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복식구성)
13번째 줄: 13번째 줄:
  
 
==정의==
 
==정의==
* 무관의 예복이나 장교복 또는 상복이며, 문관의 경우도 무직을 띠고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반드시 군복을 착용.<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51쪽.</ref>
+
무관의 예복이나 장교복 또는 상복이며, 문관의 경우도 무직을 띠고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반드시 군복을 착용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51쪽.</ref> 활동의 편의를 위해 소매가 좁고 옷자락의 옆과 뒤가 트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 활동의 편의를 위해 소매가 좁고 옷자락의 옆과 뒤가 트여 있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복식구성==
 
==복식구성==

2017년 7월 28일 (금) 22:19 판


백관의 군복
(百官의 軍服)
대표명칭 백관의 군복
한자표기 百官의 軍服
분류 군복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무관의 예복이나 장교복 또는 상복이며, 문관의 경우도 무직을 띠고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반드시 군복을 착용한다.[1] 활동의 편의를 위해 소매가 좁고 옷자락의 옆과 뒤가 트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2]

복식구성

갑주(甲胄), 전립(戰笠), 전복(戰服), 동다리, 요대(腰帶), 전대(戰帶), 목화(木靴)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백관의 군복 A는 B를 착용한다.
전립 백관의 군복 A는 B의 일습이다.
전복 백관의 군복 A는 B의 일습이다.
동다리 백관의 군복 A는 B의 일습이다.
요대 백관의 군복 A는 B의 일습이다.
전대 백관의 군복 A는 B의 일습이다.
흑화 백관의 군복 A는 B의 일습이다.
백관의 군복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한다.


참고문헌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5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