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함평 용천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함평 용천사 |영문명칭= |한자=咸平 龍泉寺 |이칭= |지정번호= |지정일= |주소=전남 함평군 해보...)
 
(내용)
28번째 줄: 28번째 줄:
 
<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699 용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699 용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는 중건한 뒤 「단청기」를 지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범우고|범우고(梵宇攷)]]』·『[[가람고|가람고(伽藍考)]]』 등의 지리서 및 사찰관련 문헌에 용천사의 이름이 보인다. 1938년에 다시 중수하였으나, 6·25전쟁 때 인민군들의 방화로 전소되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699 용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64년에 금당이 옛 보광전(普光殿) 자리에 대웅전을 새로 세우고, 요사채도 지어 절의 면모를 바꾸었다. 1996년에 대웅전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4039 용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는 중건한 뒤 「단청기」를 지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범우고|범우고(梵宇攷)]]』·『[[가람고|가람고(伽藍考)]]』 등의 지리서 및 사찰관련 문헌에 용천사의 이름이 보인다. 1938년에 다시 중수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인민군들의 방화로 전소되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699 용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64년에 금당이 옛 보광전(普光殿) 자리에 대웅전을 새로 세우고, 요사채도 지어 절의 면모를 바꾸었다. 1996년에 대웅전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4039 용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사찰 이름의 유래===
 
===사찰 이름의 유래===

2017년 9월 17일 (일) 08:48 판

함평 용천사
(咸平 龍泉寺)
대표명칭 함평 용천사
한자 咸平 龍泉寺
주소 전남 함평군 해보면 광암리
건립시기 삼국시대
경내문화재 함평 용천사 석등



정의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에 있는 삼국시대 사찰.

내용

600년(무왕 1)에 행은존자(幸恩尊者)가 창건하였다.[1]

645년(의자왕 5) 각진(覺眞)이 중수하였고, 1275년(충렬왕 1) 각적국사(覺積國師)가 중수하였으며, 조선시대에도 세조·명종 때의 중수를 거쳐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다.《용천사대웅전현판단청기》에 따르면 전성기에는 3천여 명의 승려가 머물렀다고 한다.[2] 하지만 이후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고 1632년(인조 16)에 중창하여 이전의 규모를 갖추었다. 1638년에는 쌍연(雙衍)이 중수하였다. [3]

1705년(숙종 31)에는 중건한 뒤 「단청기」를 지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범우고(梵宇攷)』·『가람고(伽藍考)』 등의 지리서 및 사찰관련 문헌에 용천사의 이름이 보인다. 1938년에 다시 중수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인민군들의 방화로 전소되었다.[4] 1964년에 금당이 옛 보광전(普光殿) 자리에 대웅전을 새로 세우고, 요사채도 지어 절의 면모를 바꾸었다. 1996년에 대웅전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5]

사찰 이름의 유래

용천사라는 이름은 현재 대웅전 층계 밑에 있는 사방 1.2m 가량의 샘에서 유래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서해로 통하는 이 샘에 용이 살다가 승천하였다고 하여 용천이라 불렀으며, 용천 옆에 지은 절이라 하여 용천사라 하였다고 한다.[6]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함평 용천사 행은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함평 용천사 각진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함평 용천사 각적 A는 B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함평 용천사 쌍연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함평 용천사 석등 함평 용천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주석

  1. 김위석, "용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용천사", 『두산백과』online.
  3. 김위석, "용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위석, "용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용천사", 『두산백과』online.
  6. 김위석, "용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용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용천사",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