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879
| + | {{승려정보 |
− | http://m.blog.naver.com/wlsgk8670/100159677853
| + | |사진= |
− | {{인물정보
| + | |사진출처= |
− | |국문명 = 유정 | + | |대표명칭=유정 |
− | |DB유형 = 인물 | + | |영문명칭= |
− | |한자명 = 惟政 | + | |한자=惟政 |
− | |이칭/호 = 자(字): 이환, 속명: 임응규(任應奎), 법명: 유정(惟政). /사명당(四溟堂), 송운(松雲), 별호: 종봉(鍾峯) | + | |생년=1544년(중종 39) |
− | |시대 = 조선 | + | |몰년=1610년(광해군 2) |
− | |성별 = 남 | + | |시호=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
− | |출생 - 사망 = 1544년(중종 39) - 몰년 1610년(광해군 2) | + | |호=사명당(四溟堂), 사명(四溟), 송운(松雲) |
− | |성격 = 승려, 승병장 | + | |휘= |
− | |본관 =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 + | |법명=유정(惟政) |
− | |이미지 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5 "유정", 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소장됨</ref> | + | |법호= |
− | |image = 사명대사영정.jpg | + | |탑호= |
| + | |자=이환(離幻) |
| + | |이칭=종봉(鍾峯) |
| + | |성씨=임씨 |
| + | |본관=풍천(豊川) |
| + | |속명=임응규(任應奎) |
| + | |출신지=경상남도 밀양 |
| + | |승탑=[[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
| + | |승탑비=[[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
| }} | | }} |
− | =='''개요'''==
| |
− | 유정(惟政)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다. 속성은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송운(松雲), 당호는 사명당(泗溟堂), 별호는 종봉(鍾峯), 본관은 [[풍천 임씨|풍천]]이며,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법명인 유정보다 당호인 '''사명당'''(泗溟堂)으로 더 유명하고, 존경의 뜻을 담아 '''사명대사'''(泗溟大師)라고도 부른다.<br/>
| |
− | 승려의 몸으로 국가의 위기에 몸소 뛰쳐나와 의승(義僧)을 이끌고 전공을 세웠으며 전후의 대일 강화조약 등 눈부신 활약은 후세 국민이 민족의식을 발현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 |
| | | |
− | =='''생애'''== | + | =='''정의'''== |
− | 경상남도 밀양에서 임수성(任守成)의 아들로 태어났다.
| + | 조선시대의 승려 |
| | | |
− | 일찍 부모를 여읜 사명당은 13세에 황여헌(黃汝獻)에게 사사(師事)하다가 황악산 [[직지사]]에 들어가 신묵화상(信默和尙)에게 선(禪)을 받아 승려가 되었고, 거기에서 불교의 오의(奧義)를 깨달았다. 1561년(명종 16) 선과(禪科)에 급제하고 당시의 학자·대부·시인들이었던 사암(思菴) 박순(朴淳)·하곡(荷谷) 허봉(許篈)·백호(白湖) 임제(林悌) 등과 교제하였다.
| + | =='''내용'''== |
| | | |
− | 1575년(선조 8년) 선종(禪宗)의 주지로 추대되었으나 사양하고 묘향산에 들어가 휴정(서산대사)에게서 성종(成宗)을 강의 받고 크게 각성하였다.[3] 금강산 보덕사(報德寺)에서 3년을 지내고, 다시 팔공산·청량산·태백산 등을 유람했으며, 43세 때 옥천산(沃川山) 상동암(上東菴)에서 하룻밤 소나기에 뜰에 떨어진 꽃을 보고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문도들을 해산시킨 다음 오랫동안 참선하였으며, 46세에 오대산 영감란야(靈鑑蘭若)에 있다가 역옥에 죄 없이 걸렸으나 무죄 석방되어 금강산에서 3년 동안 지냈다.
