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한글고문헌 샘플
 +
|이미지= 고산구곡도_800x600.png
 +
|대표명칭= 고산구곡도
 +
|한자명칭= 高山九曲圖
 +
|로마자명칭= Gosangugokdo
 +
|영문명칭=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
|작자= 미상
 +
|작성시기= 1688(숙종14)~1701(숙종27)
 +
|간행시기=
 +
|간행처=
 +
|기탁처=
 +
|소장처= 『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 수록
 +
|청구기호=
 +
|유형= 회화
 +
|크기(세로×가로)=
 +
|판본= 종이에 수묵
 +
|수량=
 +
|표기문자= 한글, 한자
 +
|필드수= 10
 +
}}
 +
</noinclude>
 +
 +
==개요==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6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
 +
 +
==내용==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6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이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고산구곡]]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이곳에서 은거의 뜻을 밝혔다. 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489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 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이 <고산구곡도>는 현존 사례 가운데 제작 시기가 가장 올라가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98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의도에 따라 그의 제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944 권상하(權尙夏, 1641~1721)]가 주도하여 1688년(숙종14)경에 완성한 그림이다. 그림의 전체 구성은 왼편 제1곡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제9곡에 이르기까지 파노라마식으로 전개된다. 각 곡에는 주요 경물의 명칭을 적어놓았고, [[고산구곡]]의 실경과 [[고산구곡가]]의 시어(詩語)를 절충적으로 형상화 한 것이 특징이다. 두루마리 위쪽에는 각 곡마다 3편의 시가 적혀 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582 김수증(金壽增, 1624~1701)]이 한글로 쓴 이이의 [[고산구곡가]]가 먼저 나오고, 이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98 송시열]이 한문으로 번역한 시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587 김수항(金壽恒, 1629~1689)] 등 9명이 쓴 [[무이구곡도가|무이도가(武夷棹歌)]] 시를 차운한 시가 순서대로 적혀 있다. 여기에 적힌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17세기 후반기의 한글 표기법을 참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2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F>
 +
 +
==시각자료==
 +
<gallery>
 +
파일:고산구곡도_4000x2924.png | 고산구곡도 고해상도 스캔 이미지(4000×2924)
 +
</gallery>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33%"|관계어 정의||width="33%"|대상
 +
|-
 +
|{{PAGENAME}} ||isIncludedIn ||조선사료집진
 +
|-
 +
|고산구곡도설 ||indicates ||{{PAGENAME}}
 +
|-
 +
|{{PAGENAME}} ||isRelatedTo ||기호학파
 +
|-
 +
|{{PAGENAME}} ||isModelledOn ||고산구곡가
 +
|}
 +
 +
*<span style='color:blue'>'''[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서동신/20170117_동신3-1.htm 연계 관계망 보기]'''</span>
 +
 +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PAGENAME}}||창작연대||1688(숙종14)~1701(숙종27)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PAGENAME}} ||수록처||조선사료집진||N/A||N/A
 +
|}
 +
 +
==참고문헌==
 +
 +
==주석==
 +
<references/>
 +
 +
[[분류:한글고문헌]]
 +
 +
<!--
 
{{전시자료
 
{{전시자료
 
|대표명칭 = 고산구곡도
 
|대표명칭 = 고산구곡도
54번째 줄: 125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서동신/20170117_동신3-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서동신/20170117_동신3-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
</html>   
==연계 항목==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
 
 
 
{|class="wikitable"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고산구곡도 || 전시자료 ||
 
|-
 
|고산구곡도 || 보유 문화재 ||
 
|-
 
|고산구곡도 || 관련 인물 ||
 
|-
 
|고산구곡도 || 관련 공간 ||
 
|}
 
(* 임시 테스트본)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유형 || 건수 || width="80%"|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
 
|문헌작품 || 1 || * [[Resides in::조선사료집진]] 
 
|}
 
  
(* 임시 테스트본)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이 문서 || 관계 || width="50%"|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 유형
 
|-
 
{{PAGENAME}}(은/는) || ~에_있다 || [[Resides in::조선사료집진]] || 문헌작품
 
|}
 
-->
 
 
==갤러리==
 
==갤러리==
 
<gallery>
 
<gallery>
97번째 줄: 141번째 줄:
 
[[분류:회화]]
 
[[분류:회화]]
 
[[분류:조선]]
 
[[분류:조선]]
 +
-->

2017년 2월 2일 (목) 01:07 판

고산구곡도
한글팀 고산구곡도 02.png
한자명칭 高山九曲圖
영문명칭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작자 미상
작성시기 1688(숙종14)~1701(숙종27)
소장처 『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 수록
유형 회화
판본 종이에 수묵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

내용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이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고산구곡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이곳에서 은거의 뜻을 밝혔다. 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 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이 <고산구곡도>는 현존 사례 가운데 제작 시기가 가장 올라가며,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의도에 따라 그의 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가 주도하여 1688년(숙종14)경에 완성한 그림이다. 그림의 전체 구성은 왼편 제1곡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제9곡에 이르기까지 파노라마식으로 전개된다. 각 곡에는 주요 경물의 명칭을 적어놓았고, 고산구곡의 실경과 고산구곡가의 시어(詩語)를 절충적으로 형상화 한 것이 특징이다. 두루마리 위쪽에는 각 곡마다 3편의 시가 적혀 있다. 김수증(金壽增, 1624~1701)이 한글로 쓴 이이의 고산구곡가가 먼저 나오고, 이를 송시열이 한문으로 번역한 시와 김수항(金壽恒, 1629~1689) 등 9명이 쓴 무이도가(武夷棹歌) 시를 차운한 시가 순서대로 적혀 있다. 여기에 적힌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17세기 후반기의 한글 표기법을 참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관계어 정의 대상
고산구곡도 isIncludedIn 조선사료집진
고산구곡도설 indicates 고산구곡도
고산구곡도 isRelatedTo 기호학파
고산구곡도 isModelledOn 고산구곡가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고산구곡도 창작연대 1688(숙종14)~1701(숙종27)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고산구곡도 수록처 조선사료집진 N/A N/A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2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