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굴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38번째 줄: 38번째 줄: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방용, 「려말 선초 사굴산문과 가지산문에 관한 연구」, 『한국종교사연구』 Vol.9, 한국종교사학회, 2001, 75-98쪽.
 
*김방용, 「려말 선초 사굴산문과 가지산문에 관한 연구」, 『한국종교사연구』 Vol.9, 한국종교사학회, 2001, 75-98쪽.
 +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399 사굴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
*김흥삼, 「나말려초 굴산문 신앙의 여러 모습」, 『역사와 현실』 No.41, 한국역사연구회, 2001, 151-181쪽.
 +
*김흥삼, "[http://gangneu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gangneung&dataType=01&contents_id=GC00301807 사굴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강릉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47-175쪽.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47-175쪽.
 +
*정동락, 「범일의 굴산문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신라사학보』 No.35, 신라사학회, 2015, 65-98쪽.
 +
*조범환, 「신라말 고려초 굴산문의 성장과 분화」, 『문화사학』 No.37, 한국문화사학회, 2012, 45-63쪽.
 +
*홍성익, 「신라말 강원지역 선종의 전래와 정착과정」, 『신라사학보』 No.33, 신라사학회, 2015, 223-258쪽.
 +
*황인규, 「고려전기 사굴산문계 고승과 선종계」, 『한국선학』 Vol.17, 한국선학회, 2007, 91-125쪽.
 +
*황인규, 「고려후기 수선사와 사굴산문: 고승의 존재양상과 그 동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Vol.28, 보조사상연구원, 2007, 363-393쪽.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개념]]
 
[[분류:개념]]
 
[[분류:승탑/작성중]]
 
[[분류:승탑/작성중]]

2017년 9월 10일 (일) 17:34 판


()



정의

강원도 강릉의 굴산사(崛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의 하나.

내용

원래 사굴산은 기사굴(耆闍崛), 굴산(崛山)이라고도 하는데, 범어 Grdhra-Kuta의 음역으로 영취산(靈鷲山)이라는 의미이다.[1]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주석

  1. 정영식, "통효범일", 『조당집 읽기』, 운주사, 2016, 289쪽.

참고문헌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방용, 「려말 선초 사굴산문과 가지산문에 관한 연구」, 『한국종교사연구』 Vol.9, 한국종교사학회, 2001, 75-98쪽.
  •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 김흥삼, 「나말려초 굴산문 신앙의 여러 모습」, 『역사와 현실』 No.41, 한국역사연구회, 2001, 151-181쪽.
  • 김흥삼, "사굴산문", 『디지털강릉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47-175쪽.
  • 정동락, 「범일의 굴산문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신라사학보』 No.35, 신라사학회, 2015, 65-98쪽.
  • 조범환, 「신라말 고려초 굴산문의 성장과 분화」, 『문화사학』 No.37, 한국문화사학회, 2012, 45-63쪽.
  • 홍성익, 「신라말 강원지역 선종의 전래와 정착과정」, 『신라사학보』 No.33, 신라사학회, 2015, 223-258쪽.
  • 황인규, 「고려전기 사굴산문계 고승과 선종계」, 『한국선학』 Vol.17, 한국선학회, 2007, 91-125쪽.
  • 황인규, 「고려후기 수선사와 사굴산문: 고승의 존재양상과 그 동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Vol.28, 보조사상연구원, 2007, 363-3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