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89번째 줄: | 89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승탑]] [[분류:국보]] | [[분류:승탑]] [[분류:국보]]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요청]] |
2017년 9월 22일 (금) 10:54 판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
|
대표명칭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
영문명칭 | Stupa of Buddhist Monk Yeomgeo from Heungbeopsa Temple Site, Wonju (Presumed) |
한자 |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
문화재 지정번호 | 국보 제104호 |
문화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
크기 | 높이 1.7m |
관련승려 | 염거(廉居)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흥법사(興法寺) 터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신라시대의 고승 염거(廉居, ?-844)의 승탑.
내용
역사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廉居和尙)의 사리탑이다.[1]
원래 강원도 흥법사(興法寺) 터에 서 있었다고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다.[2] 1914년경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원래의 위치에서 서울 탑골공원으로 옮겼다고 하며, 이후 경복궁(景福宮)으로 다시 옮겨졌다. 1986년 옛 국립중앙박물관(현재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전되어 있다가, 2005년 용산에 새롭게 국립중앙박물관이 개관함에 따라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3][4]
탑지
승탑을 탑골공원에서 경복궁(景福宮)으로 옮길 때 금동(金銅)으로 된 탑지(塔誌)[5]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844년(문성왕 6)에 이 탑이 세워졌음이 밝혀졌다.[6][7]
이 탑지는 2015년 보물 제187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춘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8]
팔각원당형 승탑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은 한국의 승탑 형태 중 가장 흔한 형태인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시초로 여겨진다.[9] 이후 신라에서 고려에 걸쳐 고승의 승탑은 대부분이 팔각원당형을 기본형으로 두고 있으며,[10]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과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 여주 고달사지 승탑(驪州 高達寺址 僧塔) 등이 있다.[11]
이 승탑을 경복궁(景福宮)으로 옮기기 이전에 촬영한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사진을 보면, 옥개석 정상에 3석의 상륜부(相輪部)가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12] 현재 남아있는 탑의 구조를 살펴보면 기단(基壇)과 탑신(塔身), 지붕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단 밑부분과 상륜부는 없어졌다.[13]
사천왕상
이 승탑 형태에서 주목되는 것은 탑신(塔身)에 새겨진 사천왕상(四天王像)으로 이 탑은 탑신에 부조상이 등장하는 첫 예가 된다. 사천왕은 부처님을 호위하는 신중(神衆)으로 선사의 묘탑인 승탑에 사천왕이 표현된 것은 선사를 부처와 같이 동등하게 생각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가장 예술적으로 뛰어난 승탑이 많이 조성된 신라 말, 고려 초까지는 이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을 따라 대부분 탑신에 사천왕이 등장하고 있으며 뛰어난 조각 솜씨를 보인다.[14]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868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884년),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南原實相寺秀澈和尙塔)(894년) 등이 사천왕상이 부조된 승탑의 대표적인 예이다.[15]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염거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원주 흥법사지 | A는 B에 있었다 |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경복궁 | A는 B에 있었다 |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2005년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사천왕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염거화상탑", 미술작품,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탑을 세우게 된 내력이나 시주자 등의 이름을 적은 글로 탑 내부에서 발견된다. 주로 금속이나 돌에 새겨 넣는 경우가 많은데, 탑의 제작 연대를 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솔출판사 편집부, 『한국 미의 재발견 - 용어 모음』, 솔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탑지",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동제염거화상탑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팔각원당형 승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팔각원당형 승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문명대, "사천왕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동제염거화상탑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강삼혜, 「나말여초 승탑 탑신 신장상 연구」, 『미술사학연구』 No.252, 한국미술사학회, 2006, 81-116쪽.
-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염거화상탑", 미술작품,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전 흥법사 염거화상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