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칠백의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인용 및 참조)
77번째 줄: 77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웹 자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209&cid=42856&categoryId=42856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700.cha.go.kr/n_v700/index.html 문화재청 칠백의총관리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 칠백의총관리소』<sup>online</sup></online></html>.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653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2017년 8월 7일 (월) 17:51 판

금산 칠백의총
(錦山 七百義塚)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대표명칭 금산 칠백의총
한자표기 錦山 七百義塚
이칭 칠백의총
유형 유적
시대 조선
지정번호 사적 제105호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소장처 충남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관련인물 조헌, 영규
관련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정의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의병장 조헌을 비롯한 700의사의 유골을 안치한 무덤.

내용

1592년(선조 25) 8월 18일의 제2차 금산전투에서 조헌의 700 의병과 영규대사 등 700인의 의사가 금산에서 순절하자, 4일 후인 22일 조헌의 제자 박정량(朴廷亮), 전승업(全承業) 등이 유골을 모아 하나의 큰 무덤을 만들고 이를 '칠백의총'이라 하였다.br/> 그러나, 그동안 불교계에서는 조선 시대 뿌리 깊은 배불(排佛)정책으로 인해 승장 영규와 8백 명의 승군은 금산 칠백의총에 함께 묻히지 못했다고 주장해왔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영규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금산 칠백의총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인접해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1101호-박정희 대통령, 칠백의총 시찰(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대한뉴스 제 1257호-칠백의총 순의 제향(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반만년의 역경을 이겨낸 한민족의 역사 현장]금산 칠백의총 (사적 제105호)(게시일: 2016년 2월 12일)

주석

  1.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2.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3.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4.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7.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8.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9.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1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