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앙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대표명칭= 원앙진
 
|대표명칭= 원앙진
 
|한자표기= 鴛鴦陣
 
|한자표기= 鴛鴦陣
|영문명칭= Magic Square
+
|영문명칭=  
 
|이칭=  
 
|이칭=  
 
|유형=
 
|유형=
|관련개념=
+
|관련개념=[[병학지남]]
 
}}
 
}}
 +
 
=='''정의'''==
 
=='''정의'''==
 
중국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의 하나.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ref>
 
중국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의 하나.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ref>

2017년 8월 2일 (수) 00:14 판

원앙진
(鴛鴦陣)
대표명칭 원앙진
한자표기 鴛鴦陣
관련개념 병학지남



정의

중국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의 하나. [1]

내용

척계광이 저술한 병서 『기효신서(紀效新書)』에 수록되어 있는데, 진의 정면에 방패를 든 군사 2명을 앞세우고서 군사 10명이 2열 종대로 대오를 이룬 진형을 취하고 있어 마치 짝을 찾아 사는 새인 원앙과 그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척계광은 당시 중국의 가장 큰 근심의 하나였던 남방의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새로운 근접전 무기인 낭선(狼筅), 당파(鎲鈀), 장창(長槍), 등패(籐牌) 등을 채택하여 왜구의 장기인 큰 칼을 이용한 근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무기를 장비한 12명으로 이루어진 최소 부대 단위인 대(隊)를 편성하였다. 한 대에는 지휘자인 대장 1명과 등패와 표창(鏢槍)을 가진 등패수 2명, 낭선을 가진 낭선수 2명, 장창을 든 장창수 4명, 당파와 화전(火箭)으로 무장한 당파수 2명, 그리고 취사 등 잡일을 담당하는 화병(火兵) 1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전투시에는 이 대의 군사 중에서 화병은 빠지고 대장을 선두로 하여 등패수-낭선수-장창수-당파수의 순으로 서서 적군을 향해 나아가 낭선, 장창, 당파 등을 이용하여 격투를 벌이게 된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앙진 기효신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원앙진 병학지남 A는 B와 관련이 있다
원앙진 척계광 B는 A에 의해 창시되었다

주석

  1.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문화콘텐츠닷컴.
  2.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문화콘텐츠닷컴.

참고문헌

사료

  • 기효신서(紀效新書), 1560년
  • 병학지남(兵學指南), 1787년

논문

  • 홍을표, 「明後期 戚繼光의 戰法 硏究」, 학위논문 (박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 동양(명청)사 2013. 8
  • 박금수, 『무예제보(武藝諸譜)』를 통한 원앙진(驚鴦陣)의 운용형태 연구, 한국스포츠인류학회, Vol.5 No.- [2008], 45-59(15쪽)
  • 최형국, 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Vol.- No.78 [2011], 71-107(3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