1862년(철종 13)에 경상도도사 [[류도성]]에 의해 증축되어 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마을 북쪽의 99칸 집으로 불리었으며, 사랑채와 안채, 별당, 사당, 대문간채를 두루 갖춘 전형적인 사대부 집의 건축양식을 가지고 있다. 주요 건축물로는 큰 사랑채인 북촌유거와 중간 사랑인 화경당, 작은 사랑인 수신와를 비롯하여 안채, 등이 있고, [[류이좌]]의 유품이 몇 점 남아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남촌댁]] | ||
+ | 국가민속문화재 제90호로 정종 21년(1797) 지은 99칸의 건물로 [[안동 하회마을]] 남쪽 사대부의 가옥을 대표하였으나, 1954년 화재로 안채와 사랑채가 소실되고 내부에 있던 진귀한 도서와 골동품들이 모두 불타버리고, 현재는 대문간채와 별당, 사당만 남아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주일재]] | ||
+ | [[주일재]]는 국가민속문화재 제91호로 사랑채, 안채, 사당, 광채로 구성되어 있다. 마당에 들어서면, 정면으로 사랑채가 이고, 왼편으로 내외담이라고 하는 작은 담장이 있다. 안채로 통하는 문 앞에 쌓아서 안채가 보이지 않게 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지산서루 | ||
+ | [[지산서루|지산서루(志山書樓)]]는 대문없이 널찍한 정원을 가지고 있으며, 사랑채와 안채가 있는 고택이다. 사랑채는 정사와 유사한 형태로 지어졌으며, 우승지와 대사간을 지낸 [[류지영]]이 독서에 매진하기 위해 지은 도사관이다. 그의 호를 따서 사랑채 이름을 [[지산서루]]로 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하정재]] | ||
+ | [[원지정사]]와 가장 가까이에 있는 고택으로 사랑채의 마루에서 보면 부용대와 시내가 한눈에 보이며 동쪽으로는 화산을 바라보고 있으므로 전형적인 선비의 음풍농월을 즐길 수 있는 고택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담연재]] | ||
+ | [[담연재]]는 신축된 전통양식의 저택이며,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방문 때 이곳 앞마당에서 [[하회탈춤]] 공연이 펼쳐졌던 곳이다. 탤런트 [[류시원]]의 부친 소유의 저택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서원==== | ||
+ | *[[병산서원]] | ||
+ | [[병산서원|병산서원(屛山書院)]]은 사적 제260호로 1572년 서애 [[류성룡]]이 31세 때에 건립하여 후진을 양성하던 서원이다. [[류성룡|서애]]의 사후 7년 후인 1614년 [[류성룡|서애]]를 존경하던 사림들이 [[존덕사|존덕사(尊德祠)]]를 세워 [[류성룡]]을 배향하였고, [[류성룡|서애]]의 셋째 아들 수암 [[류진]] 사후에 그도 배향하였다. 1863년 병산으로 사액을 받았으며, 복례문, 만대루, 동재, 서재, 입교당, 장판각, 존덕사, 전사청, 고직사 등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화천서원]] | ||
+ | [[화천서원]]은 부용대 동쪽 기슭에 세워져 있으며, 겸암 [[류운룡]]을 배향한 곳이다. 정조 10년 [[경덕사|경덕사(景德祠)]]를 세워 이곳에 배향하였고, 고종 5년 서원 철폐령에 따라 강당과 주소만 남고, 철거되었다가 1996년 다시 복원되었다. 경내에는 사당 경덕사를 비롯해, 강당인 숭교당, 동재와 서재, 문루 지산루, 원문 유도문, 주소 전사청 등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정사(精舍)==== | ||
+ | *[[원지정사]] | ||
+ | [[원지정사|원지정사(遠志精舍)]]는 조선 중기의 정자 건축물로 국가민속문화재 제85호로 원지산(遠志山)을 바라보고 있다고 하여 [[원지정사]]로 이름지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빈연정사]] | ||
+ | [[빈연정사|빈연정사(賓淵精舍)]]는 [[류성룡|서애]] 선생의 친형으로 원주목사를 지낸 겸암 [[류운룡|류운룡(柳雲龍)]]이 서재로 사용하던 집이다. [[부용대]]의 절벽 아래 깊은 곳은 빈연(賓淵)이라고 부렀는데, 이것을 따서 이름지었다. 1583년에 지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국가민속문화재 제86호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옥연정사]] | ||
+ | [[옥연정사|옥연정사(玉淵精舍)]]는 국가민속문화재 제88호로 서애 [[류성룡]]이 재정적인 문제로 세우지 못하다가, [[탄홍 스님]]이 자청하여 10년동안 시주를 거두어 1576년(선조 9) 짓기 시작하여, 1586년(선조 19)에 완성하였다. 이때 [[류성룡|서애]]의 나이 45세였고, 집을 완공한 뒤 4년 뒤에 [[임진왜란]]이 일어난다. 1605년 낙동강 대홍수로 하회의 살림집을 모두 잃고, 이곳에 은거하여 [[징비록]]을 저술하였다. 내부에는 서당으로 사용하던 세심재(洗心齊)와 [[류성룡|서애]]가 거주하며, [[징비록]]을 지었던 원락재(遠樂齋)가 있다. 하회마을에서 나룻배를 타고 이동하면 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겸암정사]] | ||
+ | [[겸암정사]]는 국가민속문화재 제8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567년(명종 22) 겸암 [[류운룡]]이 학문연구와 후진 양성을 위해 건립한 조선 중기 양식의 정자채이다. 정사는 2층 누각 형식으로 되어 있고, [[겸암정]]이라는 현판은 스승인 [[이황]]의 글씨라고 전해진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상봉정]] | ||
+ | [[상봉정|상봉정(翔鳳亭)]]은 마을 강건너 서쪽 언덕에 있으며, [[류성룡|서애]]는 봉이 나는 형국이라 하여 [[상봉대|상봉대(翔鳳臺)]]로 이름짓고 정사를 지으려 하였으나 재정적인 문제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류운룡]]의 증손인 [[류세철]]이 현재의 정사를 세웠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안동 하회마을]]의 민간신앙과 자연=== | ||
