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대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려정보
 
{{승려정보
 
|사진=
 
|사진=
|대표명칭=대통(大通)
+
|사진출처=
 +
|대표명칭=대통
 
|영문명칭=Daetong
 
|영문명칭=Daetong
 +
|한자=大通
 
|생년=816(헌덕왕 8)
 
|생년=816(헌덕왕 8)
 
|몰년=883(헌강왕 9)
 
|몰년=883(헌강왕 9)
9번째 줄: 10번째 줄:
 
|호=
 
|호=
 
|휘=대통(大通)
 
|휘=대통(大通)
 +
|법명=
 
|법호=
 
|법호=
 
|탑호=대보선광(大寶禪光)
 
|탑호=대보선광(大寶禪光)
 
|자=태융(太融)
 
|자=태융(太融)
 +
|이칭=
 
|성씨=박씨(朴氏)
 
|성씨=박씨(朴氏)
 
|본관=
 
|본관=
 
|속명=
 
|속명=
|출신지=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 (현재의 강원도 철원)
+
|출신지=통화부(通化府, 현재의 강원도 철원)
 
|승탑=
 
|승탑=
|승탑비=[[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
|승탑비=[[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필드수=11
 
 
}}
 
}}
  
__TOC__
+
=='''정의'''==
 +
신라시대의 승려.
 +
 
 +
=='''내용'''==
 +
대통(大通)은 816년 지금의 강원도 철원 지방인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에서 출생하였다.
 +
 
 +
어릴 때부터 학문을 닦아 제자백가(諸子百家)에 통달했으며, 후에 불전(佛典)을 읽고 깨달은 바 있어 승려가 되었다. 845년(문성왕 7) [[성린|성린(聖鱗)]]에게서 비구계(比丘戒)를 받고, 단엄사(丹嚴寺)에서 정진하던 중 사형(師兄)인 [[자인|자인(慈忍)]]이 당나라에서 돌아온 일에 자극을 받아 분발하여 [[직산|직산(樴山)]]에서 석달 동안 선정(禪定)을 닦았다. 856년(문성왕 18) 사신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혜적|징허(澄虛)]]에게 사사하고, 황매(黃梅)의 심인(心印)을 받아 866년(경문왕 6) 귀국, 충북 제천군의 월광사(月光寺) 주지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574&cid=40942&categoryId=33375 대통]", 『두산백과』. 2017년 2월 1일 확인.</ref>
 +
 
 +
===가계와 탄생===
  
=='''정의'''==
+
{{Blockquote|선사의 이름은 대통(大通)이고 자(字)는 태융(太融), 성은 박씨(朴氏)이며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 출신이다. 대대로 벼슬과 영화를 멀리하였으며 가까운 조상은 소박한 ...을 이었다. 증조부와 할아버지는 ... (어머니) ...씨는 본래 취성군(取城郡: 지금의 황해도 황주) 사람이었다. 선사를 잉태한 날부터 예절을 지키고 행동을 삼가하였으며 경전을 외우는 것으로 태교를 하였는데, 그 태어나는 때에 보니 과연 범상치 않았다. 선사는 강과 산의 뛰어난 정기를 간직하고 하늘과 땅의 빼어난 기운을 받아서 마치 곤산(崑山)의 한조각 구슬과 같고 계림(桂林)의 한 줄기 가지와 같았다.
신라시대의 승려
+
|출처=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7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출가수행===
 +
 
 +
{{Blockquote|어린 시절을 지나서 성년이 되자 집 ...... "문장을 짓는 것을 게을리 하지말고 경사(經史: 경전과 역사책)를 부지런히 읽어야 한다. 너는 이것을 명심하여라"하였다. 선사는 이에 공손히 가르침을 받들어서 홀연히 스승을 찾아 떠났다. (선사의) 총명함은 (글을) 한번에 다섯 줄씩 읽어 내릴 정도이고 명민함은 한번 읽으면 잊어버리지 않아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여러 책을 두루 통달하였고, 천 가지 경전과 만 가지 논소(論疏)의 내용들을 다 깨우쳤다. 그리고 나서는 불교의 경전들을 보았는데 더욱 많이 깨달아 ...... 옳고 그름이 다르지 않음을 ...... 곧 상투를 풀어 머리를 자르고 마옷을 벗고 승복을 걸쳤는데 이때가 회창(會昌)<ref>당 무종(唐 武宗)의 연호, 841-846.</ref> 을축년(문성왕 7, 845년) 봄이었다.
 +
|출처=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7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구법유학===
 +
 
 +
{{Blockquote|
 +
|출처=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7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귀국 및) 활동===
  
 +
{{Blockquote|
 +
|출처=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7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생애'''==
+
===입적===
  
