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의 상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장정보 | {{복장정보 | ||
− | | | + | |사진= |
− | | | + | |사진출처= |
− | + | |대표명칭= 왕세자의 상복 | |
+ | |한자표기= 王世子의 常服 | ||
+ | |이칭별칭= | ||
+ | |분류= 상복 | ||
+ | |착용신분= [[왕세자]] |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
− | |||
}} | }} | ||
2017년 6월 28일 (수) 21:44 판
왕세자의 상복 (王世子의 常服) |
|
대표명칭 | 왕세자의 상복 |
---|---|
한자표기 | 王世子의 常服 |
분류 | 상복 |
착용신분 | 왕세자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입는 옷.[1]
- 곤룡포(袞龍袍))는 둥글게 말려 있는 형태[袞(곤)]의 용을 표현한 보(補)가 달려 있는 포라 하여 붙여진 이름.[2]
- 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보에 수놓아진 용의 발톱 수가 다르며 왕세자는 4개.
- 왕세자의 곤룡포는 아청색.
- 곤룡포와 함께 착용하는 익선관(翼善冠)은 관례를 치른 후에 쓰며, 관례를 아직 올리지 않은 경우 공정책(空頂幘)을 씀.
복식구성
곤룡포(袞龍袍)), 익선관(翼善冠) 혹은 공정책(空頂幘), 옥대(玉帶), 흑화(黑靴)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왕 | 왕세자의 상복 | A는 B를 착용한다. |
국조오례통편 | 왕세자의 상복 | A는 B를 기록한다. |
익선관 | 왕세자의 상복 | A는 B의 일습이다. |
곤룡포 | 왕세자의 상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옥대 | 왕세자의 상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흑화 | 왕세자의 상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왕세자의 상복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