| + | ===가계와 탄생=== |
| | | |
− | =='''활동사항'''==
| |
− | === 임진왜란 이전 ===
| |
− | [[경상남도]] [[밀양시|밀양]]에서 임수성(任守成)의 아들로 태어났다. 사명당은 7세를 전후하여 『사략』을 배웠고, 13세에 [[황여헌|황여헌(黃汝獻)]]을 사사(師事)하다가 1558년(명종 13) 어머니가 죽고, 1559년 아버지가 죽자 김천 황악산 [[직지사|직지사(直指寺)]]로 출가하여 들어가 직지사(直指寺)로 출가하여 신묵(信默)의 제자가 되었다. 3년 뒤 승과(僧科)에 합격하자, 박순(朴淳),임제(林悌) 등의 유생들과 사귀었으며, 재상인 노수신(盧守愼)으로부터 『노자』, 『장자』, 『문자』, 『열자』와 시를 배웠다.<br/>
| |
− | 그 뒤 직지사의 주지를 지냈으며, 1575년(선조 8) 선종이 선종수사찰(禪宗首寺刹)인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로 천거하였으나 사양하고,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의 휴정(休靜)을 찾아가서 도를 닦았다.<br/>
| |
− | 1578년부터 팔공산·금강산·청량산·태백산 등을 다니면서 선을 닦아, 1586년(선조 19) 옥천산(沃川山) 상동암(上東庵)에서 하룻밤 소나기에 뜰에 떨어진 꽃을 보고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문도들을 해산시킨 다음 오랫동안 참선하였다.<br/>
| |
− | 1589년 그의 나이 43세 때 [[정여립 모반사건]]에 연류되었다는 모함을 받았으나, 강릉의 유생들이 무죄를 항소하여 석방되어 금강산에서 3년 동안 지냈다.<br/>
| |
| | | |
− | === 임진왜란 === | + | ===출가수행=== |
− | 1592년 [[임진왜란]] 때, 유점사(楡岾寺)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이 때 조정의 근왕문(勤王文)과 스승 [[휴정]]의 격문을 받고 의승병을 모아 순안으로 가서 [[휴정]]과 합류하였다. 그곳에서 의승도대장(義僧都大將)이 되어 승병 2,000명을 이끌고 [[평양성]]과 중화(中和) 사이의 길을 차단하여 [[평양성]] 탈환의 전초 역할을 담당하였다.<br/>
| |
− | 그 뒤 전후 네 차례에 걸쳐 대표로 나아가 적진에서 가토 [[가토 기요마사|기요마사(加藤淸正)]]와 회담을 가졌다. 제1차 회담(1594년 4월 13∼16일)·제2차 회담(1594년 7월 12∼16일)·제3차 회담(1594년 12월 23일)·제4차 회담(1597년 3월 18일)에서, 강화5조약으로 제시된 ‘천자와 결혼할 것, 조선 4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전과 같이 교린 할 것, 왕자 1명을 일본에 영주하게 할 것, 조선의 대신·대관을 일본에 볼모로 보낼 것’ 등을 하나하나 논리적인 담판으로 물리쳤다.<br/>
| |
− | 제2차 회담 후, [[선조]]에게 회담의 전말과 적의 동정 및 대처 방안을 내용으로 하는 [[토적보민사소|「토적보민사소(討賊保民事疏)」]]를 올렸는데, 국민을 총동원하여 빈틈없는 작전을 세울 것, 적과 교린(交隣)하여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농업을 장려하는 동시에 민력(民力)을 무장할 것, 군수 무기를 준비할 것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br/>
| |
− | 또한, 1595년에 올린 [[을미상소]]의 주요 내용은, 탐관오리들을 소탕할 것, 국세 회복을 위해 방어책을 세울 것, 인물 본위로 등용할 것, 군정(軍政)과 중농정책을 확립할 것, 산성을 수축하고 군량·마초·방어무기를 준비할 것, 승려도 국가 수비의 일익을 담당하게 할 것 등이다.<br/>
| |
− | 그가 수축한 산성은 팔공산성(八公山城)·금오산성(金烏山城)·용기산성(龍起山城)·악견산성(岳堅山城)·이숭산성(李崇山城, 또는 美崇山城)·부산성(釜山城) 및 남한산성 등이다. 군기 제조에도 힘을 기울여 활촉 등의 무기를 만들었고, 투항한 왜군 조총병을 비변사에 인도하여 화약 제조법과 조총 사용법을 가르치도록 하였다.<br/>
| |
− | 또한, 1594년 의령에 주둔하였을 때 군량을 모으기 위하여 각 사찰의 전답에 봄보리를 심도록 하였고, 산성 주위를 개간하여 정유재란이 끝날 때까지 군량미 4,000여 석을 비장하였다. 선조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의 벼슬을 내렸다.<br/>
| |
− | [[1597년]] 정유재란 때 명나라 장수 [[마귀]]를 따라 [[울산왜성]]에 쳐들어갔으며, 이듬해 명나라 장수 유정을 따라 [[순천왜성]]에 이르러 공을 세워 가선동지중추부사(架善同知中樞府事)에 올랐다.
