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내용)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34년 [[조선 영조|영조]]로부터 '백일(白日)'이라는 편호(扁號)를 하사받았다.<ref>"[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dataId=ITKC_MI_0480A 행력]", 한국문집총간 해제 백일헌유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1735년([[조선 영조|영조]] 11) 정월 10일 향년 5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삼의 부음을 들은 [[조선 영조|영조]]는 애도의 뜻으로 철조(輟朝)<ref>철조(輟朝): 국상(國喪)을 당하거나 대신(大臣)이 죽었을 때, 혹은 재앙이 있을 때 임시로 조회(朝會)를 정지하던 일. 출처: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743&cid=50293&categoryId=50293 철조]",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와 철시(撤市)<ref>철시(撤市): 국상이 났거나 대신이 죽었을 때 저자의 문을 닫고 쉬던 일. 출처: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idx=326856 철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표준국어대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국어원.</ref>를 명하고 신하들이 진달한 바에 따라 우찬성 함은부원군(右贊成咸恩府院君)으로 추증하였으며, 예관을 보내어 제를 올렸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다.<ref>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556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저술로는 윤동수(尹東洙)가 지은 묘지명에 의하면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으며, 1949년 이삼의 후손들이 시문집을 수집하고 [[정인보|정인보(鄭寅普)]]로부터 서문을 받아 석판본(石印本)으로 간행한 [[백일헌유집|백일헌유집(白日軒遺集)]]이 전해진다.<ref>"[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dataId=ITKC_MI_0480A 편찬및간행]", 한국문집총간 해제 백일헌유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
현재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는 이삼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이바지함에 따라 [[조선 영조|영조]]가 내린 하사금으로 1700년대 초에 지은 고택인 [[논산 백일헌 종택|백일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730000,34 논산 백일헌 종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종택에는 조선 시대 공신의 책봉과 관련된 교서 등 많은 고문서와 백일헌 유집(遺集) 등 서적, 언월도(偃月刀) 등 무관(武官)과 관련된 많은 유품과 사당이 보존되어 있다.<ref>김규형,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30004 논산 백일헌 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에는 이삼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백일헌영당|백일헌영당(白日軒影堂)]]<ref>전용우,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679 백일헌 영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삼 장군 묘소|이삼의 묘]], [[이삼 장군 재실|재실(齋室)]이삼 장군 재실 등이 남아 있다. 이 밖에, 조선시대 객사 건물인 [[여수 진남관|여수 진남관(鎭南館, 국보 제304호)]] 경내에는 이삼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비인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咸恩君李森去思不忘碑 ]]가 남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5687&cid=40942&categoryId=33690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현재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는 이삼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이바지함에 따라 [[조선 영조|영조]]가 내린 하사금으로 1700년대 초에 지은 고택인 [[논산 백일헌 종택|백일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730000,34 논산 백일헌 종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종택에는 조선 시대 공신의 책봉과 관련된 교서 등 많은 고문서와 백일헌 유집(遺集) 등 서적, 언월도(偃月刀) 등 무관(武官)과 관련된 많은 유품과 사당이 보존되어 있다.<ref>김규형,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30004 논산 백일헌 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에는 이삼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백일헌영당|백일헌영당(白日軒影堂)]]<ref>전용우,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679 백일헌 영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삼 장군 묘소|이삼의 묘]], [[이삼 장군 재실|재실(齋室)]이삼 장군 재실 등이 남아 있다. 이 밖에, 조선시대 객사 건물인 [[여수 진남관|여수 진남관(鎭南館, 국보 제304호)]] 경내에는 이삼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비인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咸恩君李森去思不忘碑 ]]가 남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5687&cid=40942&categoryId=33690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2017년 8월 17일 (목) 00:48 판
이삼(李森) | |
대표명칭 | 이삼 |
---|---|
한자표기 | 李森 |
생몰년 |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
본관 | 함평(咸平) |
자 | 원백(遠伯)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관서절요(關西節要) |
부 | 이사길(李師吉) |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1]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2] 1725년(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3] 1734년 영조로부터 '백일(白日)'이라는 편호(扁號)를 하사받았다.[4] 1735년(영조 11) 정월 10일 향년 5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삼의 부음을 들은 영조는 애도의 뜻으로 철조(輟朝)[5]와 철시(撤市)[6]를 명하고 신하들이 진달한 바에 따라 우찬성 함은부원군(右贊成咸恩府院君)으로 추증하였으며, 예관을 보내어 제를 올렸다.[7]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다.[8] 저술로는 윤동수(尹東洙)가 지은 묘지명에 의하면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으며, 1949년 이삼의 후손들이 시문집을 수집하고 정인보(鄭寅普)로부터 서문을 받아 석판본(石印本)으로 간행한 백일헌유집(白日軒遺集)이 전해진다.[9]
현재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는 이삼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이바지함에 따라 영조가 내린 하사금으로 1700년대 초에 지은 고택인 백일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다.[10] 종택에는 조선 시대 공신의 책봉과 관련된 교서 등 많은 고문서와 백일헌 유집(遺集) 등 서적, 언월도(偃月刀) 등 무관(武官)과 관련된 많은 유품과 사당이 보존되어 있다.[11] 또한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에는 이삼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백일헌영당(白日軒影堂)[12], 이삼의 묘, [[이삼 장군 재실|재실(齋室)]이삼 장군 재실 등이 남아 있다. 이 밖에, 조선시대 객사 건물인 여수 진남관(鎭南館, 국보 제304호) 경내에는 이삼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비인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咸恩君李森去思不忘碑 가 남아 있다.[13]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삼 공신도상 | 이삼 | A는 B의 초상화이다 | |
이삼 초상(전신상) | 이삼 | A는 B의 초상화이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고순영, "이삼",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행력", 한국문집총간 해제 백일헌유집,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 철조(輟朝): 국상(國喪)을 당하거나 대신(大臣)이 죽었을 때, 혹은 재앙이 있을 때 임시로 조회(朝會)를 정지하던 일. 출처: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철조",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철시(撤市): 국상이 났거나 대신이 죽었을 때 저자의 문을 닫고 쉬던 일. 출처: "철시",
『표준국어대사전』online , 국립국어원. - ↑ 고순영, "이삼",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재룡, "이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편찬및간행", 한국문집총간 해제 백일헌유집,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 "논산 백일헌 종택",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규형, "논산 백일헌 종택",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전용우, "백일헌 영당",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