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장정보 | {{복장정보 | ||
− | |사진=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조복 김아람.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궁중기록화팀 |
|대표명칭= 왕의 조복 | |대표명칭= 왕의 조복 | ||
|한자표기= 王의 朝服 | |한자표기= 王의 朝服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왕]]의 조복(朝服)은 원유관복(遠遊冠服) 일습이다. 원유관복은 조선시대 왕이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예복이다. 머리에 쓰는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줄인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왕]]이 쓰는 것은 양이 9줄이다.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 + | [[왕]]의 조복(朝服)은 '원유관복(遠遊冠服)' 일습이다. 원유관복은 조선시대 왕이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예복이다. 머리에 쓰는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줄인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왕]]이 쓰는 것은 양이 9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
− | ==내용== | + | =='''내용'''== |
===복식구성=== | ===복식구성=== | ||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 [[강사포 | 강사포(絳紗袍)]], [[강사포 하상|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왕실남성)|규(圭)]] |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 [[강사포 | 강사포(絳紗袍)]], [[강사포 하상|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왕실남성)|규(圭)]]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왕]]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왕]]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국조오례의서례 | + | | [[국조오례의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PAGENAME}}''' || [[원유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강사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강사포 하상]]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중단(왕실남성)| 중단]]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폐슬(왕실남성) | 폐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후수(왕실남성) | 후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패옥(왕실남성) | 패옥]]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대대(왕실남성) | 대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적말]]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적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 + | | '''{{PAGENAME}}''' || [[규(왕실남성)|규]]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 |- |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 | 파일:고종-초상화.jpg|고종 통천관복. http://www.gogung.go.kr | + | 파일:고종-초상화.jpg|고종 통천관복. .<ref>[http://www.gogung.go.kr 국립고궁박물관]</ref> |
</gallery> | </gallery> | ||
69번째 줄: | 6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經國大典』 | ||
+ | * 『大韓禮典』 | ||
+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 |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
+ |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
+ |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 |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2017년 8월 21일 (월) 01:20 판
왕의 조복 (王의 朝服) |
|
대표명칭 | 왕의 조복 |
---|---|
한자표기 | 王의 朝服 |
이칭별칭 | 원유관복(遠遊冠服) |
분류 | 예복 |
착용신분 | 왕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왕의 조복(朝服)은 '원유관복(遠遊冠服)' 일습이다. 원유관복은 조선시대 왕이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예복이다. 머리에 쓰는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줄인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왕이 쓰는 것은 양이 9줄이다.[1]
내용
복식구성
원유관(遠遊冠), 강사포(絳紗袍), 상(裳),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왕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한다. |
국조오례의서례 | 왕의 조복 | A는 B를 기록한다. |
왕의 조복 | 원유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강사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강사포 하상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중단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폐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후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패옥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대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적말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적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규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왕의 조복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고종 통천관복. .[2]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經國大典』
- 『大韓禮典』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