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탕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단체정보 | {{단체정보 | ||
− | |사진= | + | |사진=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의정부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議政府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 + | |이칭= 도당, 묘당, 정부, 황각, 낭묘 |
|유형= | |유형= | ||
|창립자= | |창립자= | ||
|창립시대=조선 | |창립시대=조선 | ||
− | |창립일= | + | |창립일= 1400년 |
− | |변경일= | + | |변경일= |
− | |해체일= | + | |해체일= 1907년 |
− | |주요업무= | + | |주요업무= 국정 회의 |
− | |담당업무= | + | |담당업무= 국정 회의 |
|관련기관= | |관련기관= | ||
− | |관련단체= | + | |관련단체= |
− | |소재지= | + | |소재지= |
|웹사이트= | |웹사이트=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 + | 모든 관료들을 통솔하고 국정의 제반 업무를 관장하였던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이다. |
==내용== | ==내용== |
2017년 8월 9일 (수) 16:24 판
의정부(議政府) | |
대표명칭 | 의정부 |
---|---|
한자표기 | 議政府 |
이칭 | 도당, 묘당, 정부, 황각, 낭묘 |
창립시대 | 조선 |
창립일 | 1400년 |
해체일 | 1907년 |
주요업무 | 국정 회의 |
담당업무 | 국정 회의 |
목차
정의
모든 관료들을 통솔하고 국정의 제반 업무를 관장하였던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이다.
내용
기관으로서의 내탕고, 내수사
내수사는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내탕고는 때로 내수사를 지칭하는 의미를 가지기도 하였다. [1]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의 사가(私家), 조선 태종의 사가(私家)의 재산을 관리하던 부서였다. 그러다 조선 세종때 그 업무가 확대되어 국가 공식기구로 등록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내수사에서 관리하는 왕실농장의 고리대금이 심해지자, 왕실의 재산은 모두 국가의 재산인데 왕실이 사사로이 재산을 축적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 내수사 폐지가 논의된다. [2]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3]
창고로서의 내탕고
내탕고는 금, 은, 비단, 음식 등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다. 가뭄이나 홍수 같은 천재지변이 일어나 백성이 곤궁하게 되었을 때, 이 내탕고의 재물로서 구휼하기도 하고, 관료들에게 포상을 내리기도 하였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하는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내탕고의 재물은 왕실의 사사로운 사용뿐 아니라, 왕실의 체면과 권위를 유지하는 재원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4] 경복궁 사정전의 앞에 있으며, 총 10개의 방으로 나뉘어있다. 천자문의 앞 10자를 따서 배열 순서대로 이름을 붙였다. 맨 처음 '천자고', '지자고' 부터 마지막 '월자고'까지이다. [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내탕고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내탕고 | 조선 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내탕고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에 언급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01 | 조선 순조가 내탕고의 노비를 혁파하였다. |
조선후기 | 조선 고종이 내탕고를 폐지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90885 | 126.9748553 | 내탕고는 경복궁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숙연, 「조선전기(朝鮮前期) 내수사(內需司) 폐지 논쟁과 군주(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37-140쪽.
- ↑ 정현재, 「내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석희·최식원·황금희, 『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조선의 정체성』, 미다스북스, 2013.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사노비」, 『한국학보』11, 일지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