+ | ====[[삼신당 느티나무]]==== | ||
+ | 마을 중앙에는 수령 600년 이상으로 추측되는 [[삼신당 느티나무|느티나무]]가 있다. 풍산 류씨 입향 시조인 [[류종혜|전서공]]이 심었다고 전해지며, 이 나무를 잘못 건드리면 재앙을 입는다는 토속신앙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풍수지리상 마을의 혈에 해당하는 곳으로 하당으로 불리며, 정월과 대보름에는 마을의 안녕을 비는 [[동제]]를 지낸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화수당 노송]]==== | ||
+ | 연좌루에서 서쪽 건너편으로 내려보면 수백년 이상된 [[화수당 노송|노송]]이 눈에 두드러진다. 옛날에는 이곳에 [[화수당]]이 있어 3.1 독립운동 때에 이 소나무 앞에 사람들이 모여 만세를 불렀다고 전해진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만송정]]==== | ||
+ | 서애 [[류성룡]]의 형인 겸암 [[류운룡]]이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소나무 숲이다. 천연기념물 제473호로 지정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부용대]]==== | ||
+ | [[부용대|부용대(芙蓉臺)]]는 [[안동 하회마을|하회마을]]을 마주보고 있는 높이 80m의 절벽으로 태백산맥의 맨 끝부분이다. 정상에 올라가면 [[안동 하회마을|하회마을]]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이곳은 [[선유줄불놀이]]의 장소로 유명하다. 이곳 정상에서 강건너 만송정까지 200m 정도되는 동앗줄 다섯 가락을 내걸고, 심지에 불을 붙인 길이 45cm 정도의 숯봉지를 1m 간격으로 달아 부용대 쪽에서 불붙은 숯봉지를 끌어 올리는 놀이가 [[선유줄불놀이]]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안동 하회마을]]속 박물관=== | ||
+ | ====[[탈박물관]]==== | ||
+ | [[안동 하회마을]]에서 수집한 각종 전통 [[하회탈]]과 탈춤에 필요한 온 갓 것들을 수집해 놓은 곳이다. 전시실은 제 1전시실 한국관과 제2전시실 세계관, 제 3전시실 아프리카관으로 나뉘며, 한국관에는 국가무형문화재로 등록된 13종류와 지방문화재 2종류 나례에 사용되는 탈 등 200여점을 전시한다. 세계관에는 아프리카를 제외한 전 세계의 탈들을 소개한다. 아프리카관에서는 콩고와 자이르를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의 탈과 악기, 생활용품 등을 전시한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방문기념관도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안동 하회마을]]과 주변명소=== | ||
+ | ====[[봉정사]]==== | ||
+ | [[봉정사|봉정사(鳳停寺)]]는 672년(신라 문무왕 12)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 스님]]이 천등산에 창건한 사찰이다. 그 후 6차례에 걸쳐 중수를 하였으며, [[극락전]]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며 국보 제15호에 지정되어 있고, [[대웅전]]은 보물 제 55호, [[화엄강당]]은 보물 448호, [[고금당]]은 보물 제 449호에 지정되어 있다. [[고려 태조]]와 [[공민왕]]도 이곳을 찾은 유명 사찰이며,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풍산 류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안동 허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있었다||A?ekc:formerLocation?B | ||
+ | |- | ||
+ | |[[안동 안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있었다||A?ekc:formerLocation?B | ||
+ | |- | ||
+ | |[[안동 하회마을]]||[[선유 줄불놀이]]||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하회탈춤]]||[[하회별신굿탈놀이]]||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 |[[하회탈춤]]||[[안동 하회마을]]||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풍산 류씨]]||[[류성룡]]||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 |[[풍산 류씨]]||[[류운룡]]||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 |[[안동 허씨]]||[[허정승]]||A는 B를 포함한다||A?dcterms:hasPart?B | ||
+ | |- | ||
+ | |[[징비록]]||[[류성룡]]||A는 B에의해 저술되었다||A?dcterms:creator?B | ||
+ | |- | ||
