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공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복식 구성)
(정의)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 [[세종실록]]에 의하면 공복은 백관들이 초하룻날 조회에 착용.
+
[[세종실록]]에 의하면 공복은 백관들이 초하룻날 조회에 착용한다. 관리가 왕에게 받은 은혜에 대하여 감사의 뜻을 표할 때, 국가의 제사 등을 앞두고 경건한 마음을 맹세하던 의식, 설과 동지 때 세자궁에 하례를 올릴 때 착용한다.<ref>http://www.chf.or.kr/c2/sub2_2_6.jsp?thisPage=1&searchField=&searchText=&brdType=R&bbIdx=100383</ref>
* 관리가 왕에게 받은 은혜에 대하여 감사의 뜻을 표할 때, 국가의 제사 등을 앞두고 경건한 마음을 맹세하던 의식, 설과 동지 때 세자궁에 하례를 올릴 때 착용.<ref>http://www.chf.or.kr/c2/sub2_2_6.jsp?thisPage=1&searchField=&searchText=&brdType=R&bbIdx=100383</ref>
 
  
 
==복식 구성==
 
==복식 구성==

2017년 7월 30일 (일) 22:50 판


백관의 공복
(百官의 公服)
대표명칭 백관의 공복
한자표기 百官의 公服
분류 복장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세종실록에 의하면 공복은 백관들이 초하룻날 조회에 착용한다. 관리가 왕에게 받은 은혜에 대하여 감사의 뜻을 표할 때, 국가의 제사 등을 앞두고 경건한 마음을 맹세하던 의식, 설과 동지 때 세자궁에 하례를 올릴 때 착용한다.[1]

복식 구성

복두(幞頭), 단령(團領), 야자대(也字帶), 목화(木靴), 홀(笏)

관련항목

참고문헌

주석

  1. http://www.chf.or.kr/c2/sub2_2_6.jsp?thisPage=1&searchField=&searchText=&brdType=R&bbIdx=100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