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륜행실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1번째 줄: 21번째 줄:
 
</noinclude>
 
</noinclude>
 
==개요==
 
==개요==
조신(曺伸, 1454~1529)이 중종의 명으로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
+
[[조신(曺伸, 1454~1529)|조신]]이 중종의 명으로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
  
 
==텍스트==
 
==텍스트==
"조신曺伸, 1454~1529이 중종의 명으로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이다. 이 책은 1518년 경상도 김산군金山郡: 지금의 金泉에서 간행한 초간본이며 현재 알려진 국내 소장본 중 가장 빠른 본으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수택본手澤本이다. 본문 각 장의 전면에는 그림이 수록되고, 그림의 상단 여백에 언해가 수록되었다. 후면에는 한문으로 작성한 사적事跡과 시찬詩贊이 있다.
+
[[조신]]曺伸, 1454~1529이 중종의 명으로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이다. 이 책은 1518년 경상도 김산군金山郡: 지금의 金泉에서 간행한 초간본이며 현재 알려진 국내 소장본 중 가장 빠른 본으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이언적]]의 수택본手澤本이다. 본문 각 장의 전면에는 그림이 수록되고, 그림의 상단 여백에 언해가 수록되었다. 후면에는 한문으로 작성한 사적事跡과 시찬詩贊이 있다.
이 책의 간행에 앞서 1434년세종16에 간행되었던『삼강행실도』는 효자·충신·열녀의 행적을 다루고 있는데, 이 책에서 장유와 붕우의 윤리를 더하여
+
이 책의 간행에 앞서 1434년세종16에 간행되었던『[[삼강행실도]]』는 효자·충신·열녀의 행적을 다루고 있는데, 이 책에서 장유와 붕우의 윤리를 더하여
 
오륜도五倫圖를 완성하였다. 이 책은 장유와 붕우의 행실이 뛰어난 역대 명현의 행적을 선정했는데, 형제도兄弟圖에는 종족도宗族圖를, 붕우도朋友圖에는 사생
 
오륜도五倫圖를 완성하였다. 이 책은 장유와 붕우의 행실이 뛰어난 역대 명현의 행적을 선정했는데, 형제도兄弟圖에는 종족도宗族圖를, 붕우도朋友圖에는 사생
 
도師生圖를 추가하였다. 형제도에 25명, 종족도에 7명, 붕우도에 11명, 사생도에 5명 등 모두 48명의 명현이 수록되어 있다.『
 
도師生圖를 추가하였다. 형제도에 25명, 종족도에 7명, 붕우도에 11명, 사생도에 5명 등 모두 48명의 명현이 수록되어 있다.『
 
이륜행실도』에 실려 있는 도판 및 언해는 조선시대 판화의 변천 및 국어사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시대
 
이륜행실도』에 실려 있는 도판 및 언해는 조선시대 판화의 변천 및 국어사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시대
의 유학사상 및 윤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46쪽.</REF>
+
의 유학사상 및 윤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50-51쪽.</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2월 16일 (목) 15:38 판

이륜행실도
한글팀 이륜행실도 02 정균간형.jpg
한자명칭 二倫行實圖
영문명칭 Illustrated stories exemplifying the two Confucian virtues
작자 조신
작성시기 조선전기
간행시기 1518년(중종13)
소장처 여주이씨 옥산 독락당 이해철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39.1×22.1㎝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개요

조신이 중종의 명으로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

텍스트

조신曺伸, 1454~1529이 중종의 명으로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이다. 이 책은 1518년 경상도 김산군金山郡: 지금의 金泉에서 간행한 초간본이며 현재 알려진 국내 소장본 중 가장 빠른 본으로, 이언적의 수택본手澤本이다. 본문 각 장의 전면에는 그림이 수록되고, 그림의 상단 여백에 언해가 수록되었다. 후면에는 한문으로 작성한 사적事跡과 시찬詩贊이 있다. 이 책의 간행에 앞서 1434년세종16에 간행되었던『삼강행실도』는 효자·충신·열녀의 행적을 다루고 있는데, 이 책에서 장유와 붕우의 윤리를 더하여 오륜도五倫圖를 완성하였다. 이 책은 장유와 붕우의 행실이 뛰어난 역대 명현의 행적을 선정했는데, 형제도兄弟圖에는 종족도宗族圖를, 붕우도朋友圖에는 사생 도師生圖를 추가하였다. 형제도에 25명, 종족도에 7명, 붕우도에 11명, 사생도에 5명 등 모두 48명의 명현이 수록되어 있다.『 이륜행실도』에 실려 있는 도판 및 언해는 조선시대 판화의 변천 및 국어사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시대 의 유학사상 및 윤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1]

시각자료

관련 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이륜행실도 인물 조신
이륜행실도 인물 이언적
이륜행실도 개념 장우
이륜행실도 개념 붕우

공간정보

이 문서 소장위치 경도좌표 위도좌표
삼강행실도 여주이씨 독산 독락당 36.016820 129.159905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이륜행실도 간행년 1518년(중종13)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50-5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