+ | |[[안동 하회마을]]||[[하회탈]]||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임암고택]]||[[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충효당]]||[[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작천고택]]||[[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북촌댁]]||[[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남촌댁]]||[[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지산서루]]||[[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병산서원]]||[[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화천서원]]||[[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빈연정사]]||[[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옥연정사]]||[[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만송정]]||[[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부용대]]||[[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탈박물관]]||[[안동 하회마을]]||A는 B에 위치한다||A?edm:currentLocation?B | ||
+ | |- | ||
+ | |[[병산서원]]||[[류성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화천서원]]||[[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옥연정사]]||[[류성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빈연정사]]||[[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만송정]]||[[류운룡]]||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부용대]]||[[선유 줄불놀이]]||A는 B와 관련이있다||A?edm:isRelatedTo?B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572년||[[류성룡]]이 [[병산서원]]을 건립하였다 | ||
+ | |- | ||
+ | |1583년||[[류운룡]] 이 [[빈연정사]]를 건립하였다 | ||
+ | |- | ||
+ | |1586년||[[류성룡이]] [[옥연정사]]를 세웠다 | ||
+ | |- | ||
+ | |1647년||[[류성룡]]이 지은 [[징비록]]을 [[류성룡]] 손자가 조정에 청을 넣어 간행하였다 | ||
+ | |- | ||
+ | |1797년||[[북촌댁]]이 건립되었다 | ||
+ | |- | ||
+ | |1797년||[[남촌댁]]이 건립되었다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1_안동_하회마을_전경.jpg | 하회마을 전경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2_안동_하회마을_전통_가옥.jpg | 하회마을 전통 가옥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3_안동_하회마을_별신굿_탈놀이.jpg | 하회마을 별신굿 탈놀이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4_안동_하회마을_안동_하회탈.jpg | 하회마을 안동 하회탈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5_안동_하회마을의_옹기.jpg | 하회마을 옹기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6_안동_하회마을_느티나무와 장승.jpg | 하회마을 느티나무와 장승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7_안동_하회마을_부용대에서_바라본_소나무숲_만송정.jpg | 부용대에서 바라본 만송정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8_안동_하회마을_안동소주와_하회탈.jpg | 하회마을 안동소주와 하회탈 | ||
+ | 파일:한글팀_안동_하회마을_09_안동_하회마을_탈모양_바닥장식.jpg | 하회마을 탈모양 바닥장식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단행본 | ||
+ | **김환대, 『경주 양동 안동 하회마을(한옥과 자연이 숨 쉬는 500년 전통 마을 이야기)』, 지식파수꾼(경향미디어), 2010. | ||
+ | |||
+ | *논문 | ||
+ | **임재해, 「세계문화유산으로서 하회마을 민속의 문화적 가치」, 『국학연구』, Vol-13, 2008, 273-311쪽. | ||
+ | **조정현,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비교민속학』, Vol-41, 2010, 168-187쪽. | ||
+ | |||
+ | ===유용한 정보=== | ||
+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 문화유산]] | [[분류: 문화유산]] | ||
[[분류:이창섭]] | [[분류:이창섭]] |
2017년 10월 2일 (월) 20:55 판
안동 하회마을 (安東河回里) |
|
대표명칭 | 안동 하회마을 |
---|---|
한자표기 | 安東河回里 |
영문명칭 | Historic Villages of Korea(Hahoe and Yangdong) |
유형 | 유적 |
시대 | 조선시대 |
지정번호 | 유네스코 세계유산 문화유산 1324호 |
지정일 | 2010년 |
소장처 | 경상북도 안동시 종가길 풍천면 하회 안동 하회마을 |
관련인물 | 류성룡 |
관련단체 | 풍산 류씨 |
관련물품 | 징비록 하회탈 |
관련유물유적 | 입암고택충효당 작천고택 하동고택 |
|
목차
정의
안동 하회마을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내용
안동 하회마을 역사와 특징
풍산 류씨 집안의 발상지이며 그들의 자손들이 여기에 머물러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서애 류성룡과 겸암 류운룡이 이 곳에서 태어났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강거의 제일은 평양이요, 계승의 제일은 하회'라고 극찬하였다. 풍산 류씨는 이곳에 600년이라는 시간 동안 터줏대감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이 마을 주민의 70%가 풍산 류씨이다. 류씨가 터를 잡기 전에는 허씨와 안씨가 먼저 살고 있었는데, 하회탈의 제작자가 허도령이라는 말이 구전되고 있으며, 강건너 광덕동의 건짓골에는 허정승의 묘가 있어 지금도 해마다 류씨들이 벌초를 하고 있다고 한다. 1642년의 동원록(洞員錄)에는 류씨 이외에도 극히 적은 가구의 허씨와 안씨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1]
