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 | + | {{민족기록화_샘플 |
+ | |사진= 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 | ||
+ | |작품명= 고구려 고분 벽화 | ||
+ | |작가= [[이종상]] | ||
+ | |제작연도= 1977년 | ||
+ | |규격= 300호(290.9x197cm) | ||
+ | |유형= 예술 | ||
+ | |분류= 수묵화 |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필드수=8 | ||
+ | }} | ||
+ | =='''개요'''== | ||
+ |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800px|center]] | ||
+ |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
− | == | + | =='''내용'''== |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쌍영총은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영총이란 이름은 전실(前室)과 현실 사이에 있는 두 개의 팔각기둥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이 무덤의 주인의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다만 부부가 함께 앉아있는 모습이 화려한 물감으로 아름답게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쌍영총은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영총이란 이름은 전실(前室)과 현실 사이에 있는 두 개의 팔각기둥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이 무덤의 주인의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다만 부부가 함께 앉아있는 모습이 화려한 물감으로 아름답게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 | + | 예술 소재 작품 | |
+ | <gallery> | ||
+ |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화]] | ||
+ |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 ||
+ | </gallery> | ||
− | + | 고구려 소재 작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1975 |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1975 | ||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박각순 「살수대첩」 1975 |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박각순 「살수대첩」 1975 | ||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 「안시성싸움」 1975 |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 「안시성싸움」 1975 | ||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 「연개소문의 사수싸움」 1976 |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 「연개소문의 사수싸움」 1976 | ||
− | |||
</gallery> | </gallery> | ||
− | [[분류:민족기록화]] | + | =='''추출정보'''== |
+ | ===작품정보 연결망===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
+ | |- | ||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이종상]] | ||
+ | |- | ||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 |- | ||
+ | |{{PAGENAME}}||제작연도|| 1977년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 | ||
+ | |{{PAGENAME}}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37.391577|| 127.056918 | ||
+ | |} | ||
+ | |||
+ | =='''참고문헌'''== | ||
+ |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
+ |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
+ |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9&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
+ |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7&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구려]][[분류:예술]] |
2017년 2월 7일 (화) 16:15 판
고구려 고분 벽화 | |
작가 | 이종상 |
---|---|
제작연도 | 1977년 |
규격 | 300호(290.9x197cm) |
유형 | 예술 |
분류 | 수묵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개요
내용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쌍영총은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영총이란 이름은 전실(前室)과 현실 사이에 있는 두 개의 팔각기둥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이 무덤의 주인의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다만 부부가 함께 앉아있는 모습이 화려한 물감으로 아름답게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관련 민족기록화
예술 소재 작품
고구려 소재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에 의해 그려지다 | 이종상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에 소장되어 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제작연도 | 1977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37.391577 | 127.056918 |
참고문헌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