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인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의례물품정보
 
{{궁중의례물품정보
|대표명칭= 인록(印盝)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인록_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
|이미지= 궁중기록화_물품_인록_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분류= 상자
+
|대표명칭= 인록
|의례= 책봉(冊封)
+
|한자표기= 印盝
|용도= 인통을 담음
+
|의례= 가례(嘉禮)
 
|관련물품= [[옥인|옥인(玉印)]], [[인통|인통(印筒)]], [[호갑|호갑(護匣)]]
 
|관련물품= [[옥인|옥인(玉印)]], [[인통|인통(印筒)]], [[호갑|호갑(護匣)]]
 
|참조물품= [[보록|보록(寶盝)]], [[주록|주록(朱盝)]]
 
|참조물품= [[보록|보록(寶盝)]], [[주록|주록(朱盝)]]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 왕실 도장인 인(印)을 담아 보관하는 바깥쪽 상자.
+
왕실 도장인 인(印)을 담아 보관하는 바깥쪽 상자이다.
  
==사용상황==
+
==내용==
* 책봉할 때 사용된 도장을 담은 안쪽 상자 인통(印筒)을 바깥 상자인 인록(印盝)에 이중으로 담고 이를 다시 호갑(護匣)에 담아 보관하고 운반하였다.
+
책봉할 때 사용된 도장을 담은 안쪽 상자 인통(印筒)을 바깥 상자인 인록(印盝)에 이중으로 담고 이를 다시 호갑(護匣)에 담아 보관하고 운반하였다.<br/>
 
+
인통(印筒)은 인을 담는 가장 안쪽의 상자, 인록(印盝)은 보통을 담는 바깥쪽 상자, 호갑(護匣)은 인록을 담는 가장 바깥쪽의 가장 큰 상자를 말한다.<br/>
==기본정보==
 
* 인통(印筒)은 인을 담는 가장 안쪽의 상자, 인록(印盝)은 보통을 담는 바깥쪽 상자, 호갑(護匣)은 인록을 담는 가장 바깥쪽의 가장 큰 상자를 말한다.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인록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인록<ref>『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인록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인록<ref>『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ref>
47번째 줄: 45번째 줄:
 
| '''{{PAGENAME}}'''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1784년
 
| '''{{PAGENAME}}'''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1784년
 
|}
 
|}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저서'''
+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5bhNXrLT4JzshLxLvgqb2tKfqgRKXFlwclPhqkYg8QBGhq8l2F3L!-1882982091?kind=%EC%9D%B8%EB%A1%9D(%E5%8D%B0%E7%9B%9D)&dataType=n&&lmenuType=a_4 인록(印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사이트'''
+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ubjectDetail.jsp?no=D1043&code1=3&code2=0 인록(印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5bhNXrLT4JzshLxLvgqb2tKfqgRKXFlwclPhqkYg8QBGhq8l2F3L!-1882982091?kind=%EC%9D%B8%EB%A1%9D(%E5%8D%B0%E7%9B%9D)&dataType=n&&lmenuType=a_4 인록(印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6_046_00811 인록(印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ubjectDetail.jsp?no=D1043&code1=3&code2=0 인록(印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6_046_00811 인록(印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분류:물품]]

2017년 7월 3일 (월) 10:54 판


틀:궁중의례물품정보

정의

왕실 도장인 인(印)을 담아 보관하는 바깥쪽 상자이다.

내용

책봉할 때 사용된 도장을 담은 안쪽 상자 인통(印筒)을 바깥 상자인 인록(印盝)에 이중으로 담고 이를 다시 호갑(護匣)에 담아 보관하고 운반하였다.
인통(印筒)은 인을 담는 가장 안쪽의 상자, 인록(印盝)은 보통을 담는 바깥쪽 상자, 호갑(護匣)은 인록을 담는 가장 바깥쪽의 가장 큰 상자를 말한다.

관련항목

물품 → 물품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인록 인통(印筒) A는 B를 담는다
인록 호갑(護匣) A는 B에 담긴다

물품 → 의궤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인록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690년
인록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25년
인록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27년
인록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84년

주석

  1.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2.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下)』
  3.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
  4.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박봉주, "인록(印盝)",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인록(印盝)",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록(印盝)",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