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각연사 비로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괴산 각연사 비로전 |한자표기= 槐山 覺淵寺 毘盧殿 |영문명칭=Birojeon at Gagyeonsa Temple, Goesan |...) |
(→내용)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괴산 각연사|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의 건물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68 괴산각연사대웅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곳에는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250000,3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괴산 각연사|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의 건물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68 괴산각연사대웅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곳에는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250000,3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고려 혜종|혜종]] 1)에 중수된 기록이 있고 1648년([[조선 인조|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조선 효종|효종]] 6), 1899( | + |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고려 혜종|혜종]] 1)에 중수된 기록이 있고 1648년([[조선 인조|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조선 효종|효종]] 6), 1899([[조선 고종|광무]] 3)에 중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75년에 보수하면서 중도리를 빼는 등 도리 상부를 완전히 변형하여 원형을 잃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057 괴산 각연사 비로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구조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3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게, 2003.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016&cid=42840&categoryId=4285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구조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3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게, 2003.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016&cid=42840&categoryId=4285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2017년 9월 4일 (월) 12:00 판
괴산 각연사 비로전 (槐山 覺淵寺 毘盧殿) |
|
대표명칭 | 괴산 각연사 비로전 |
---|---|
한자표기 | 槐山 覺淵寺 毘盧殿 |
영문명칭 | Birojeon at Gagyeonsa Temple, Goesan |
지정번호 | 충북유형문화재 제125호 |
지정일 | 1982년 12월 17일 |
소장처 |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태성리 38) |
관련장소 | 괴산 각연사 |
|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覺淵寺)에 있는 조선시대 법당.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의 건물이다.[1] 이곳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다.[2]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고려 혜종|혜종]] 1)에 중수된 기록이 있고 1648년(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효종 6), 1899(광무 3)에 중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75년에 보수하면서 중도리를 빼는 등 도리 상부를 완전히 변형하여 원형을 잃었다.[3]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구조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3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 괴산 각연사 | A는 B에 있다 | |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괴산 각연사 비로전 | A는 B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괴산각연사대웅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두산백과』online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게, 2003. 온라인참조: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괴산각연사대웅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게, 2003. 온라인참조: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