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현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현휘
|영문명칭=
+
|영문명칭=Hyeonhwi
|한자=
+
|한자=玄暉
|생년=
+
|생년=879(헌강왕 5)
|몰년=
+
|몰년=941(태조 24)
|시호=
+
|시호=법경(法鏡)
 
|호=
 
|호=
 
|휘=
 
|휘=
 
|법호=
 
|법호=
|탑호=
+
|탑호=자등(慈燈)
 
|자=
 
|자=
|성씨=
+
|성씨=이씨(李氏)
|본관=
+
|본관=남원(南原)
 
|속명=
 
|속명=
 
|출신지=
 
|출신지=
 
|승탑=
 
|승탑=
|승탑비=
+
|승탑비=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
  
 
=='''정의'''==
 
=='''정의'''==
 +
고려 전기의 승려.
  
 
=='''내용'''==
 
=='''내용'''==
 +
===가계와 탄생===
 +
당나라 출신 귀화인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덕순(李德順), 어머니는 부씨(傅氏)이다. 879년(헌강왕 5) 현 전라북도 남원에서 육두품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 충주문화대전
  
===가계와 탄생===
+
{{Blockquote|여기에 그러한 스님이 있으니, 법휘는 현휘(玄暉)이고, 속성은 이씨(李氏)다. 그의 선조는 주조(周朝) 때 비덕(閟德)인 주하사(柱下史) 벼슬을 지낸 노자(老子)의 후손이었다. 영고현(榮苦縣)을 도망쳐 나왔는데,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 하니, 마치 맹자(孟子)가 태어난 추향(鄒鄕)과 같았다. 하늘은 좋은 임금이 나타나 세상을 잘 다스리지 못함을 탄식한다고 하였으니, 공자(孔子)와 같은 사람이 아니면 이를 알 수가 있겠는가. 성당(聖唐)이 요동(遼東)을 원정(遠征)할 때 먼 조상이 종군(從軍)하여 여기까지 왔다가 고역(苦役)에 얽혀 되돌아가지 못하고 정착하였으니, 지금의 전주(全州) 남원(南原)이다. 아버지의 휘(諱)는 덕순(德順)이니, 특히 노자(老子)와 주역(周易)에 정통하였고, 거문고와 시(詩)를 좋아하였다. 백구(白駒)가 쓸쓸한 공곡(空谷)에 있는 것처럼 미처 재질(才質)이 알려지지 않아 조정의 부름을 받지 못하던 야인시절(野人時節)을 보냈으나, 학(鶴)이 울면 새끼는 보이지 않는 알 속에서 화명(和鳴)하여 부화할 때와 같이 명성(名聲)이 세상에 알려졌어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더욱 고상하게 살았다.
 +
|출처=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28-229쪽.}}
  
====탄생설화====
+
===유년기===
 +
나면서부터 거룩한 자태가 있고 보통 아이들 놀음은 전연 안하고 모래 위에 돌을 모아 불탑을 쌓아 올리는 놀이를 즐겨 하였다. - 인명사전
  
====유년기====
+
{{Blockquote|13개월 동안 모태 중에 있다가 건부(乾符) 6년<ref>당(唐)의 희종연호(僖宗年號). 신라 제49대 헌강왕 5년(879).</ref> 1월 1일 오시(午時)에 탄생하였다. 스님은 선천적으로 성자(聖姿)를 지니고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아이들이 하는 장난은 하지 않았다. 불상이나 어른을 보면 합장(合掌)하고, 앉을 때는 가부좌(跏趺坐)를 맺고 앉으며, 땅과 담벽 등에는 불상(佛像)과 탑형(塔形)을 그렸다. 고기에 물을 먹여 살리고 벌레들에게는 먹이를 주어 구제하기도 하였다.
 +
|출처=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30쪽.}}
  
 
===출가수행===
 
===출가수행===
 +
{{Blockquote|
 +
|출처=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구법유학===
 
===구법유학===
 +
{{Blockquote|
 +
|출처=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귀국 및) 활동===
 
===(귀국 및) 활동===
 +
{{Blockquote|
 +
|출처=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입적===
 
===입적===
 +
{{Blockquote|
 +
|출처=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65번째 줄: 79번째 줄: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57-292쪽.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57-292쪽.
 
