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옹화상가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내용)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권두에 <완주가 翫珠歌> · <백납가 百衲歌> · <고루가 枯髏歌>의 3수와 이에 대한 [[이색|이색(李穡)]]의 후기(後記)인 〈나옹삼가후(懶翁三歌後)〉가 실려 있으며, 이어서 송(頌) · 게(偈) · 찬(讚) 등 300여수가 수록되어 있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5&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권두에 <완주가 翫珠歌> · <백납가 百衲歌> · <고루가 枯髏歌>의 3수와 이에 대한 [[이색|이색(李穡)]]의 후기(後記)인 〈나옹삼가후(懶翁三歌後)〉가 실려 있으며, 이어서 송(頌) · 게(偈) · 찬(讚) 등 300여수가 수록되어 있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5&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혜근]]의 제자 [[각운|각운(覺雲)]]이 | + | [[혜근]]의 제자 [[각운|각운(覺雲)]]이 편집하였고, <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5&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각뢰|각뢰(覺雷)]]가 기록하고 [[환암|환암(幻菴)]]이 교정·간행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858 나옹화상가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30년 경성제국대학에서 아유가이[鮎貝]의 소장본을 영인·간행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858 나옹화상가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30년 경성제국대학에서 아유가이[鮎貝]의 소장본을 영인·간행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858 나옹화상가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2017년 8월 7일 (월) 18:13 판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 | |
대표명칭 | 나옹화상가송 |
---|---|
한자표기 | 懶翁和尙歌頌 |
영문명칭 | Naonghwasang gasong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 | 1권 1책 |
정의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 1320-1376)의 가송집(歌頌集).
내용
고려 후기의 승려 혜근(惠勤)의 가송집으로, 1권 1책이며 목판본 형태이다.[1]
1363년에 별책으로 간행되었다가 1379년에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과 합본되었다.[2]
권두에 <완주가 翫珠歌> · <백납가 百衲歌> · <고루가 枯髏歌>의 3수와 이에 대한 이색(李穡)의 후기(後記)인 〈나옹삼가후(懶翁三歌後)〉가 실려 있으며, 이어서 송(頌) · 게(偈) · 찬(讚) 등 300여수가 수록되어 있다.[3]
혜근의 제자 각운(覺雲)이 편집하였고, [4] 각뢰(覺雷)가 기록하고 환암(幻菴)이 교정·간행하였다.[5]
1930년 경성제국대학에서 아유가이[鮎貝]의 소장본을 영인·간행하였다.[6]
현재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과 호암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다.[7]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혜근 | 나옹화상가송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나옹화상가송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 A는 B에 있다 | |
나옹화상가송 | 호암미술관 | A는 B에 있다 | |
나옹화상가송 | 이색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363년 | 나옹화상가송을 간행하였다 |
1379년 | 나옹화상어록과 합본되었다 |
1981년 | 나옹화상어록과 함께 보물 제697호로 지정되었다 |
주석
-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나옹화상가송",
『두산백과』online . - ↑ "나옹화상가송",
『두산백과』online . - ↑ "나옹화상가송",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나옹화상가송",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