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조선 이전의 {{PAGENAME}} 사용)
14번째 줄: 14번째 줄:
 
==내용==
 
==내용==
 
===조선 이전의 {{PAGENAME}} 사용===
 
===조선 이전의 {{PAGENAME}} 사용===
『[[태평어람|태평어람(太平御覽)]]』에서  신라 부인에는 미발(美髮)이 많고 길이가 길다고 하였으며, 『[[당서|당서(唐書)]]』 신라조에도 아름다운 두발(頭髮)을 머리에 두르고 장식하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머리 모양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서는 오래 전부터 가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성덕왕조에 ‘미체(美髢)’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다리이며, 신라의 명물로 외국에 수출도 하였다.또한 『[[당서]]』에서 신라의 남자가 머리를 깎아 팔았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가난한 자가 머리를 깎아 다리로 판 것으로 보인다.<ref>유희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380 가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당서|당서(唐書)]]』 에서 신라 사람들이 아름다운 두발(頭髮)을 머리에 두르고 장식하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머리 모양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서는 오래 전부터 가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성덕왕조에 ‘미체(美髢)’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다리이며, 신라의 명물로 외국에 수출도 하였다.또한 『[[당서]]』에서 신라의 남자가 머리를 깎아 팔았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가난한 자가 머리를 깎아 다리로 판 것으로 보인다.<ref>유희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380 가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구려의 경우 안악 3호분 동수부인 벽화에서 동수부인과 시녀들이 가체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백제는 남아있는 자료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삼국의 복식이 비슷했고,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용 금제 머리 장식을 보아 가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ref>40쪽.</ref> 따라서 가체의 풍습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가체의 풍습은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고려 말기에는 원나라의 영향도 받아 더욱 크게 성행하였다. <ref>유희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380 가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구려의 경우 안악 3호분 동수부인 벽화에서 동수부인과 시녀들이 가체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백제는 남아있는 자료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삼국의 복식이 비슷했고,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용 금제 머리 장식을 보아 가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ref>40쪽.</ref> 따라서 가체의 풍습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가체의 풍습은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고려 말기에는 원나라의 영향도 받아 더욱 크게 성행하였다. <ref>유희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380 가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7월 25일 (화) 17:08 판

가체
(加髢)
대표명칭 가체
한자표기 加髢
이칭 다래, 다리, 다레, 체(髢), 월자(月子)
유형 장신구


정의

여자의 머리숱을 많아 보이게 하려고 덧넣는 딴 머리가발이다.

내용

조선 이전의 가체 사용

당서(唐書)』 에서 신라 사람들이 아름다운 두발(頭髮)을 머리에 두르고 장식하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머리 모양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서는 오래 전부터 가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성덕왕조에 ‘미체(美髢)’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다리이며, 신라의 명물로 외국에 수출도 하였다.또한 『당서』에서 신라의 남자가 머리를 깎아 팔았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가난한 자가 머리를 깎아 다리로 판 것으로 보인다.[1] 고구려의 경우 안악 3호분 동수부인 벽화에서 동수부인과 시녀들이 가체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백제는 남아있는 자료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삼국의 복식이 비슷했고,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용 금제 머리 장식을 보아 가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따라서 가체의 풍습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가체의 풍습은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고려 말기에는 원나라의 영향도 받아 더욱 크게 성행하였다. [3]

주석

  1. 유희경, "가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40쪽.
  3. 유희경, "가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