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수광-청산리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right|450px]]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right|450px]] | ||
− | [[청산리대첩]]은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나중소]](羅仲昭)·[[이범석]](李範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④⑤⑥⑦⑧⑨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①②④⑤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청산리대첩]]은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나중소]](羅仲昭)·[[이범석]](李範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④⑤⑥⑦⑧⑨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①②④⑤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ref>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일본군에 맞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마침내 패퇴시킬 수 있었다. | + |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ref>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일본군에 맞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마침내 패퇴시킬 수 있었다.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119번째 줄: | 119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자원 | #웹자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004 청산리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004 청산리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2017년 9월 28일 (목) 16:38 판
청산리싸움 | |
작가 | 손수광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 홍범도(洪範圖) 등이 지휘하는 독립군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을 물리친 청산리대첩 장면을 그린 손수광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청산리대첩은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나중소(羅仲昭)·이범석(李範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④⑤⑥⑦⑧⑨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①②④⑤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1]
작품 배경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2]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일본군에 맞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마침내 패퇴시킬 수 있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손수광-청산리싸움 | 손수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청산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청산리대첩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김좌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북로군정서 | 청산리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좌진 | 북로군정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나중소 | 북로군정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범석 | 북로군정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한독립군 | 청산리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홍범도 | 대한독립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청산리대첩 | 청산리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청산리 | 간도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손수광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제작하였다. |
1920년 10월 | 북로군정서군과 대한독립군이 청산리대첩에 참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3745 | 127.223215 |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1919년 3월 1일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880호-이범석 장군 서거(게시일: 2016년 11월 21일)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이강훈, "청산리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강훈, "청산리대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