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상)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이 비는 비신 높이 267㎝, 너비 130㎝, 두께 24㎝ 이다. [[조선 태조]]의 명령으로 [[박의중|박의중(朴宜中)]]이 비문을 지었으며, [[선진|선진(旋軫)]]이 비문과 [[제액|전액(篆額)]]을 썼다. 1393년([[조선 태조|태조]] 2) 국사의 문인인 [[중윤|중윤(中允)]]이 [[충저 억정사|억정사]]에 비를 세우고, [[혜공|혜공(惠公)]]이 글씨를 새겼다.<ref>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146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 비는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높이 267㎝, 너비 130㎝, 두께 24㎝ 이다. [[조선 태조]]의 명령으로 [[박의중|박의중(朴宜中)]]이 비문을 지었으며, [[선진|선진(旋軫)]]이 비문과 [[제액|전액(篆額)]]을 썼다. 1393년([[조선 태조|태조]] 2) 국사의 문인인 [[중윤|중윤(中允)]]이 [[충저 억정사|억정사]]에 비를 세우고, [[혜공|혜공(惠公)]]이 글씨를 새겼다.<ref>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146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직사각형의 비받침 위에, 비문을 새긴 몸돌이 올려진 단순한 형태로, 몸돌 윗쪽의 양 끝을 사선으로 잘라냈을 뿐 다른 꾸밈은 없다. 비몸돌의 네 면에는 [[해서|해서체(楷書體)]]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 비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친 과도기적 작품으로, 조형상으로는 간략한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160000,33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직사각형의 비받침 위에, 비문을 새긴 몸돌이 올려진 단순한 형태로, 몸돌 윗쪽의 양 끝을 사선으로 잘라냈을 뿐 다른 꾸밈은 없다. 비몸돌의 네 면에는 [[해서|해서체(楷書體)]]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 비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친 과도기적 작품으로, 조형상으로는 간략한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160000,33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89번째 줄: 89번째 줄: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보물]]
 
[[분류:보물]]
[[분류:승탑/완료]]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8월 21일 (월) 11:40 판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忠州 億政寺址 大智國師塔碑)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한자 忠州 億政寺址 大智國師塔碑
이칭 대지국사지감원명탑비(大智國師碑銘智鑑圓明塔碑)
주소 충북 충주시 엄정면 비석2길 35-21 (괴동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6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찬자 박의중(朴宜中)
서자 선진(旋軫)
각자 혜공(惠公)
서체 해서(楷書)
승려 찬영(粲英)
건립연대 1393년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억정사지(億政寺址)에서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대지국사 찬영(大智國師 粲英, 1328-1390)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비신(碑身)[1]높이 267㎝, 너비 130㎝, 두께 24㎝ 이다. 조선 태조의 명령으로 박의중(朴宜中)이 비문을 지었으며, 선진(旋軫)이 비문과 전액(篆額)을 썼다. 1393년(태조 2) 국사의 문인인 중윤(中允)억정사에 비를 세우고, 혜공(惠公)이 글씨를 새겼다.[2]

직사각형의 비받침 위에, 비문을 새긴 몸돌이 올려진 단순한 형태로, 몸돌 윗쪽의 양 끝을 사선으로 잘라냈을 뿐 다른 꾸밈은 없다. 비몸돌의 네 면에는 해서체(楷書體)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 비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친 과도기적 작품으로, 조형상으로는 간략한 형식이다.[3]

1963년 보물 제16호로 지정되었다.[4]

비문

비문은 대지국사(大智國師)의 생애를 기록하고 있다. 국사는 14세에 중흥사(重興寺)에서 출가하여 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의 제자가 되었고, 22세 나이에 승과시험에 합격하였다. 우왕창왕대에 왕사(王師)로 책봉되었으며, 이후 1390년(공양왕 2년) 63세에 억정사(億政寺)에서 입적하였다. 비문의 처음에 보우의 많은 제자 중 하나라는 점을 강조한 점이 특이하다.[5]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충주 억정사 A는 B에 있었다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충주 억정사지 A는 B에 있다
충주 억정사지 충주 억정사 A는 B의 터이다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찬영 A는 B를 위한 비이다 1393년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박의중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선진 A는 B가 비문을 썼다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혜공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조선 태조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 차후 있을 답사 후 보완..

갤러리

영상

주석

  1.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2. 선주선,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2-27쪽.

참고문헌

  •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2-27쪽.
  • 서동형,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주선,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