대통(大通)은 816년 지금의 강원도 철원 지방인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에서 출생하였다.  
+
{{Blockquote|
 +
|출처=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7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어릴 때부터 학문을 닦아 제자백가(諸子百家)에 통달했으며, 후에 불전(佛典)을 읽고 깨달은 바 있어 승려가 되었다. 845년(문성왕 7) [[성린|성린(聖鱗)]]에게서 비구계(比丘戒)를 받고, 단엄사(丹嚴寺)에서 정진하던 중 사형(師兄)인 [[자인|자인(慈忍)]]이 당나라에서 돌아온 일에 자극을 받아 분발하여 [[직산|직산(樴山)]]에서 석달 동안 선정(禪定)을 닦았다. 856년(문성왕 18) 사신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혜적|징허(澄虛)]]에게 사사하고, 황매(黃梅)의 심인(心印)을 받아 866년(경문왕 6) 귀국, 충북 제천군의 월광사(月光寺) 주지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574&cid=40942&categoryId=33375 대통]", 『두산백과』. 2017년 2월 1일 확인.</ref>
+
=='''지식관계망'''==
 +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width="30%"|node!!width="40%"|relation!!width="30%"|node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는 -를 위한 승탑이다 || 대통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는 -를 위한 승탑이다 || 대통
62번째 줄: 88번째 줄: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갤러리===
  
 +
===영상===
  
=='''각주'''==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참고문헌'''==
[[분류:인물]]
+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57-292쪽.
[[분류:승려]]
+
*이지관, "충주 월광사 원랑선사 대보선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12-229쪽.
[[분류:신라]]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31-39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7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860 대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574&cid=40942&categoryId=33375 대통]",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3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려]] [[분류:신라]] [[분류:승탑/작성중]]

2017년 8월 15일 (화) 22:13 판

대통(大通)
BHST Monk1.png
대표명칭 대통
영문명칭 Daetong
한자 大通
생몰년 816(헌덕왕 8)-883(헌강왕 9)
시호 원랑선사(圓朗禪師)
대통(大通)
탑호 대보선광(大寶禪光)
태융(太融)
성씨 박씨(朴氏)
출신지 통화부(通化府, 현재의 강원도 철원)
승탑비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대통(大通)은 816년 지금의 강원도 철원 지방인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에서 출생하였다.

어릴 때부터 학문을 닦아 제자백가(諸子百家)에 통달했으며, 후에 불전(佛典)을 읽고 깨달은 바 있어 승려가 되었다. 845년(문성왕 7) 성린(聖鱗)에게서 비구계(比丘戒)를 받고, 단엄사(丹嚴寺)에서 정진하던 중 사형(師兄)인 자인(慈忍)이 당나라에서 돌아온 일에 자극을 받아 분발하여 직산(樴山)에서 석달 동안 선정(禪定)을 닦았다. 856년(문성왕 18) 사신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징허(澄虛)에게 사사하고, 황매(黃梅)의 심인(心印)을 받아 866년(경문왕 6) 귀국, 충북 제천군의 월광사(月光寺) 주지가 되었다.[1]

가계와 탄생

Quote-left.png 선사의 이름은 대통(大通)이고 자(字)는 태융(太融), 성은 박씨(朴氏)이며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 출신이다. 대대로 벼슬과 영화를 멀리하였으며 가까운 조상은 소박한 ...을 이었다. 증조부와 할아버지는 ... (어머니) ...씨는 본래 취성군(取城郡: 지금의 황해도 황주) 사람이었다. 선사를 잉태한 날부터 예절을 지키고 행동을 삼가하였으며 경전을 외우는 것으로 태교를 하였는데, 그 태어나는 때에 보니 과연 범상치 않았다. 선사는 강과 산의 뛰어난 정기를 간직하고 하늘과 땅의 빼어난 기운을 받아서 마치 곤산(崑山)의 한조각 구슬과 같고 계림(桂林)의 한 줄기 가지와 같았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출가수행

Quote-left.png 어린 시절을 지나서 성년이 되자 집 ...... "문장을 짓는 것을 게을리 하지말고 경사(經史: 경전과 역사책)를 부지런히 읽어야 한다. 너는 이것을 명심하여라"하였다. 선사는 이에 공손히 가르침을 받들어서 홀연히 스승을 찾아 떠났다. (선사의) 총명함은 (글을) 한번에 다섯 줄씩 읽어 내릴 정도이고 명민함은 한번 읽으면 잊어버리지 않아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여러 책을 두루 통달하였고, 천 가지 경전과 만 가지 논소(論疏)의 내용들을 다 깨우쳤다. 그리고 나서는 불교의 경전들을 보았는데 더욱 많이 깨달아 ...... 옳고 그름이 다르지 않음을 ...... 곧 상투를 풀어 머리를 자르고 마옷을 벗고 승복을 걸쳤는데 이때가 회창(會昌)[2] 을축년(문성왕 7, 845년) 봄이었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구법유학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귀국 및) 활동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입적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는 -를 위한 승탑이다 대통
무염 는 -의 스승이다 대통
징허대사 는 -의 스승이다 대통
대통 는 -의 스승이다 진윤
자인 는 -의 동문이다 대통
대통 는 -에서 주석하였다 월광사
대통 는 -에서 수행하였다 단엄사
대통 는 -에서 수행하였다 직산
대통 는 -와 관련있다 위앙종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는 -가 비문을 지었다 김영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는 -가 비문을 썼다 순몽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는 -가 비문을 새겼다 진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대통", 『두산백과』. 2017년 2월 1일 확인.
  2. 당 무종(唐 武宗)의 연호, 841-846.

참고문헌

  •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57-292쪽.
  • 이지관, "충주 월광사 원랑선사 대보선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12-229쪽.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31-3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정병조, "대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통",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