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봉암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지식관계망)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0/S047/temple_Bong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2017년 9월 7일 (목) 23:23 판
문경 봉암사 (聞慶 鳳巖寺) |
|
대표명칭 | 문경 봉암사 |
---|---|
영문명칭 | Bongamsa Temple, Mungyeong |
한자 | 聞慶 鳳巖寺 |
주소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
건립시기 | 879년 |
창건자 | 도헌(道憲) |
경내문화재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문경 봉암사 일주문,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문경 봉암사 극락전,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에 위치한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1]
내용
이 사찰은 879년(헌강왕 5) 지증국사 도헌(智證國師 道憲)이 창건하였으며, 헌강왕이 '봉암사(鳳巖寺)'라는 사찰명을 하사했다.[2]
이후 봉암사는 퇴락하였다가 고려시대에 들어와 정진국사 긍양(靜眞國師 兢讓)이 사찰을 중수하였고,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인 희양산파(曦陽山派)의 본거지가 되었다.[3]
조선시대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1674년(현종 17) 신화(信和)가 중건하였다. 1915년 세욱(世煜)이 법당을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4]
이 절 안에는 보물 제169호인 삼층석탑(三層石塔), 보물 제137호인 지증대사탑(智證大師塔), 보물 제138호인 지증대사탑비(智證大師塔碑), 보물 제171호인 정진대사탑(靜眞大師塔), 보물 제172호인 정진대사탑비(靜眞大師塔碑)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5]
봉암사는 우리나라 절집 가운데 가장 찾아가기가 어려운 곳이다. 지리적인 원인보다는, 초파일이 아니면 일반인에게 문을 열지 않는 폐쇄성이 큰 원인이다.[6]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경 봉암사 | 도헌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도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도헌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긍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 도헌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긍양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문경 봉암사 일주문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경 봉암사 극락전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79년 | 도헌이 봉암사를 창건하였다. |
긍양이 사찰을 중수하였다. | |
1674년 | 화재로 소실된 사찰을 신화가 중건하였다. |
1915년 | 세욱이 법당을 다시 중건하였다. |
시각자료
영상
- 이창우, "문경 봉암사 사찰 구경하기", YouTube, 게시일: 2016년 6월 1일.
주석
- ↑ 김위석, "봉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봉암사",
『두산백과』online . - ↑ "봉암사",
『두산백과』online . - ↑ "봉암사",
『두산백과』online . - ↑ "봉암사",
『두산백과』online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0 - 경북북부』, 돌베개, 20010. 온라인 참조: "봉암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경북북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봉암사",
『두산백과』online . - 김위석, "봉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0 - 경북북부』, 돌베개, 20010. 온라인 참조: "봉암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경북북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