*이인재, 「충주 정토사 현휘와 영월 흥녕사 절중 - 고려 혜종대 정변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93-321쪽.
 
*이인재, 「충주 정토사 현휘와 영월 흥녕사 절중 - 고려 혜종대 정변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93-321쪽.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10-248쪽.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6996&cid=43671&categoryId=43671 현휘]",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6996&cid=43671&categoryId=43671 현휘]",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최규성, "[http://chung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ungju&dataType=01&contents_id=GC01902014 법경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충주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려]] [[분류:승탑/작성중]]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려]] [[분류:승탑/작성중]]

2017년 8월 14일 (월) 14:26 판

현휘(玄暉)
BHST Monk1.png
대표명칭 현휘
영문명칭 Hyeonhwi
한자 玄暉
생몰년 879(헌강왕 5)-941(태조 24)
시호 법경(法鏡)
탑호 자등(慈燈)
성씨 이씨(李氏)
본관 남원(南原)
승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정의

고려 전기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당나라 출신 귀화인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덕순(李德順), 어머니는 부씨(傅氏)이다. 879년(헌강왕 5) 현 전라북도 남원에서 육두품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 충주문화대전


Quote-left.png 여기에 그러한 스님이 있으니, 법휘는 현휘(玄暉)이고, 속성은 이씨(李氏)다. 그의 선조는 주조(周朝) 때 비덕(閟德)인 주하사(柱下史) 벼슬을 지낸 노자(老子)의 후손이었다. 영고현(榮苦縣)을 도망쳐 나왔는데,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 하니, 마치 맹자(孟子)가 태어난 추향(鄒鄕)과 같았다. 하늘은 좋은 임금이 나타나 세상을 잘 다스리지 못함을 탄식한다고 하였으니, 공자(孔子)와 같은 사람이 아니면 이를 알 수가 있겠는가. 성당(聖唐)이 요동(遼東)을 원정(遠征)할 때 먼 조상이 종군(從軍)하여 여기까지 왔다가 고역(苦役)에 얽혀 되돌아가지 못하고 정착하였으니, 지금의 전주(全州) 남원(南原)이다. 아버지의 휘(諱)는 덕순(德順)이니, 특히 노자(老子)와 주역(周易)에 정통하였고, 거문고와 시(詩)를 좋아하였다. 백구(白駒)가 쓸쓸한 공곡(空谷)에 있는 것처럼 미처 재질(才質)이 알려지지 않아 조정의 부름을 받지 못하던 야인시절(野人時節)을 보냈으나, 학(鶴)이 울면 새끼는 보이지 않는 알 속에서 화명(和鳴)하여 부화할 때와 같이 명성(名聲)이 세상에 알려졌어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더욱 고상하게 살았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28-229쪽.


유년기

나면서부터 거룩한 자태가 있고 보통 아이들 놀음은 전연 안하고 모래 위에 돌을 모아 불탑을 쌓아 올리는 놀이를 즐겨 하였다. - 인명사전


Quote-left.png 13개월 동안 모태 중에 있다가 건부(乾符) 6년[1] 1월 1일 오시(午時)에 탄생하였다. 스님은 선천적으로 성자(聖姿)를 지니고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아이들이 하는 장난은 하지 않았다. 불상이나 어른을 보면 합장(合掌)하고, 앉을 때는 가부좌(跏趺坐)를 맺고 앉으며, 땅과 담벽 등에는 불상(佛像)과 탑형(塔形)을 그렸다. 고기에 물을 먹여 살리고 벌레들에게는 먹이를 주어 구제하기도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30쪽.


출가수행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구법유학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귀국 및) 활동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입적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당(唐)의 희종연호(僖宗年號). 신라 제49대 헌강왕 5년(879).

참고문헌

  • 강정만, "현휘", 『디지털남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두진, 「나말여초의 선종산문과 그 사상의 변화」, 『신라문화』Vol.27, 2006, 111-131쪽.
  • 김상현, "현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57-292쪽.
  • 이인재, 「충주 정토사 현휘와 영월 흥녕사 절중 - 고려 혜종대 정변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93-321쪽.
  •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10-248쪽.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현휘",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규성, "법경대사", 『디지털충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