| |
| | | |
− | === 임진왜란 이후 === | + | ===구법유학=== |
− | [[1604년]](선조 37) [[휴정]]의 부음을 받고 가던 중, [[선조]]의 명으로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가서 교토 [[후시미 성]]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만나 강화를 맺고 포로가 되어 갔던 사람 3천 5백 명을 데리고 이듬해 돌아와 가의(嘉義)의 직위와 어마(御馬) 등을 하사받았다. 같은 해 10월에 묘향산에 들어가서 스승 [[휴정]]의 영탑에 애하고 [[치악산]]으로 들어갔다.<br/>
| |
− | 선조의 부보를 듣고 한양으로 달려와 배곡한 후 [[광해군]]의 서변을 지키게 하려 하였으나 병을 얻어 응하지 못했다. 그는 [[합천 해인사|해인사]]에서 요양하다가 1610년 8월 26일 설법하고 결가부좌한 채 입적하였다.
| |
| | | |
− | =='''저서(작품)'''== | + | ===활동=== |
− | 저서로는 문집인 『사명당대사집』 7권과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1권 등이 있다.
| |
− | * [[사명당대사집|《사명당대사집》]]
| |
− | * [[분충서난록|《분충서난록》]]
| |
| | | |
− | =='''상훈과 추모'''== | + | ===입적=== |
− | 제자들이 다비하여 홍제암(弘濟庵) 옆에 부도와 비를 세웠다. 밀양의 표충사(表忠祠), 묘향산의 수충사(酬忠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1997년 [[사명당기념사업회]]가 발족하여 학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
| | | |
− | =='''평가'''== | + | =='''지식관계망'''== |
− | 초서를 잘 썼으며 밀양의 표충사, 묘향산의 수충사(酬忠祠)에 배향되었다. [[합천 해인사|해인사]]에 홍제존자비(弘濟尊者碑)가 있다. 승려의 몸으로 국가의 위기에 몸소 뛰쳐나와 의승(義僧)을 이끌고 전공을 세웠으며 전후의 대일 강화(외교) 등 눈부신 활약은 후세 국민이 민족의식을 발현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 + | "그래프 삽입" |
| | | |
− | =='''기록유산과의 연관성'''== | + | ===관련항목=== |
− |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박서보]]의 1979년 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의 중심 소재로 등장한다.<br/>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유정의 5대 법손(法孫)인 남붕(南鵬)이 전하여 오던 유정의 유고를 모은 사적인 『분충서난록』중 「청정영중탐정기(淸正營中探情記)」에는 선조 27년(1594) 4월과 7월, 12월에 유정이 [[가토 기요마사]]의 진영에 들어가 담판한 내용과 적정의 허실을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br/>
| + | |} |
− | 가토 기요마사가 문왈(問曰), "조선에 보배가 있지 않는가?" 그 소리에 응해서 대사는 "우리 나라에는 타보(他寶)는 없고, 너의 머리로써 보배로 할 뿐이다." 가토 기요마사 왈, "무슨 말인가?" 답왈, "방금 아국(我國)은 너의 머리를 사는데 금천근(金千斤) 읍만(邑萬)을 걸고 있으니 보배가 아니고 무엇인가?" 가토 기요마사는 그제사 경탄하였다
| |
− | * 위의 명언은 일본에도 널리 퍼져 사명당이 포로 석방을 위해 일본에 갔을 때 일본인들이 그를 특별히 대우했다고 한다. 이는 [[유재건]]이 쓴 [[이향견문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 甲辰奉國書, 往日本人, 加時焉
| |
− | 갑진(1604)년에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가게 되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를 특별히 대우하였다.
