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순비책봉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후의 상징 물품 행렬)
20번째 줄: 20번째 줄:
  
 
=='''정의'''==
 
=='''정의'''==
1901년 [[고종|고종황제]]의 후궁인 [[순빈 엄씨|순빈 엄씨(淳嬪 嚴氏)]]를 황비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http://heritage.unesco.or.kr/mows/uigwe-the-royal-protocols-of-the-joseon-dynasty/ 의궤]이다.
+
1901년 [[고종|고종황제]]의 후궁인 [[순헌황후|순빈 엄씨]]를 황비(皇妃)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http://heritage.unesco.or.kr/mows/uigwe-the-royal-protocols-of-the-joseon-dynasty/ 의궤]이다.
  
 
=='''내용'''==  
 
=='''내용'''==  
순빈 엄씨의 황비 책봉을 위해 1901년 8월 [[태복사|태복사(太僕司)]]에 [[책인조성소|책인조성소(冊印造成所)]]가 설치되었다. 9월 1일 책봉의식에 필요한 [[금책|금책(金冊)]]과 [[금인|금인(金印)]]을 준비하고, 본의식 전의 예행연습인 습의(習儀)를 시행하였다. 이후 9월 4일 책봉의식이 거행되었다.  
+
대한제국의 성립되자 [[고종]]은 후궁으로부터 얻은 아들을 '친왕(親王)'으로 봉할 필요가 생겼다. 1900년(광무 4) 8월에 [[의화군 이강|의화군 이강(義和君 李堈)]]과 [[영친왕 이은|영친왕 이은(英親王 李垠)]]을 각각 '의왕(義王)'과 '영왕(英王)'으로 봉하고 황태자 밑에 '친왕부(親王府)'를 설치했다. [[영친왕 이은|영왕]]의 생모인 [[귀인 엄씨|순헌황후]]도 '순빈(淳妃) 엄씨'로 진봉시켜 책봉했었다. 1901(광무 5)에 '빈(嬪)'을 '비(妃)'로 승격시켜야한다는 논의가  일어나면서 고종이 50세를 맞이하는 진연에 [[순빈 엄씨|순헌왕후]]에게도 경축의 뜻을 표할 필요가 있었다. [[정조]]의 후궁인 [[수빈 박씨]]를 [[왕]]의 후궁은 '빈'이라고 부르지만, 황제의 후궁은 '비'라고 부르기 때문에 '수비(綏妃)'로 진봉시키자는 논의가 있었다. 이에 [[고종]]은 그 말이 옳다고 인정하고 '수빈'을 '수비'로 올리는 의식절차를 거행하라고 [[장례원]]에 지시했다. 그 후 9월 14일에 영돈녕원사[[ 윤용선|윤용선(尹用善]])은 [[황]]제의 후궁인 [[순헌황후|순빈 엄씨]]도 '순비(淳妃)'로 올려야한다고 주장했다. [[고종]]은 이에 천천히 해도 늦지 않다고 사양했으나, [[윤용선]]이 거듭 요청하자 [[고종]]은 허락하였고, [[장례원]]에서 의식을 준비하였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757~758쪽.</ref>
 +
<br/>
 +
<br/>
 +
10월 5일에 [[궁내부]]의 요청에 따라 [[순헌황후|순빈 엄씨]]의 궁호를 '경선(慶善)'으로 정하고 10월 14일에 '순비(淳妃)'로 책봉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완평군 이승응]]을 정사로 삼고 특진관 서상조(徐相祖)를 부사로 삼아 [[금책|금책(金冊)]]과 [[금인|금인(金印)]]를 내전에 있는 [[순헌황후|순빈 엄씨]]에게 전달했다. 이날 [[순헌황후|순빈 엄씨]]는 내전에서 [[황제]]에게 인사를 드리는 [[조현례]]를 거행하고, 다음날에는 그동안 수고한 [[백관]]들에게 품계를 높여주는 상을 내렸다. 이 의식은 [[도감]]을 설치하지 않고 [[장례원]]에서 직접 주관하여 [[의궤]]도 [[장례원]]에서 편찬하였다. [[금책|금책(金冊)]]과 [[금인|금인(金印)]]을 사신들이 전달하기 위해 가는 채색 [[반차도]]가 실려있으며, [[책보]]와 [[가마]], [[향로]] 등 의식에 쓰인 각종 기물을 설명한 도설이 들어있다. 기존에 쓰던 [[옥책]]과 [[옥보]]가 [[금책]]과 [[금보]]로 바뀐 점이 특징이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758~760쪽.</ref>
  
