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옹 진영(신륵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이 그림은 [[나옹]]의 조각상을 봉안한 조사전의 후벽에 모셔져 있으며, 조선 후기 초상화의 양식을 따랐지만 적색·녹색, 음영법을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19세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이 그림은 [[나옹]]의 조각상을 봉안한 조사전의 후벽에 모셔져 있으며, 조선 후기 초상화의 양식을 따랐지만 적색·녹색, 음영법을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19세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그림에서 [[나옹]]은 가사·장삼을 걸치고 의자에 앉아 있으며, 오른손으로 불자를 들고 있다. 위쪽에 “고려국공민왕사나옹대화상(高麗國恭愍王師懶翁大和尙)”이라고 적혀 있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현재 전국 사찰에 전하는 1,000여점의 진영 가운데 데 삼화상 진영은 매우 드물어 자료적인 측면에서는 희귀하나, 조사들의 성품을 부각시키는 전신성이 약하고 제작연대도 불분명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1670000,31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현재 전국 사찰에 전하는 1,000여점의 진영 가운데 데 삼화상 진영은 매우 드물어 자료적인 측면에서는 희귀하나, 조사들의 성품을 부각시키는 전신성이 약하고 제작연대도 불분명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1670000,31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2017년 7월 18일 (화) 21:15 판
나옹 진영 | |
한자명칭 | 懶翁 眞影 |
---|---|
소장처 | 여주 신륵사 |
문화재지정사항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
유형 | 유물 |
크기(세로×가로) | 133㎝×80㎝ |
정의
고려 말의 승려 나옹(懶翁, 1320-1376)의 진영.
내용
본 삼화상진영은 신륵사(神勒寺)의 중요 인물인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주요한 작품으로,[1] 크기는 가로 80㎝, 세로 133㎝이다.[2]
이 그림은 나옹의 조각상을 봉안한 조사전의 후벽에 모셔져 있으며, 조선 후기 초상화의 양식을 따랐지만 적색·녹색, 음영법을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19세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3]
그림에서 나옹은 가사·장삼을 걸치고 의자에 앉아 있으며, 오른손으로 불자를 들고 있다. 위쪽에 “고려국공민왕사나옹대화상(高麗國恭愍王師懶翁大和尙)”이라고 적혀 있다.[4]
현재 전국 사찰에 전하는 1,000여점의 진영 가운데 데 삼화상 진영은 매우 드물어 자료적인 측면에서는 희귀하나, 조사들의 성품을 부각시키는 전신성이 약하고 제작연대도 불분명하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나옹 진영(신륵사) | 나옹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나옹 진영(신륵사)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2012년 | 2012년 6월 26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로 지정되었다. |
주석
- ↑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두산백과』online . - ↑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두산백과』online . - ↑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두산백과』online . - ↑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