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무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신라 때 [[원효|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신라 헌강왕|헌강왕]] 1)에 [[도선|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신라 효공왕|효공왕]] 9) [[혜근|선각(禪覺)]]이 3창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신라 때 [[원효|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신라 헌강왕|헌강왕]] 1)에 [[도선|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신라 효공왕|효공왕]] 9) [[혜근|선각(禪覺)]]이 3창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1407년([[조선 태종|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조선 세종|세종]] 12) [[강진 무위사 극락전|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조선 명종|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407년([[조선 태종|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조선 세종|세종]] 12) [[강진 무위사 극락전|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조선 명종|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이 때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그 뒤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그 당시 지어졌던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버렸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5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이 때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그 뒤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그 당시 지어졌던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버렸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5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
54번째 줄: | 52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5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
− | +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2017년 8월 28일 (월) 00:02 판
강진 무위사 (康津 無爲寺) |
|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
---|---|
영문명칭 | Muwisa Temple, Gangjin |
한자 | 康津 無爲寺 |
이칭 |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
건립시기 | 7세기 |
경내문화재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
|
정의
전남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1]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에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2]
1407년(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3]
이 때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그 뒤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4] 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그 당시 지어졌던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버렸다.[5]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무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