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식영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식영감
+
|대표명칭=식영암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希遷
+
|한자=息影庵
|생년=700년
+
|생년=
|몰년=791년
+
|몰년=
 
|시호=
 
|시호=
|호=
+
|호=식영암(息影庵)
 
|휘=
 
|휘=
 
|법호=
 
|법호=
 
|탑호=
 
|탑호=
 
|자=
 
|자=
|이칭=석두화상(石頭和尙)
+
|이칭=
|성씨=진씨(陳氏)
+
|성씨=양씨(梁氏)
|본관=
+
|본관=남원(南原)
 
|속명=
 
|속명=
|출신지=단주(端州) 고요(高要)
+
|출신지=
 
|승탑=
 
|승탑=
 
|승탑비=
 
|승탑비=
 
}}
 
}}
 
=='''정의'''==
 
=='''정의'''==
 +
고려 후기의 승려
  
 +
=='''내용'''==
 +
속성은 양씨(梁氏)이고 본관은 남원(南原)인데, 속명은 알 수가 없다. 법명은 연감(淵鑑)이고, 식영암(息影庵)은 그의 호이다. 식영암을 혹 식영감((息影鑑)으로 표기한 예가 있는데, 이는 승려의 경우 법명(法名)의 뒷글자만 지칭하여 선탄(禪坦)을 탄사(坦師)라 약칭한 것과 같이, 연감(淵鑑)의 감(鑑)자를 호인 식영(息影)에 붙여서 표기한 것으로 이해된다.
  
=='''내용'''==
+
이제현(李齊賢, 1287∼1367), 민사평(閔思平, 1292∼1359), 이암(李嵓, 1297∼1364) 등과 교유하였다. 이제현과는 동년배 혹은 연상으로서 유자(儒者)와 불자(佛者)간의 사귐이 막역(莫逆)하였다. 민사평에게는 대화상(大和尙)으로서 가르침을 베푸는 입장에 있었으며, 이암과는 만년에 방외우(方外友 : 신분을 떠난 친구)로서 교유하였다. 특히 이암은 식영암이 강화도(江華島)의 선원사(禪源寺)에 있을 때 절 가운데 집을 지어 해운당(海雲堂)이라 편액(扁額)하고 조각배로 왕래하며 각별한 교유를 하였다. 선원사에 있을 때에는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 1320∼1392)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식영암은 강화도의 선원사와 용장사(龍藏寺), 전남 고흥 월남사(月南寺)의 장로(長老)와 주지(住持)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화상(大和尙)에까지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
  
 +
===식영암의 문학===
 +
식영암은 고승(高僧)들이 지니고 다니는 지팡이 석장(錫杖)을 의인화(擬人化)한 가전(假傳) 「정시자전(丁侍者傳)」의 작자이다. 『동문선(東文選)』에 13편의 산문작품이 뽑힐 정도로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식영암집(息影庵集)』을 남기기도 하였으나, 현전하지 않는다.
  
 +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9월 14일 (목) 17:25 판

식영암(息影庵)
BHST Monk1.png
대표명칭 식영암
한자 息影庵
식영암(息影庵)
성씨 양씨(梁氏)
본관 남원(南原)


정의

고려 후기의 승려

내용

속성은 양씨(梁氏)이고 본관은 남원(南原)인데, 속명은 알 수가 없다. 법명은 연감(淵鑑)이고, 식영암(息影庵)은 그의 호이다. 식영암을 혹 식영감((息影鑑)으로 표기한 예가 있는데, 이는 승려의 경우 법명(法名)의 뒷글자만 지칭하여 선탄(禪坦)을 탄사(坦師)라 약칭한 것과 같이, 연감(淵鑑)의 감(鑑)자를 호인 식영(息影)에 붙여서 표기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 민사평(閔思平, 1292∼1359), 이암(李嵓, 1297∼1364) 등과 교유하였다. 이제현과는 동년배 혹은 연상으로서 유자(儒者)와 불자(佛者)간의 사귐이 막역(莫逆)하였다. 민사평에게는 대화상(大和尙)으로서 가르침을 베푸는 입장에 있었으며, 이암과는 만년에 방외우(方外友 : 신분을 떠난 친구)로서 교유하였다. 특히 이암은 식영암이 강화도(江華島)의 선원사(禪源寺)에 있을 때 절 가운데 집을 지어 해운당(海雲堂)이라 편액(扁額)하고 조각배로 왕래하며 각별한 교유를 하였다. 선원사에 있을 때에는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 1320∼1392)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식영암은 강화도의 선원사와 용장사(龍藏寺), 전남 고흥 월남사(月南寺)의 장로(長老)와 주지(住持)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화상(大和尙)에까지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

식영암의 문학

식영암은 고승(高僧)들이 지니고 다니는 지팡이 석장(錫杖)을 의인화(擬人化)한 가전(假傳) 「정시자전(丁侍者傳)」의 작자이다. 『동문선(東文選)』에 13편의 산문작품이 뽑힐 정도로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식영암집(息影庵集)』을 남기기도 하였으나, 현전하지 않는다.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식영암 혼수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참고문헌

각주



[[분류:승탑/작성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