| |
| | | |
− | ==='''승탑비와의 연관성'''=== | + | ===시간정보=== |
−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는 고승 [[유정]]에 관한 행적을 담고 있는 승탑비다.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노드 및 관계'''==
| |
− | {| class="wikitable" | |
− | ! 노드 || 관계 || 클래스||노드 || 설명 | |
− | |-
| |
− | ||[[유정]]||isTheSubjectOf ||민족기록화||[[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는 [[김정호]]를 소재로 그려진 민족기록화이다.
| |
− | |-
| |
− | |[[유정]]||isTheSubjectOf||승탑비||[[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는 [[유정]]을 소재로 한 승탑비다.
| |
− | |-
| |
− | |[[유정]]|| isRelatedTo ||사건||[[정여립 모반사건]] || [[정여립 모반사건]]은 [[유정]]이 연루된 사건이다.
| |
− | |-
| |
− | |[[유정]]||isMentionedIn||기록||[[이향견문록]] || [[이향견문록]]은 [[유정]]이 언급된 기록이다.
| |
− | |-
| |
− | |[[유정]]|| isRelatedTo||사건||[[평양성 전투]] || [[평양성 전투]]는 [[유정]]이 참전한 사건이다.
| |
− | |-
| |
− | |[[유정]]||hasRelationshipWith||인물||[[권율]] || [[권율]]은 [[유정]]과 함께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 |
− | |-
| |
− | |[[유정]]||isDiscipleOf||인물||[[휴정]] || [[휴정]]은 [[유정]]이 섬긴 스승이다.
| |
| |} | | |} |
| | | |
− | =='''함께 보기'''== | + | =='''시각자료'''== |
− | * 사명당기념사업회
| + | ===갤러리=== |
− | ==='''관련 작품'''===
| |
− | * 《징비록》 KBS1, 2015년, 배우:박병호
| |
− | === 관련 문화재 ===
| |
− |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 보물 제1301호 (2000년 9월 28일 지정)
| |
− | *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 보물 제1505호 (2006년 12월 29일 지정)
| |
− | * 사명대사의 금란가사와 장삼 - 중요민속문화재 제29호 (1973년 7월 16일 지정)
| |
− | * 사명대사일본상륙행렬도팔곡병 -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74호 (1990년 1월 16일 지정)
| |
− | * 사명대사생가지 - 경상남도 시도기념물 제116호 (1992년 10월 21일 지정)
| |
− | | |
− | =='''참고문헌'''== | |
− | ==='''단행본'''=== | |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400848 유재건, 『이향견문록』, 글항아리, 2008년.]
| |
− | | |
− | ==='''웹 사이트'''===
| |
− | '''온라인 사전'''<br/>
| |
− | *[https://namu.wiki/w/%EC%82%AC%EB%AA%85%EB%8B%B9?from=%EC%82%AC%EB%AA%85%EB%8C%80%EC%82%AC "유정", 나무위키], 2016년 12월 26일 검색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A0%95_(1544%EB%85%84) "유정", 위키백과], 2016년 12월 26일 검색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890 "분충서난록",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16년 12월 26일 검색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5 "유정",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년 12월 26일 검색
| |
− | **원천자료: 사료
| |
− | ***『사명당대사집(四溟堂大師集)』
| |
− | ***『동사열전(東師列傳)』
| |
−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1919)
| |
| | | |
− | =='''각주'''== | + | =='''주석'''== |
| <references/> | | <references/> |
| | | |
− | =='''추가자료'''== | + | =='''참고문헌'''== |
| + | *이지관, "합천 해인사 사명대사석장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102-137쪽.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715 해인사사명대사석장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 민족기록화 인물]] | + | {{승탑비문 Top icon}} |
− | [[분류:승탑비]]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인물]] |
| + | [[분류:승려]] |
| + | [[분류:조선]] |
| + | [[분류:승탑/검토요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