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첨 초상(전신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초상에 묘사된 모습=== | ===초상에 묘사된 모습=== | ||
− | <강민첨 초상>은 손에는 | + | <강민첨 초상>은 손에는 [[홀]]을 들고 의자에 앉아 있는 [[우안팔분면]]의 전신교의좌상으로 그려졌다. 복식은 고려시대 관리들이 일 할 때 입는 복장인 [[공복]]으로, [[복두]]를 하고 둥근 깃에 소매가 넓은 포를 입고 [[홀]]을 들고 있다.<br/> |
− | 얼굴을 보면 | + | 얼굴을 보면 귀가 얼굴의 반을 차지할 정도의 큰 것이 특징이다. 얼굴이나 자세, 복식이 대체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강민첨 초상(반신상)|강민첨 반신상]]과 유사한 모습으로 동일한 원본을 이모한 것으로 보인다.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강민첨 초상(전신상)]] || [[진주 은열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강민첨 초상(전신상)]] || [[진주 은열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우안팔분면]] || [[강민첨 초상(전신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우안팔분면]] || [[강민첨 초상( | + | | [[홀]]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 |- | ||
| [[공복]]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공복]]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조선 후기 || [[강민첨 초상(전신상)]]이 제작되었다. |
− | |||
− | |||
|- | |- | ||
|} | |} | ||
61번째 줄: | 59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35.1934970 || 128.0910770 || [[강민첨 초상(전신상)]]은 [[진주 은열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71번째 줄: | 6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더 읽을거리=== | ||
+ | # 전시도록 | ||
+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웹 자원 | #웹 자원 |
2017년 9월 28일 (목) 22:03 판
강민첨 초상(전신상) | |
한자명칭 | 姜民瞻 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조선 후기 |
소장처 | 진주 은열사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12.4×51.2㎝ |
목차
정의
고려시대 명장인 강민첨(963~1021)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 <강민첨 초상>은 진주 은열사에 소장된 두 점의 강민첨 영정 중 하나로 2005년 10월 다른 은렬공 영정의 문화재지정 신청에 따른 조사과정 중 영정을 모시는 감실의 뒤편에서 말려진 족자 형태로 발견되었다. <강민첨 초상>은 상당히 훼손된 상태였으나 화격, 채색상태, 비단재질 등을 살펴본 결과 원래 감실에 모셔졌던 영정의 범본으로 결론지어져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453호로 지정되었다.[1] 모사본 영정은 범본과 거의 유사한 형태이며 범본과 달리 삼베에 그려졌다. 이외에 거의 유사한 형태의 이모본들이 경북 금릉 숙청각과 경남 하동 두방영당, 경남 진양 산양사 등에 소장되어있다.
진주 은열사 소장의 <강민첨 초상>은 고려시대 인물의 초상화 이모본으로서 고려시대 복식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상도 지역에 봉안된 다른 영정들과 함께 범본과 이모본의 관계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2]
초상에 묘사된 모습
<강민첨 초상>은 손에는 홀을 들고 의자에 앉아 있는 우안팔분면의 전신교의좌상으로 그려졌다. 복식은 고려시대 관리들이 일 할 때 입는 복장인 공복으로, 복두를 하고 둥근 깃에 소매가 넓은 포를 입고 홀을 들고 있다.
얼굴을 보면 귀가 얼굴의 반을 차지할 정도의 큰 것이 특징이다. 얼굴이나 자세, 복식이 대체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강민첨 반신상과 유사한 모습으로 동일한 원본을 이모한 것으로 보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민첨 초상(전신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강민첨 초상(전신상) | 강민첨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강민첨 초상(전신상) | 진주 은열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우안팔분면 | 강민첨 초상(전신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홀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공복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복두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조선 후기 | 강민첨 초상(전신상)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1934970 | 128.0910770 | 강민첨 초상(전신상)은 진주 은열사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이현주, 「晋州 殷烈祠 소장 <殷烈公 姜民瞻 影幀>」, 『문물연구』 12권,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7, 107쪽.
- ↑ 이현주, 「晋州 殷烈祠 소장 <殷烈公 姜民瞻 影幀>」, 『문물연구』 12권,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7, 119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유용한 정보
- 웹 자원
- "강민첨 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민첨 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