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관의 제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복식구성)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장정보 | {{복장정보 | ||
− | |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조복 03.jpg |
− | | | + | |사진출처= |
− | | | + | |대표명칭= 백관의 제복 |
+ | |한자표기= 百官의 祭服 | ||
+ | |이칭별칭= | ||
+ | |분류= 예복 | ||
+ | |착용신분= [[문무백관]] |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
− | |||
}} | }} | ||
2017년 6월 28일 (수) 21:51 판
백관의 제복 (百官의 祭服) |
|
대표명칭 | 백관의 제복 |
---|---|
한자표기 | 百官의 祭服 |
분류 | 예복 |
착용신분 |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 왕자와 대원군, 문무백관 등이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옷.[1]
- 중국에서 왕세자의 면복을 하사받은 1450년(문종 즉위년) 이전에는 왕세자도 6량관 제복과 7량관 제복 착용.[2]
- 제관(祭冠)에 달린 양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냄.
복식구성
제관(祭冠), 의(衣), 상(裳), 중단(中單, 폐슬(蔽膝), 대대(大帶), 품대(品帶) 패옥(佩玉), 후수(後綬), 리, 말(襪), 홀(笏), 방심곡령(方心曲領)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문무백관 | 백관의 제복 | A는 B를 착용한다. |
국조오례의 | 백관의 제복 | A는 B를 기록한다. |
제관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의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상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중단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폐슬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후수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패옥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대대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말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리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홀 | 백관의 제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