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나옹화상어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32번째 줄: 32번째 줄:
  
 
=='''내용'''==
 
=='''내용'''==
136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2)에 [[각련|각련(覺璉)]]이 [[혜근|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법어(法語)등을 집록(輯錄)하고 혼수(混修)가 교정하여 간행한 1권 1책이다.
+
136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2)에 [[각련|각련(覺璉)]]이 [[혜근|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법어(法語)등을 집록(輯錄)하고 혼수(混修)가 교정하여 간행한 1권 1책이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6&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권두에 [[백문보|백문보(白文寶)]]의 서(序)가 있다. 또 [[혜근|나옹]]이 죽은 뒤 다시 손질하여 1379년([[고려 우왕|우왕]] 5)에 재간본이 간행되었고, 3간본은 1534년([[조선 중종|중종]] 29)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 유출되어 국내에는 전하지 않는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6&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권두에 [[백문보|백문보(白文寶)]]의 서(序)가 있다. 또 [[혜근|나옹]]이 죽은 뒤 다시 손질하여 1379년([[고려 우왕|우왕]] 5)에 재간본이 간행되었고, 3간본은 1534년([[조선 중종|중종]] 29)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 유출되어 국내에는 전하지 않는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6&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38번째 줄: 38번째 줄:
 
또 1940년에 [[평창 월정사|월정사(月精寺)]]에서 이종욱(李鍾郁)이 펴낸 활자본 『나옹집(懶翁集)』에는 [[각련]]이 집록한 어록과 각굉(覺宏)이 찬한 행장, 각운(覺雲)이 집록한 가송(歌頌) 및 『보제존자삼종가(普濟尊者三種歌)』, 그리고 권상로(權相老)가 편찬한 부록이 함께 실려 있다.<ref>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9 나옹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 1940년에 [[평창 월정사|월정사(月精寺)]]에서 이종욱(李鍾郁)이 펴낸 활자본 『나옹집(懶翁集)』에는 [[각련]]이 집록한 어록과 각굉(覺宏)이 찬한 행장, 각운(覺雲)이 집록한 가송(歌頌) 및 『보제존자삼종가(普濟尊者三種歌)』, 그리고 권상로(權相老)가 편찬한 부록이 함께 실려 있다.<ref>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9 나옹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은 [[혜근|나옹]]의 상당법어·착어·수문·서장 등 모두 61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수륙재육도보설(水陸齋六道普說)」과 「입문삼구(入門三句)」·「삼전어(三轉語)」·「공부십절목(工夫十節目)」·「탄세사수(歎世四首)」·「각오선인(覺悟禪人)에게 보임」 등이 유명하다.<ref>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9 나옹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은 [[혜근|나옹]]의 상당법어·착어·수문·서장 등 모두 61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수륙재육도보설(水陸齋六道普說)」과 「입문삼구(入門三句)」·「삼전어(三轉語)」·「공부십절목(工夫十節目)」·「탄세사수(歎世四首)」·「각오선인(覺悟禪人)에게 보임」 등이 유명하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6&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책의 초간본은 일본의 [[구마자와대학|구마자와대학(駒澤大學)]]에, 재간본은 [[삼성미술관 leeum]]과 [[규장각]]에 있다.<ref>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9 나옹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책의 초간본은 일본의 [[구마자와대학|구마자와대학(駒澤大學)]]에, 재간본은 [[삼성미술관 leeum]]과 [[규장각]]에 있다.<ref>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9 나옹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8월 7일 (월) 15:54 판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대표명칭 나옹화상어록
한자표기 懶翁和尙語錄
영문명칭 Naonghwasang eorok
저자 혜근(惠勤)
편자 각련(覺璉), 혼수(混修)
간행시기 1363년
간행인 혼수(混修)
시대 고려시대
수량 1권 1책
소장처 구마자와대학(초간본), 삼성미술관 leeum(재간본)



정의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 1320-1376)의 법어집(法語集).

내용

1363년(공민왕 12)에 각련(覺璉)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법어(法語)등을 집록(輯錄)하고 혼수(混修)가 교정하여 간행한 1권 1책이다.[1]

권두에 백문보(白文寶)의 서(序)가 있다. 또 나옹이 죽은 뒤 다시 손질하여 1379년(우왕 5)에 재간본이 간행되었고, 3간본은 1534년(중종 29)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 유출되어 국내에는 전하지 않는다.[2]

또 1940년에 월정사(月精寺)에서 이종욱(李鍾郁)이 펴낸 활자본 『나옹집(懶翁集)』에는 각련이 집록한 어록과 각굉(覺宏)이 찬한 행장, 각운(覺雲)이 집록한 가송(歌頌) 및 『보제존자삼종가(普濟尊者三種歌)』, 그리고 권상로(權相老)가 편찬한 부록이 함께 실려 있다.[3]

내용은 나옹의 상당법어·착어·수문·서장 등 모두 61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수륙재육도보설(水陸齋六道普說)」과 「입문삼구(入門三句)」·「삼전어(三轉語)」·「공부십절목(工夫十節目)」·「탄세사수(歎世四首)」·「각오선인(覺悟禪人)에게 보임」 등이 유명하다.[4]

이 책의 초간본은 일본의 구마자와대학(駒澤大學)에, 재간본은 삼성미술관 leeum규장각에 있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혜근 나옹화상어록 A는 B를 저술하였다
나옹화상어록 구마자와대학 A는 B에 있다
나옹화상어록 삼성미술관 leeum A는 B에 있다
나옹화상어록 나옹화상가송 A는 B와 관련있다
나옹화상어록 각련 A는 B와 관련있다
나옹화상어록 혼수 A는 B와 관련있다
나옹화상어록 고려 공민왕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63년 나옹화상어록을 간행하였다
1379년 나옹화상어록을 재간하면서 나옹화상가송과 합본되었다
1534년 3간본이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되었다
1981년 나옹화상가송과 함께 보물 제697호로 지정되었다

주석

  1.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목정배, "나옹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목정배, "나옹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목정배, "나옹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