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학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70번째 줄: | 70번째 줄: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80487&cid=59020&categoryId=59031 유배지의 제자들],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80487&cid=59020&categoryId=59031 유배지의 제자들],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민족기록화]]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 민족기록화 인물]] |
2017년 7월 5일 (수) 10:28 판
정의
조선 정조 때의 문관으로, 자는 치수(穉修), 호는 유산(酉山),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정약용의 아들이며,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를 지은 정학유의 형이다.
내용
정학연은 정약용의 아들이자 제자로서 다산초당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면서 서울 중앙 학계와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였다. 그는 정약용의 사후에도 정약용의 제자 이시헌 등과 지속적으로 소식을 나누었는데, 1857년 11월 21일 정학연이 이시헌에게 보낸 편지가 이를 증명한다 ☞ 편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김현)
.
그의 대표작으로는 한시 추침(秋砧, 가을 다듬이 소리)이 있다.
百濟城高一雁飛 백제성고일안비 |
||
출처: "추침", 한시작가작품사전, |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학연 | 정약용 | A는 B의 아들이다 | |
정학연 | 정학유 | A는 B와 형제이다 | |
정학연 | 이시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정학연 | 다산초당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578880 | 126.746931 | 다산초당은 정학연과 관련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