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50번째 줄: 50번째 줄:
 
저서로는 『이요정집』이 있고, 편서로 『속동문선』·[[속삼강행실도 | 『속삼강행실도』]]가 있다<ref>이재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22 신용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저서로는 『이요정집』이 있고, 편서로 『속동문선』·[[속삼강행실도 | 『속삼강행실도』]]가 있다<ref>이재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22 신용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한글팀 신용개.jpg
 +
</gallery>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신숙주]] || [[신면]]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신면]] || {{PAGENAME}}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김종직]] || {{PAGENAME}} || A는 B의 스승이다 ||
 +
|-
 +
|{{PAGENAME}}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PAGENAME}} || [[갑자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PAGENAME}} || [[홍문관]] || A는 B에 소속된다 ||
 +
|-
 +
|{{PAGENAME}} || [[예문관]] || A는 B에 소속된다 ||
 +
|-
 +
|{{PAGENAME}} || [[속삼강행실도]]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514년
 +
|}
 +
 +
==주석==
 +
<references/>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논문
 +
**최이돈, 「신용개의 정치사상연구」, 『교육연구』vol.10,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2.
 +
**문은아 「二樂亭 申用漑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7.
 +
===유용한 자료===
 +
*배만섭, "[http://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7187 酒仙(주선)과 酒狂(주광)의 세계-홍일동. 손순효, 신용개 조선조 3대 주호]",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2010.01.26.
  
  
 
[[분류 : 한글고문서]]
 
[[분류 : 한글고문서]]
 
[[분류 : 인물]]
 
[[분류 : 인물]]

2017년 8월 12일 (토) 16:28 판

신용개(申用漑)
대표명칭 신용개
한자표기 申用漑
생몰년 1463-1519
본관 고령(高靈)
시호 문경(文景)
이요정(二樂亭)·송계(松溪)·수옹(睡翁)
개지(漑之),
시대 조선
국적 조선
대표저서 『이요정집』,『속삼강행실도』
대표직함 우의정, 좌의정
신면(申㴐)
정호(丁湖)의 딸
상훈 원종공신(原從功臣)
성격 문신


정의

신용개(申用漑, 1463∼1519)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개지(漑之), 호는 이요정(二樂亭)·송계(松溪)·수옹(睡翁). 대제학 신장(申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신면(申㴐)이다. 어머니는 우군사용(右君司勇) 정호(丁湖)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1]

정치활동

1483년(성종 14) 사마시에 합격하고 148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그 해 처음으로 승문원정자에 등용되었다. 그 뒤 수찬, 교리, 지평, 이조정랑, 검상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2]

  • 무오사화

1498년(연산군 4), 성종실록 편찬 과정에서 사관이자 김종직의 제자인 김일손이 훈구대신들의 비리에 대한 비난, 계유정란과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초에 기재한 일로 무오사화가 일어났다. 이 사건으로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이 능지처참되거나 귀양보내졌다. 신용개 역시 투옥되었으나 이전 해부터 모친상을 당하여 관직에 없었다는 이유로 석방되어 도승지의 벼슬을 받았다.[3]

  • 갑자사화

1504년(연산군 10) 궁중에서 낭비되는 예산 문제로 조정 대신들과 궁중세력 사이에 마찰이 생겼다. 이 때 궁중에서 세력을 거치고 있던 임사홍 등이 조정의 원로대신들을 제거하기 위해 연산군에게 윤씨가 폐비된 경위를 알렸다. 이에 이 사건에 연루되었던 조정 대신, 그리고 윤씨를 다시 왕비로 추존하는 일을 반대하는 신료들이 대거 처형당하였다.(갑자사화) 신용개는 당시 언관으로서 폐비 윤씨의 왕비 추존을 반대하는 입장에 섰다가 관직을 박탈당하고 전라도 영광으로 유배되었다. [4]

  • 중종 반정 이후

1506년(중종 1) 중종반정 후 형조참판으로 서용되었으며, 이어 홍문관예문관의 대제학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성희안(成希顔)과 함께 명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다. 그 뒤 대제학·우참찬과 대사헌을 거쳐서 이조·병조·예조의 판서를 역임, 우찬성이 되었다. 1516년에 우의정에 오르고, 1518년 좌의정에 이르렀다. [5]

평가

기품이 높고 총명하여 문명을 떨쳤을 뿐만 아니라, 활쏘기 등 무예에도 뛰어나 문무를 겸비하였다. 인품 또한 꿋꿋하여 범하지 못할 점이 있어 당시 선비들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일찍이 성종은 신용개의 높은 학덕을 사랑하여 어의(御衣: 임금의 옷)를 벗어 입혀준 일이 있었다고 한다. 저서로는 『이요정집』이 있고, 편서로 『속동문선』· 『속삼강행실도』가 있다[6]

시각자료

갤러리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숙주 신면 A는 B의 어버이이다
신면 신용개 A는 B의 어버이이다
김종직 신용개 A는 B의 스승이다
신용개 무오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신용개 갑자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신용개 홍문관 A는 B에 소속된다
신용개 예문관 A는 B에 소속된다
신용개 속삼강행실도 A는 B를 저술하였다 1514년

주석

  1. 이재범, "신용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재범, "신용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은정, 「이낙정 신용개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3권, 한국한시학회, 1998. 8쪽
  4. 김은정, 「이낙정 신용개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3권, 한국한시학회, 1998. 8-9쪽
  5. 이재범, "신용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이재범, "신용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최이돈, 「신용개의 정치사상연구」, 『교육연구』vol.10,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2.
    • 문은아 「二樂亭 申用漑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7.

유용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