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도산서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에 있었던 서원으로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정온(鄭蘊)·이언적(李彦迪)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환벽당]], [[송강정]]과 함께 [[정송강유적]]이라고 불린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678  도산서원(道山書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에 있었던 서원으로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정온(鄭蘊)·이언적(李彦迪)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환벽당]], [[송강정]]과 함께 [[정송강유적]]이라고 불린다.<ref>
 
+
이동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678  도산서원(道山書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1662년 ‘道山(도산)’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先賢配享)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매년 3월 중정(中丁: 두 번째 丁日)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왔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하고 현재는 서원터만 남아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678  도산서원(道山書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662년 ‘道山(도산)’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先賢配享)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매년 3월 중정(中丁: 두 번째 丁日)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왔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하고 현재는 서원터만 남아 있다.<ref>
 +
이동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678  도산서원(道山書院)]",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8월 9일 (수) 23:22 판

도산서원
(道山書院)
도산서원 웹사이트
대표명칭 도산서원
한자표기 道山書院
시대 조선/1693년(숙종19)
지정번호 전라남도 기념물 제1-1호
지정일 1972년 1월 29일
소장처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에 있었던 서원으로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정온(鄭蘊)·이언적(李彦迪)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환벽당, 송강정과 함께 정송강유적이라고 불린다.[1]

내용

1662년 ‘道山(도산)’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先賢配享)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매년 3월 중정(中丁: 두 번째 丁日)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왔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하고 현재는 서원터만 남아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안동 도산서원 도산십이곡 A는 B와 관련이 있다
안동 도산서원 이황 B는 A에 의해 저술되었다
안동 도산서원 주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주석

  1. 이동춘, "도산서원(道山書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동춘, "도산서원(道山書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사료

  • 전고대방(典故大方), 강효석, 발행지미상, 1924
  • 태학지(太學志), 민종현, 성균관, 태학지 번역사업회, 서울: 成均館, 1994
  • 거창향지(居昌鄕誌), 거창군 문화공보실, 거창군, 1982

논문

  • 권기환,「도산서원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경일대학교 대학원 : 건축공학과 건축계획(한국전통건축) 2016. 8
  • 박은희,「도산구곡의 문화경관 해석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환경자원학과 조경학 2014. 8
  • 박정해 , 「도산서당(陶山書堂)의 전통(傳統) 입지환경(立地環境)」,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1 No.- [201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웹사이트

  • "도산서원",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7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