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떨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떨잠01 고궁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대표명칭= 떨잠
 
|대표명칭= 떨잠
 
|한자표기= 班子
 
|한자표기= 班子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여성들이 예복을 입을 머리에 꽂는 장식으로 착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옥판 위의 장식이 떨리듯 흔들린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53쪽.</ref>
+
[[왕비]], [[왕세자빈]], [[외명부]] 등이 여성들이 예복을 입고, [[대수]], [[어여머리]], [[큰머리]] 등의 머리모양을 할 머리의 앞쪽 중심과 좌우에 대칭으로 꽂는 장식으로,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53쪽.</ref>
  
 
=='''내용'''==
 
=='''내용'''==
===복식세부===
+
착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옥판 위의 장식이 '떨리듯 흔들린다' 하여 [[떨잠]]이라 이름하였다. 원형이나 나비형의 옥판 위에 옥과 진주 등을 붙여 만든 나비와 새 모양 장식이 부착된 용수철이 달려 있다. 옥판 아래에 달린 납작한 머리꽂이로 머리에 고정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52쪽.</ref>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대수]], [[어여머리]], [[큰머리]] 등의 머리모양을 할 때 사용하며 머리의 앞쪽 중심과 좌우에 대칭으로 꽂아 장식한다.
 
 
 
===형태===
 
원형이나 나비형의 옥판 위에 옥과 진주 등을 붙여 만든 나비와 새 모양 장식이 부착된 용수철이 달려 있다.<br/>
 
옥판 아래에 달린 납작한 머리꽂이로 머리에 고정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53쪽.</ref>
 
 
 
===기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장용일수록 금박(金箔)을 입히거나 보석을 달아 화려하게 장식한다.<br/>
 
머리카락을 땋을 때 아래쪽에 댕기를 끼워 넣어 함께 땋고 끝 부분에서 묶어 고정한다. 댕기는 반을 접어 두 가락으로 넣거나 한가닥을 그대로 넣어 땋기도 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2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20%"|항목A!!style="width:20%"|항목B!!style="width:30%"|관계!!style="width:20%"|비고
 +
|-
 +
| [[황후]]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황태자비]]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비]]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빈]]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손빈]]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대수]] || A는 B에 착용한다
+
| '''{{PAGENAME}}'''  || [[대수]] || A는 B에 착용한다 ||  A ekc:goesWith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49번째 줄: 40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떨잠02 고궁박물관.jpg | 영친왕비 백옥나비떨잠.<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떨잠03 고궁박물관.jpg | 영친왕비 화조접문 떨잠상자.<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高美娟, 「韓國女性의 頭飾에 관한 硏究 -朝鮮時代를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琴基淑, 「韓國服飾에 表現된 흔들림과 떨림의 美」, 『服飾』 15권, 한국복식학회, 1990.
 +
* 柳景子,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여성의 두식 –김홍도ㆍ신윤복의 풍속화 작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송연진, 「조선후기 여성 수식(首飾)의 장식적 요소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가체(加髢)와 떨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 송연진ㆍ이연희, 「조선후기 여성의 가체와 수식(首飾) 장신구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6.
 +
* 이승현, 「조선후기 떨잠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9월 7일 (목) 23:39 판


떨잠
(班子)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대표명칭 떨잠
한자표기 班子
구분 수식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왕비, 왕세자빈, 외명부 등이 여성들이 예복을 입고, 대수, 어여머리, 큰머리 등의 머리모양을 할 때 머리의 앞쪽 중심과 좌우에 대칭으로 꽂는 장식으로, [1]

내용

착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옥판 위의 장식이 '떨리듯 흔들린다' 하여 떨잠이라 이름하였다. 원형이나 나비형의 옥판 위에 옥과 진주 등을 붙여 만든 나비와 새 모양 장식이 부착된 용수철이 달려 있다. 옥판 아래에 달린 납작한 머리꽂이로 머리에 고정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후 떨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 떨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 떨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떨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빈 떨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떨잠 대수 A는 B에 착용한다 A ekc:goesWith B
떨잠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53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5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高美娟, 「韓國女性의 頭飾에 관한 硏究 -朝鮮時代를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琴基淑, 「韓國服飾에 表現된 흔들림과 떨림의 美」, 『服飾』 15권, 한국복식학회, 1990.
  • 柳景子,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여성의 두식 –김홍도ㆍ신윤복의 풍속화 작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송연진, 「조선후기 여성 수식(首飾)의 장식적 요소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가체(加髢)와 떨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송연진ㆍ이연희, 「조선후기 여성의 가체와 수식(首飾) 장신구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6.
  • 이승현, 「조선후기 떨잠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