 
===목록===
 
===목록===
29번째 줄: 32번째 줄:
  
 
===해제===
 
===해제===
[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Detail.jsp?setid=495416&pos=0&total_df=1&uci=GK13204_00&c1=&c2=&c3=&sType=&sWord=%EC%88%9C%EB%B9%84%EC%B1%85%EB%B4%89%EC%9D%98%EA%B6%A4&chung=%E5%A5%8E+13204&writedata=190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
김영인, "[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Detail.jsp?setid=495416&pos=0&total_df=1&uci=GK13204_00&c1=&c2=&c3=&sType=&sWord=%EC%88%9C%EB%B9%84%EC%B1%85%EB%B4%89%EC%9D%98%EA%B6%A4&chung=%E5%A5%8E+13204&writedata=1901 순비책봉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궤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판본===
40번째 줄: 43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순비책봉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순비책봉의궤 || [[순헌황후|순빈 엄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순비책봉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순비책봉의궤 || [[후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순비책봉의궤|| [[가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순비책봉의궤 || [[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비책봉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순비책봉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순비책봉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51번째 줄: 60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1901년 9월 4일 || [[순빈 엄씨]]가 순비(淳妃)로 책봉되었다
+
| 1901년 9월 4일 || [[순헌황후|순빈 엄씨]]가 '순비(淳妃)'로 책봉되었다
 
|-
 
|-
 
| 1901년 || 『순비책봉의궤』가 편찬되었다
 
| 1901년 || 『순비책봉의궤』가 편찬되었다
120번째 줄: 12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더 읽을거리===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분류:의궤]]

2017년 9월 20일 (수) 16:17 판


순비책봉의궤
(淳妃冊封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의궤(http://kyujanggak.snu.ac.kr/center/main/main.jsp)
대표명칭 순비책봉의궤
한자표기 淳妃冊封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장례원(掌禮院)
의례담당자 윤정구(尹定求)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901년(광무 5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1책 103장
크기 44.0×32.7
도설 36면(채색)
반차도 8면(채색)
총 길이: 약 264㎝



정의

1901년 고종황제의 후궁인 순빈 엄씨를 황비(皇妃)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대한제국의 성립되자 고종은 후궁으로부터 얻은 아들을 '친왕(親王)'으로 봉할 필요가 생겼다. 1900년(광무 4) 8월에 의화군 이강(義和君 李堈)영친왕 이은(英親王 李垠)을 각각 '의왕(義王)'과 '영왕(英王)'으로 봉하고 황태자 밑에 '친왕부(親王府)'를 설치했다. 영왕의 생모인 순헌황후도 '순빈(淳妃) 엄씨'로 진봉시켜 책봉했었다. 1901(광무 5)에 '빈(嬪)'을 '비(妃)'로 승격시켜야한다는 논의가 일어나면서 고종이 50세를 맞이하는 진연에 순헌왕후에게도 경축의 뜻을 표할 필요가 있었다. 정조의 후궁인 수빈 박씨의 후궁은 '빈'이라고 부르지만, 황제의 후궁은 '비'라고 부르기 때문에 '수비(綏妃)'로 진봉시키자는 논의가 있었다. 이에 고종은 그 말이 옳다고 인정하고 '수빈'을 '수비'로 올리는 의식절차를 거행하라고 장례원에 지시했다. 그 후 9월 14일에 영돈녕원사윤용선(尹用善)은 제의 후궁인 순빈 엄씨도 '순비(淳妃)'로 올려야한다고 주장했다. 고종은 이에 천천히 해도 늦지 않다고 사양했으나, 윤용선이 거듭 요청하자 고종은 허락하였고, 장례원에서 의식을 준비하였다.[1]

