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해안사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파도에 침식된 [[포락지|포락지(浦落地)]]<ref>전, 답이 강물이나 냇물에 씻겨서 무너져 침식되어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87270&cid=42094&categoryId=42094 포락지]", 부동산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를 [[사방사업]]으로 복구한 모습을 그리고 있는 | + | 파도에 침식된 [[포락지|포락지(浦落地)]]<ref>전, 답이 강물이나 냇물에 씻겨서 무너져 침식되어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87270&cid=42094&categoryId=42094 포락지]", 부동산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를 [[사방사업]]으로 복구한 모습을 그리고 있는 [[김원(화가)|김원]]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해안사방]]이란 해안의 침식 및 붕괴와 비사(飛砂) 및 사구(砂丘)의 이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해양지역에 실시하는 각종 토목공사와 해안사방조림의 총칭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2096&cid=40942&categoryId=32349 해안사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특히 작품에 묘사된 것은 1975년 당시 [[오도사방]]으로 불리며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직접 시찰하는 등 특수사방사업의 중심지가 되었던 곳이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41800099201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5-04-18&officeId=00009&pageNo=1&printNo=2808&publishType=00020 吾島砂防 사업 시찰]", 『매일경제』, 1975년 4월 18일. </ref> | + | [[해안사방]]이란 [[사방사업]]의 종류 중 하나로, 해안의 침식 및 붕괴와 비사(飛砂) 및 사구(砂丘)의 이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해양지역에 실시하는 각종 토목공사와 해안사방조림의 총칭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2096&cid=40942&categoryId=32349 해안사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특히 작품에 묘사된 것은 1975년 당시 [[오도사방]]으로 불리며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직접 시찰하는 등 특수사방사업의 중심지가 되었던 곳이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41800099201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5-04-18&officeId=00009&pageNo=1&printNo=2808&publishType=00020 吾島砂防 사업 시찰]", 『매일경제』, 1975년 4월 18일. </ref>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은 포항 오도리 | + | 작품의 배경은 포항 오도리 일대이다. 1975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지시로 연인원 360만 명이 총면적 4500ha를 단기간에 녹화하여 사방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룩한 대표적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10062&cid=40942&categoryId=31922 사방기념공원]",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해당 부지에는 근대적 사방사업 시작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7년 11월 7일 [[사방기념공원]]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김원(화가)|김원]] | + | | [[김원-해안사방]] || [[김원(화가)|김원]]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김원-해안사방]] || [[오도사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 | ||
− | | | + | | [[김원-해안사방]] || [[해안사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 | ||
+ | | [[오도사방]] || [[사방기념공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해안사방]] || [[해안방재림조성사업]]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해안사방]] || [[해안침식방지사업]]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사방사업]] || [[산림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사방사업]]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사방사업]] ||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사방사업]] || [[제2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사방사업]]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사방사업]] || [[해안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사방사업]] || [[산지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사방사업]] || [[야계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49번째 줄: | 67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5년 || [[김원(화가)|김원]]이 | + | |1975년 || [[김원(화가)|김원]]이 [[김원-해안사방]]을 제작하였다. |
|- | |- | ||
|1975년 || [[박정희]]가 [[오도사방]]을 건설하였다. | |1975년 || [[박정희]]가 [[오도사방]]을 건설하였다. | ||
82번째 줄: | 100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원 해안사방 김종필국무총리관람01.jpg|전시회 관람중인 국무총리 김종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2&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대한뉴스 제 242호-사방사업 촉진(게시일: 2016년 10월 13일)'''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_xyxQZEfxE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대한뉴스 제 1074호-사방사업(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3tvYc71OOn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주석'''== | =='''주석'''== | ||
90번째 줄: | 12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웹자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629 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7968 사방사업법(砂防事業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86088&cid=42094&categoryId=42094 사방사업]", 부동산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sansatai.forest.go.kr/m/index.do 사방사업의 종류]",<html><online style="color:purple">『산사태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산림청. | ||
+ | #단행본 | ||
+ | #*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2017년 9월 11일 (월) 21:12 판
해안사방 | |
작가 | 김원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목차
정의
파도에 침식된 포락지(浦落地)[1]를 사방사업으로 복구한 모습을 그리고 있는 김원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해안사방이란 사방사업의 종류 중 하나로, 해안의 침식 및 붕괴와 비사(飛砂) 및 사구(砂丘)의 이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해양지역에 실시하는 각종 토목공사와 해안사방조림의 총칭이다.[2]특히 작품에 묘사된 것은 1975년 당시 오도사방으로 불리며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직접 시찰하는 등 특수사방사업의 중심지가 되었던 곳이다.[3]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포항 오도리 일대이다. 1975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지시로 연인원 360만 명이 총면적 4500ha를 단기간에 녹화하여 사방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룩한 대표적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4] 해당 부지에는 근대적 사방사업 시작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7년 11월 7일 사방기념공원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그림 읽기
전시회 관람중인 국무총리 김종필[5]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원-해안사방 | 김원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원-해안사방 | 오도사방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원-해안사방 | 해안사방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오도사방 | 사방기념공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해안사방 | 해안방재림조성사업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해안사방 | 해안침식방지사업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방사업 | 산림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제2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해안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방사업 | 산지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방사업 | 야계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원이 김원-해안사방을 제작하였다. |
1975년 | 박정희가 오도사방을 건설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전시회 관람중인 국무총리 김종필[6]
영상
- 대한뉴스 제 242호-사방사업 촉진(게시일: 2016년 10월 13일)
- 대한뉴스 제 1074호-사방사업(게시일: 2016년 12월 8일)
주석
- ↑ 전, 답이 강물이나 냇물에 씻겨서 무너져 침식되어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포락지", 부동산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해안사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吾島砂防 사업 시찰", 『매일경제』, 1975년 4월 18일.
- ↑ "사방기념공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사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방사업법(砂防事業法)",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사방사업", 부동산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사방사업의 종류",
『산사태정보시스템』online , 산림청.
- "사방",
- 단행본
- 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