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댕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19번째 줄: 19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왕비]]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비]]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왕세자빈]]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빈]]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손빈]]||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내명부]]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내명부]]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외명부]]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외명부]]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일반 여성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일반 여성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왕비의 대례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비의 대례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왕세자빈의 대례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세자빈의 대례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
 
|}
  

2017년 9월 8일 (금) 02:11 판


댕기
(唐只)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main.do)
대표명칭 댕기
한자표기 唐只
구분 수식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등 모든 여성
착용성별 여성



정의

직사각형의 직물로 끈처럼 묶어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머리장식[首飾]에 드리우는 장식이다.[1]

내용

머리카락을 땋을 때 아래쪽에 댕기를 끼워 넣어 함께 땋고 끝 부분에서 묶어 고정하는데, 댕기는 반을 접어 두 가락으로 넣거나 한가닥을 그대로 넣어 땋기도 했다. 직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만드는데 양쪽 끝부분을 삼각형으로 만드는 '제비부리댕기', 끈과 같이 가늘고 길게 만들어 묶는 용도인 사용하는 '매개댕기' 등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의례에 착용하면 금박(金箔)을 입히거나 보석을 달아 화려하게 장식한다. 조선시대 모든 신분의 여성들이 귀천없이 사용하였으며, 관례 전 남성도 머리카락을 땋아 늘어뜨리고 땋은 머리의 끝을 고정하기 위해 댕기를 사용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비 댕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댕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빈 댕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내명부 댕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댕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일반 여성 댕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의 대례복 댕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대례복 댕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댕기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2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2쪽.
  3.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4.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5.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高美娟, 「韓國女性의 頭飾에 관한 硏究 -朝鮮時代를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김소현ㆍ안인실ㆍ장정윤, 「조선시대 적의의 용례와 제작에 대한 고찰」, 『服飾』 57권 6호, 2007.
  • 김연자, 「조선왕조 왕세자빈 적의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김지연·홍나영, 「조선시대 적관(翟冠)에 관한 연구」, 『服飾』 60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10.
  • 이승현, 「댕기에 관한 연구 –댕기의 종류와 특징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임서연, 「조선후기 댕기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林柍住, 「翟衣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최경순,「「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1호, 1991.
  • 崔民植, 「조선후기 내명부의 머리 양식 및 고찰」,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洪那英, 「朝鮮王朝의 王妃法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