10월 5일에 궁내부의 요청에 따라 순빈 엄씨의 궁호를 '경선(慶善)'으로 정하고 10월 14일에 '순비(淳妃)'로 책봉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완평군 이승응을 정사로 삼고 특진관 서상조(徐相祖)를 부사로 삼아 금책(金冊)금인(金印)를 내전에 있는 순빈 엄씨에게 전달했다. 이날 순빈 엄씨는 내전에서 황제에게 인사를 드리는 조현례를 거행하고, 다음날에는 그동안 수고한 백관들에게 품계를 높여주는 상을 내렸다. 이 의식은 도감을 설치하지 않고 장례원에서 직접 주관하여 의궤장례원에서 편찬하였다. 금책(金冊)금인(金印)을 사신들이 전달하기 위해 가는 채색 반차도가 실려있으며, 책보가마, 향로 등 의식에 쓰인 각종 기물을 설명한 도설이 들어있다. 기존에 쓰던 옥책옥보금책금보로 바뀐 점이 특징이다.[2]

목록

사목(事目), 좌목(座目), 조칙(詔勅), 장례원주본(掌禮院奏本), 의주(儀註), 조작(造作), 감결(甘結), 상전(賞典), 의궤사례(儀軌事例)

해제

김영인, "순비책봉의궤", 의궤 검색, 『의궤 종합정보』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본(奎 13204), (奎 13203), (奎 13205), (奎 13206), (奎 13209)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54), (K2-265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비책봉의궤 순빈 엄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비책봉의궤 후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비책봉의궤 황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비책봉의궤 책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순비책봉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순비책봉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901년 9월 4일 순빈 엄씨가 '순비(淳妃)'로 책봉되었다
1901년 『순비책봉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 복장/복식
1-1 욕석 욕석(褥席) aa 홍건(紅巾)
홍의(紅衣)
1-1 독책상 독책상(讀冊床) aa 홍건(紅巾)
홍의(紅衣)
1-1 배안상 배안상(讀冊床) aa 홍건(紅巾)
홍의(紅衣)
1-2 독인상 독인상(讀印床) aa 홍건(紅巾)
홍의(紅衣)
2 연배군 연배군(輦陪軍) aa 홍건(紅巾)
홍의(紅衣)
3-1 봉책관 봉책관(捧冊官) aa 백관의 조복
3-2 거책안자 거책안자(捧冊官) aa 백관의 조복
3-2 욕석집사 욕석집사(褥席執事) aa 백관의 조복
3-2 거독책공안자 거독책공안자(舉讀冊空案者) aa 백관의 조복
4 연배군 연배군(輦陪軍) aa 홍건(紅巾)
홍의(紅衣)
5-1 봉인관 봉인관(捧印官) aa 백관의 조복
5-2 거인안자 거인안자(舉印案者) aa 백관의 조복
5-2 욕석집사 욕석집사(褥席執事) aa 백관의 조복
5-2 거독인공안자 거독인공안자(舉讀印空案者) aa 백관의 조복
5-3 궁내부대신 궁내부대신(宫内府大臣) aa 백관의 조복
5-3 장례원경 장례원경(掌禮院卿) aa 백관의 조복
5-3 농상공부대신 농상공부대신(農商工部大臣) aa 백관의 조복
5-4 궁내부주사 궁내부주사(宫内府主事) aa 백관의 조복
5-4 장례원주사 장례원주사(掌禮院主事) aa 백관의 조복
5-4 농상공부주사 농상공부주사(農商工部主事) aa 백관의 조복

주석

  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757~758쪽.
  2.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758~76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