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태자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번째 줄: | 3번째 줄: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봉화 태자사 | |대표명칭= 봉화 태자사 | ||
− | |영문명칭= Taejasa Temple,Bonghwa | + | |영문명칭= Taejasa Temple, Bonghwa |
|한자= 奉化 太子寺 | |한자= 奉化 太子寺 | ||
|이칭= | |이칭= |
2017년 9월 1일 (금) 18:03 판
봉화 태자사 (奉化 太子寺) |
|
대표명칭 | 봉화 태자사 |
---|---|
영문명칭 | Taejasa Temple, Bonghwa |
한자 | 奉化 太子寺 |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에 위치하였을꺼라 추정되는 절.
내용
태자사(太子寺)의 위치는 정확히 지적하기 어렵다. 다만 1964년부터 실시한 '신라오악학술조사'의 일환으로 이 절터 탐색을 시도한 일이 있었고, 그 결과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의 폐사지 한 곳을 이 절터로 추정하였다.[1]
이처럼 태자사가 봉화군 소재로 기록되었으나 현재 안동시에 위치하였을꺼라 추정하는 것은 행정구역의 변경의 결과인지 알 수 없고, 안동군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2]
태자사에는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가 있었는데, 이 비가 태자사에 954년에 세워졌으나, 태자사는 조선 중기에 폐사되었다.[3]
태자사에 관한 옛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태종실록(太宗實錄)』 태종 7년 12월 2일조에 제주자복사(諸州資福寺)를 논하는 가운데 태자사를 ‘봉화태자사(奉化太子寺)’로 기록하였고, 『조선금석고(朝鮮金石攷)』에는 ‘봉화군 하남면 태자리’로 기록하였고,『범우고(梵宇攷)』에는 ‘봉화태자사’로 기록하였다.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진홍섭, 『묵재한화』, (주)대원사, 1999. 190쪽.
- ↑ 진홍섭, 『묵재한화』, (주)대원사, 1999. 191쪽.
- ↑ 김원규, "『해동 명필-김생』",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