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37번째 줄: 37번째 줄: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에 관련, [[이정신|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 공신에 책록되고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9년 벼슬이 병조판서에 올랐다.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으며, 저서로는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ref>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556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에 관련, [[이정신|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 공신에 책록되고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9년 벼슬이 병조판서에 올랐다.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으며, 저서로는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ref>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556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8월 16일 (수) 21:56 판

이삼(李森)
대표명칭 이삼
한자표기 李森
생몰년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본관 함평(咸平)
원백(遠伯)
시대 조선
대표저서 관서절요(關西節要)
이사길(李師吉)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1]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2] 1725년(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에 관련, 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 공신에 책록되고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3] 1729년 벼슬이 병조판서에 올랐다.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으며, 저서로는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삼 공신도상 이삼 A는 B의 초상화이다
이삼 초상(전신상) 이삼 A는 B의 초상화이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고순영, "이삼", 『디지털청도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이재룡, "이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