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만수무의 탄생과 구성)
15번째 줄: 15번째 줄:
 
==내용==
 
==내용==
 
===[[만수무]]의 탄생과 구성===
 
===[[만수무]]의 탄생과 구성===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임금에게 선도(仙桃 : 仙境에 있다는 복숭아)를 올리며 만수무강을 비는 내용의 춤으로, 1828년(순조 28) 6월 진작(進爵)에서 [[조선 익종|익종(翼宗)]] 예제(睿製)의 악장(樂章)을 진상하기 위한 정재로 처음 추어졌다. 선모(仙母) 1인, 협무(挾舞) 4인으로 구성되며, 족자(簇子) 1인, 봉탁(奉卓) 2인, 봉반(奉盤) 1인이 따로 있다.
+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 중 하나이다. 임금에게 선도(仙桃 : 仙境에 있다는 복숭아)를 올리며 만수무강을 비는 내용의 춤으로, 1828년 [[조선 익종|익종(翼宗)]]에게 악장(樂章)을 진상하기 위한 정재로 처음 추어졌다. 선모(仙母) 1인, 협무(挾舞) 4인으로 구성되며, 족자(簇子) 1인, 봉탁(奉卓) 2인, 봉반(奉盤) 1인이 따로 있다.
 
<ref>장사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642 만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장사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642 만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9월 30일 (토) 00:44 판

만수무
(萬壽舞)
장사훈, "만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만수무
한자표기 萬壽舞



정의

조선 순조 때 창제된 정재(呈才:대궐 안의 잔치 때 하던 춤과 노래)를 위한 무용 음악이다.

내용

만수무의 탄생과 구성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 중 하나이다. 임금에게 선도(仙桃 : 仙境에 있다는 복숭아)를 올리며 만수무강을 비는 내용의 춤으로, 1828년 익종(翼宗)에게 악장(樂章)을 진상하기 위한 정재로 처음 추어졌다. 선모(仙母) 1인, 협무(挾舞) 4인으로 구성되며, 족자(簇子) 1인, 봉탁(奉卓) 2인, 봉반(奉盤) 1인이 따로 있다. [1]

문헌 속 만수무

순조 무자(戊子) 『진작의궤』 부편(附編) 만수무조에 의하면 “그 춤은 헌선도의(獻仙桃儀)와 같다.”라고 한 바와 같이 만수무의 내용은 죽간자의 구호, 선모의 치어가 족자의 창사, 선모의 창사로 되어 헌선도와는 다르나 선모가 선도반(仙桃盤)을 올리는 점에서 공통되고 있다.「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에도 언급된다. [2]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만수무 조선 익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만수무 진작의궤 A는 B에 언급된다
만수무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에 언급된다

주석

  1. 장사훈, "만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장사훈, "만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