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작품 소재)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595~673)이 [[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다. | |
− | |||
− | |||
=='''설명'''== | =='''설명'''== | ||
20번째 줄: | 18번째 줄: | ||
들판을 한 무리의 [[화랑도]]가 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br/> | 들판을 한 무리의 [[화랑도]]가 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br/> | ||
− |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백마를 탄 [[화랑]]([[김유신]])을 제외한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나타난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 | + |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백마를 탄 [[화랑]]([[김유신]])을 제외한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나타난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br/> |
신라는 관등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상의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 신라는 관등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상의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
2017년 9월 8일 (금) 12:05 판
화랑도의 수련 | |
작가 | 정창섭 |
---|---|
제작연도 | 1977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문화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595~673)이 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다.
설명
작품 소재
들판을 한 무리의 화랑도가 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백마를 탄 화랑(김유신)을 제외한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나타난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관등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상의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는 B를 그렸다 | 1977년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가 B를 대여하였다 | 1992년 1월 12일-1998월 12월 30일 |
세종문화회관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가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12일-1992월 1월 11일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김유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화랑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유신 | 화랑도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화랑 | 화랑도 | A는 B에 포함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7년 | 정창섭이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그렸다. |
1991년 1월 12일-1992월 1월 11일 | 세종문화회관이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대여하였다. |
1992년 1월 12일-1998월 12월 30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대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2729 | 126.97562 | 세종문화회관이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대여하였다.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소장하였다. |
관련 민족기록화
660년 이종상-태종무열왕
660년 오승우-황산싸움
675년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화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화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