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포식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3번째 줄: 23번째 줄:
  
 
==개요==
 
==개요==
이서가 인조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
+
[[이서]]가 [[인조]]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
 +
 
 
==텍스트==
 
==텍스트==
이서李曙, 1580~1637가 인조仁祖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이다.
+
[[이서|이서李曙]], 1580~1637가 [[인조|인조仁祖]]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이다.
책의 내용은 먼저 제반 총통銃筒의 일반적인 용약법用藥法을 기술한 다음 천자총통天字銃筒·지자총통地字銃筒·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대완구大碗口 등 각종 화약병기의 용약법과 발사물을 수록하고 있다. 특히 <중신기화차>에는 현대 다연장로켓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중신기전 100발을 발사할 수 있는 중신기화차와 주자총통 50문을 탑재할 수 있는 화차 등이 수록되어 있다.
+
책의 내용은 먼저 제반 총통銃筒의 일반적인 용약법用藥法을 기술한 다음 천자총통天字銃筒·지자총통地字銃筒·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대완구大碗口 등 각종 화약병기의 용약법과 발사물을 수록하고 있다. 특히 <[[중신기화차]]>에는 현대 다연장로켓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중신기전 100발을 발사할 수 있는 중신기화차와 주자총통 50문을 탑재할 수 있는 화차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 장서각 소장본은 책 후반부에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가 합철되어 있고, 책 끝에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1685년숙종11에 황해 병영黃海兵營에서 중간한 목판본이다.
+
본 장서각 소장본은 책 후반부에 『[[신전자취염초방언해|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가 합철되어 있고, 책 끝에 [[최명길|최명길崔鳴吉, 1586~1647]]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1685년숙종11에 황해 병영黃海兵營에서 중간한 목판본이다.
 
이 책은 조총류鳥銃類를 수록하지 않은 점과 사거리를 밝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당시에 사용된 화약병기의 종류와용약법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본 간의 비교를 통해 17세기 국어 표기법의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8쪽.</REF>
 
이 책은 조총류鳥銃類를 수록하지 않은 점과 사거리를 밝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당시에 사용된 화약병기의 종류와용약법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본 간의 비교를 통해 17세기 국어 표기법의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8쪽.</REF>
  

2017년 2월 16일 (목) 16:40 판

화포식언해
한글팀 화포식언해 01 표지.jpg
한자명칭 火砲式諺解
영문명칭 A Korean translation of Hwaposik which is an instruction manual of guns and gunpowder manufacturing.
작자 이서
작성시기 1635년(인조13)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311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33.3×21.8㎝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이서인조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

텍스트

이서李曙, 1580~1637가 인조仁祖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이다. 책의 내용은 먼저 제반 총통銃筒의 일반적인 용약법用藥法을 기술한 다음 천자총통天字銃筒·지자총통地字銃筒·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대완구大碗口 등 각종 화약병기의 용약법과 발사물을 수록하고 있다. 특히 <중신기화차>에는 현대 다연장로켓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중신기전 100발을 발사할 수 있는 중신기화차와 주자총통 50문을 탑재할 수 있는 화차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 장서각 소장본은 책 후반부에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가 합철되어 있고, 책 끝에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1685년숙종11에 황해 병영黃海兵營에서 중간한 목판본이다. 이 책은 조총류鳥銃類를 수록하지 않은 점과 사거리를 밝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당시에 사용된 화약병기의 종류와용약법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본 간의 비교를 통해 17세기 국어 표기법의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화포식언해 인물 이서
화포식언해 인물 인조
화포식언해 사건 병인사옥
화포식언해 개념 총포
화포식언해 개념 화약
화포식언해 개념 중신기화차
화포식언해 개념 신전자취염초방언해
화포식언해 개념 황해병영
화포식언해 개념 조총류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화포식언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화포식언해 간행년 1635년(인조13)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