안동 하회마을의 무영문화재
안동 하회마을은 하회탈춤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선유 불꽃놀이와 별신굿 탈놀이가 있다. 선유 불꽃놀이는 선비들의 놀이이고, 별신굿 탈놀이는 서민들의 놀이이다. [2]
안동 하회마을의 유형문화재
- 정사(精舍)는 원지정사(遠志精舍)가 있다. 그리고 류성룡의 형인 류운룡이 서재로 사용했던 빈연정사(賓淵精舍)와 류성룡이 1586년에 건설한 옥연정사가 있다. 이 정사는 그가 저술한 징비록이 저술된 곳이기도 하다. 그 외에 겸암정사가 있는데 이 정사는 류운룡이 학문 연구와 후진양성을 위해 건립한 곳이다. 이 정사의 현판은 스승인 이황의 글씨이다. 마지막으로 상봉정이 있다. [6]
- 주변 경관으론 마을 중앙에 수령 600년 이상이 되는 느티나무가 있으며 이 나무는 풍산 류씨 입향 시조인 전서공이 심었다고 한다. 연좌루 서쪽 건너편에 수백년된 노송이 있다. 그리고 류운룡이 직접 심었다는 소나무 숲인 만송정과 하회마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80미터 높이 절벽인 부용대가 있다. 전세계 및 한국의 탈을 모아놓은 탈박물관이 있으며 국보 제15호로 지정된 봉정사가 있다. [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풍산 류씨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안동 허씨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있었다 | A?ekc:formerLocation?B |
안동 안씨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있었다 | A?ekc:formerLocation?B |
안동 하회마을 | 선유 줄불놀이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하회탈춤 | 하회별신굿탈놀이 | A는 B를 포함한다 | A?dcterms:hasPart?B |
하회탈춤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풍산 류씨 | 류성룡 | A는 B를 포함한다 | A?dcterms:hasPart?B |
풍산 류씨 | 류운룡 | A는 B를 포함한다 | A?dcterms:hasPart?B |
안동 허씨 | 허정승 | A는 B를 포함한다 | A?dcterms:hasPart?B |
징비록 | 류성룡 | A는 B에의해 저술되었다 | A?dcterms:creator?B |
안동 하회마을 | 하회탈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임암고택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충효당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작천고택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북촌댁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남촌댁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지산서루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화천서원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빈연정사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옥연정사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만송정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부용대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탈박물관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edm:currentLocation?B |
병산서원 | 류성룡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화천서원 | 류운룡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옥연정사 | 류성룡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빈연정사 | 류운룡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만송정 | 류운룡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부용대 | 선유 줄불놀이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edm:isRelatedTo?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72년 | 류성룡이 병산서원을 건립하였다 |
1583년 | 류운룡 이 빈연정사를 건립하였다 |
1586년 | 류성룡이 옥연정사를 세웠다 |
1647년 | 류성룡이 지은 징비록을 류성룡 손자가 조정에 청을 넣어 간행하였다 |
1797년 | 북촌댁이 건립되었다 |
1797년 | 남촌댁이 건립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환대, 『경주 양동 안동 하회마을(한옥과 자연이 숨 쉬는 500년 전통 마을 이야기)』, 지식파수꾼(경향미디어), 2010.
- 논문
- 임재해, 「세계문화유산으로서 하회마을 민속의 문화적 가치」, 『국학연구』, Vol-13, 2008, 273-311쪽.
- 조정현,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비교민속학』, Vol-41, 2010, 168-18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