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94번째 줄: | 94번째 줄: | ||
|[[혜철]] || [[윤다]] || A는 B의 스승이다 || | |[[혜철]] || [[윤다]] || A는 B의 스승이다 || | ||
|- | |- | ||
− | |[[윤다]] || [[효공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윤다]] || [[신라 효공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윤다]]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윤다]]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2017년 9월 7일 (목) 01:22 판
윤다(允多) | |
대표명칭 | 윤다 |
---|---|
한자 | 允多 |
생몰년 | 864(경문왕 4)-945(혜종 2) |
시호 | 광자대사(廣慈大師) |
휘 | 윤다(允多) |
자 | 법신(法信) |
출신지 | 경주 |
승탑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승탑비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광자대사(廣慈大師) 윤다(允多)는 865년(경문왕 4) 신라의 수도인 경주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박씨(朴氏)이며, 비문에서는 윤다의 출생 과정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출가수행
윤다는 7~8세에 이미 출가할 뜻을 밝혔다고 한다. 그러나 부모의 반대가 심하였는데, 거듭된 설득 끝에 마침내 출가를 하게 되었다. 비문에서는 이와 같은 갈등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활동
출가 이후 윤다는 가야갑신수(伽耶岬新藪)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그러나 그가 주로 활동했던 곳은 전라남도 곡성군 동리산(桐裏山)의 태안사(泰安寺)였다. 윤다는 태안사의 상방화상(上方和尙)이었던 여(如) 선사를 만나 그의 법맥을 전해 받게 된다. 여(如) 선사는 혜철(慧徹)의 사법제자(嗣法弟子)로. 혜철은 도의(道義), 홍척(洪陟)과 함께 당 나라의 서당지장(西堂智藏)에게서 선을 배우고 귀국하여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운데 동리산문(桐裡山門)을 개창한 승려이다. 즉 윤다는 서당 지장(西堂智藏)으로부터 시작하여 혜철(慧徹)과 여(如)로 이어진 법맥을 이어받은 승려로, 비문에는 이러한 사실이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
서당 지장(西堂 智藏)은 혜철(慧徹)에게 전하였고, 혜철(慧徹)은 여(如) 선사에게 전하였으며, 여(如) 선사는 우리 대사에게 전하였으니, 즉 우리 대사께서는 서당 지장(西堂 智藏)의 증손(曾孫)이다.[1] 대사께서는 서당 지장(西堂 智藏)의 법을 이어받았으니, 수고롭게 서학(西學)을 하지 않고도 세상의 인연을 동성(東城)에 베풀었다. 참으로 실제(實際)가 본공(本空)한 줄 깨달았으며 (결락) 동인(東人)을 바른 길로 인도하였다. | ||
출처: 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49-350쪽. |
윤다는 그의 명성으로 인하여 왕실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 때에는 효공왕(孝恭王)이 윤다에게 복을 발원하는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
효종대왕(孝宗大王)은 대사가 산곡(山谷)에서 드날리는 도풍(道風)을 흠모하여 윤한(綸翰)을 보내어 지혜의 눈을 뜨게 해 주시고 나라 또한 복되게 해주기를 발원하였다. | ||
출처: 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52쪽. |
특히 고려 때에는 태조의 극진한 대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태조은 윤다를 궁궐로 초청하여 극진한 예로 대우하였는데, 당시의 군신들이 이를 보고 놀랄 정도였다고 한다.
이후 윤다는 흥왕사(興王寺)에서 머무르게 되었는데, 이 때 태조의 아들인 왕욱(王旭) 왕자로부터 스승이 되어달라는 청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윤다가 본래 그의 거처인 태안사(泰安寺)로 돌아가게 되자, 왕은 태안사(泰安寺)가 속한 전라도의 관찰사에게 토지와 노비 등을 시주하여 지속적으로 후원할 것을 명하기도 하였다.
입적
태안사(泰安寺)로 돌아온 윤다는 제자들에게 계율을 스승처럼 여길 것을 당부하고 945년(혜종 2)에 열반에 들었으니, 세속의 나이는 82세, 승랍은 66세였다.
윤다의 입적 소식을 들은 왕은 윤다의 탑을 세우게 하고 그 경비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하였다. 또한 문인들이 탑에 따른 비명의 건립이 필요하다고 조정에 건의하자, 손소(孫紹)에게 비문을 짓도록 명하였다.
답사 이후(시각자료확보 이후) 그래프 수정 예정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윤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윤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윤다 | 곡성 태안사 | A는 B에서 주석했다 | |
윤다 | 가야갑신수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
혜철 | 윤다 | A는 B의 스승이다 | |
윤다 | 신라 효공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윤다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윤다 | 왕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윤다 | 개성 흥왕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참고문헌
- 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36-361쪽.
- 이덕진, 「新羅末 桐裏山門에 대한 연구」, 『한국선학』 제2권, 한국선학회, 2002, 199-246쪽.
주석
- ↑ 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3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